프로젝트 중간기록

뭔가를 발표한다는 것은 여전히 부담스럽다. 외부 발표 전 내부 발표 리허설이라도 부담스럽다. 부담스럽다는 생각이 스물스물 올라올 때 쯤이면, ‘이건 평가를 받는 게 아니라 내가 추진한 일을 공유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것이고, 그 피드백을 받아 더 좋은 결과물을 생산하기 위함이다. ‘라는 주문을 마음속으로 건다. 그러면 긴장감을 덜어낼 수 있다. 오랫동안 파고들은 내용이기에 누구보다 내가 잘 알고 있는 것이라 틀만 잘 잡아서 자료에 담아두면 된다. 그리고 다 잘 풀릴 것이다라고 주문을 걸고. 

다행히 내부 리허설을 잘 마쳤다. 이전에 이미 리허설을 한번 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분석의 틀을 완전히 바꾼 거였다. 영 설명이 잘 되지 않던 부분에 대해서 코멘트를 받고 방향 설정을 완전히 다시 했더랬다. 긴장이 되면서도 그 당시 나왔던 질문에 대해 하나씩 곱씹어가면서 충분히 준비했던 발표인데다가 똑똑한 동료들의 예리한 질문이 아주 다방면으로 나왔기에 그것에 답하며 준비한 것만으로도 포괄적으로 준비가 잘 된다 싶었다. 작게 보완할 것들이 있긴 했지만 별로 그런 게 없었고 나머지는 내가 아닌, 업계에 질문을 해야할 요소들이었다. 

심리상담을 받은 후 얻게 된 새로운 장점은 발표 중 청자의 눈빛이나 자세 등에서 불필요하게 신호를 읽으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전엔 혹시나 내 발표에 의구심이 생긴걸까? 내가 발음을 잘못했나? 뭔가 틀렸나? 하는 끊임없는 상상을 토대로 발표 중간에 나를 괴롭히고 집중력을 흐트려뜨렸는데, 이젠 그냥 그런 게 있으면 질문을 하겠지 하고 넘긴다. 그 사람이 손을 들때까지는 불필요한 상상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배운 게 정말 크다. 그게 몸 속에 아드레날린을 과도하게 분비하게 만드는데, 그게 없으니 차분함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업계와 일을 하면 훨씬 더 비판적이거나 원색적인 목소리를 접할 수 있긴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어떤 코멘트를 하던지간에 긍정적인 톤을 유지한다. 그리고 코멘트의 경우 구체적으로 한다. 이런걸 보완하면 좋겠다는 식으로 말이다. 왜 이걸 이런 식으로 만들었냐 이런 비판적이고 불특정적인 피드백은 없다. 

새로운 감시 분야를 개발하는 것이라 시간이 많이 투여가 되고 있긴 하나, 프로그래밍 적으로 배운 것이 정말 많다. R을 훨씬 자유롭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걸로 새로운 연구 분야도 설정할 수 있을 것 같다. 우리 결과를 토대로 에너지청도 새로운 연구를 하려고 하고 있고 정치적으로도 관심이 높아진 분야에 우리가 선제적으로 먼저 움직인 것이라 재미가 있다. 

긴 호흡의 프로젝트라 중간에 그 흐름 속에서 너무 스트레스를 받았는데, 아마 이런 긴 호흡의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맡아서 끝까지 해본 적이 없기 때문인 거 같다. 경쟁소비자청에서도 그런 프로젝트를 하다가 중간에 관두고 나와서 끝까지 하지 못했는데,  그때도 스트레스가 엄청 컸다. 큰 바다속에서 도대체 언제 헤어나올 수 있을지 그 끝이 보이지 않고, 중간중간 마일스톤 셋업이 힘들었던 것 같다. 여기보다 더 큰 조직에 중간중간 스파링을 할 사람도 너무 높은 사람이었고, 정치적으로도 여기저기 걸린게 많은 훨씬 큰 프로젝트였던 터라 이해관계자도 너무 많고 비교하기 어렵게 힘들었다. 지금 일보다도 이론적인 프로젝트였어서 더 그랬던 거 같다.

이번 프로젝트는 오로지 데이터를 갖고 씨름하는 것이라 데이터의 바다에서 헤메이다가 스트레스로 무너질 뻔 했는데, 그걸 잘 넘기고 나니 또 어떻게 어떻게 잘 헤쳐나갈 수 있었다. 긴 프로젝트의 장점으로 내가 조금 더 플래닝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경험도 쌓았고.

이제 남은 건 다음 주 중간결과를 업계대상으로 발표하고 최신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이걸 정리해서 리포트로 만드는 것, 경영진에게 발표해 승인을 받은 후, 온라인 공청회처럼 이를 대외로 보내 피드백을 받고, 이걸 반영한 최종본을 또 한번 경영진에게 승인받고,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보내 그래픽 등을 이쁘게 만들어 최종 발표하는 거다. 그리고나서는 매년 데이터를 받아 모니터링을 하는 감시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만 남는다. 

남은 프로세스들도 한번씩 경험하면 프로젝트 운영 경험도 한번 쌓여서 앞으로의 일이 조금씩 더 수월해지겠지. 하지만 그 남은 프로세스들이 손이 많이 가는 일이 될 거다. 디테일이 중요해지는 단계니까. 열심히 달려보자!

Nick Eubank 블로그 – GIS in R

Spatial data analysis는 내 논문 분석의 주축을 이루는 방법론이기에 하다가 뭔가 잘 풀리지 않으면 방대한 인터넷의 자료에 의존하게 된다. R 프로그램이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이기에 더욱 그렇다. R을 통해 GIS를 이용하고 있어 R과 관련된 GIS 자료를 찾던 중 정리가 아주 깔끔하게 되어있는 Post-Doc의 블로그를 알게 되었다. 도움이 많이 될 자료라 기억해둘 겸 블로그에 기록해둔다.

http://www.nickeubank.com/gis-in-r/

http://www.nickeubank.com/

가랑비에 옷 젖듯 서서히 가까워지는 R

젖듯 이라는 단어가 막상 쓰고보니 매우 어색하다. 맞춤법이 틀린 건 아닐터인데 왜 이리 어색한지. 이 단어를 지면에서 막상 볼 일이 별로 없어서 그런가 보다.

대학원 시작부터 함께한 R. 그래도 정말 가까워지긴 어려웠다. 계량경제를 공부할 땐 개념에 익숙해지기도 정신없었기에 매뉴얼에 크게 의존해서 코딩을 하느라 크게 익숙해지지 않았다. 실제 결과를 해석하는 일이 더 중요했기에.

Economic Valuation & Cost Benefit Analysis 코스를 들을 때도 사실 이론이 더 중요했기에 R을 돌리는 건 주어진 코딩을 사용하고, 안되는 건 조교님이나 교수님의 도움을 받아야만 했다.

그런데 이 수업에서 Hedonic Model을 가르쳤던 교수님이 여름학기에 개설되는 Big and Spatial Data Management 코스를 가르친다면서, 나중에 논문 쓸 때나 사회 나가서 도움 많이 될거라는데 얼마나 반갑던지. 3주 여정으로 끊은 한국행 비행기 티켓(끊은지 이틀되었던 따끈따끈한 티켓)을 거의 20만원 줘가며 열흘로 단축해 변경하고, 냉큼 해당 과정을 신청했었다.

여름 3주간 매일 아침 9시부터 저녁 4시까지 진행되는 타이트한 과정. 엄청 긴장했고 실제 demanding하기는 하지만 거의 2주가 끝나가는 지금 신청하기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다. Econometrics와 Research strategy/question/hypothesis building 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토론을 포함해 extensive한 R 코딩 실습을 하고 있다. Quantum GIS에 대해서도 맛을 보고, 해당 spatial data를 R로 불러들여 이를 어떻게 econometric analysis에 활용하게 되는지도 배우는데 어찌나 세상에 nerdy하며 대단한 사람이 많은지도 새삼 느낄 뿐 아니라 참 재미가 있다.

비슷한 수준의 사람끼리 모여 코딩의 고통을 함께 나누며 서로 도와주며 성장하는 경험도 역시나 즐겁고. 다음주엔 교수님들의 supervision을 받으며 그룹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될텐데 그를 통해 코딩실습만으로는 깊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보강해나갈 수 있을 것 같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실습하는 것만이 많이 배울 수 있는 지름길이니까.

새학기 시작하기 전에 썸머로 7.5 ECTS를 이렇게 따두는 건 뭐랄까… 방학동안 늘어져 자고 있던 뇌를 깨우기에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다. 같이 수업을 듣고 있는 동료들도 정말 잘 들었다며, 이걸 논문 쓰면서 익숙해지려하면 이거 하다 시간 다 가겠다고 했다. 물론 Econometrician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겠고 교수님의 도움도 받을 수 있겠지만, 도움은 도움일 뿐. 결국 내가 해야하는 일 아닌가.

첫째주는 정말 힘들어 머리에 쥐가날 것 같고, 이렇게 힘들어하며 삼 주를 보내면 과연 머리에 남는게 있을까 했는데, 둘째주가 되고 나니 코딩도 조금씩 늘고 재미가 느껴진 거다. 프로그래밍 언어도 사람의 언어와 비슷해 처음이 참 어려운 모양이다. 익숙해지고 나면 조금 더 여유를 갖고 이해도 조금이나마 더 쉽게 되고.

학부땐 통계와 계량경제학이 얼마나 어렵던지. 난 이런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했었는데, 그냥 난 좀 이런 쪽으로 남들보다 늦었던 거 같다. R도 가랑비에 옷 젖듯 서서히 가까워지는 것 같이 다른 지식과 학업도 그런거겠지 하며 힘들어도 조금씩 조금씩 더 다가가련다. R. 우리 좀 더 가까워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