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일상에 대해 모르는 게 없었던 출산 후 1년을 빼고는 아이의 일상에서 내가 없는 시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아이는 열시간 이상 잠을 자니까 14시간도 채 안되는 시간에서 8시간은 유치원에 있고, 나머지 시간도 집안일이다 내 취미 활동이다 하면 남는 시간이 별로 없다. 아이에게 일상을 물어보고 요약해서 듣는 것이 대부분인 셈이다.
아이는 아직 나에게 많은 것을 이야기해주고 비밀이라는 것을 갖기에 아직 입이 너무 근지러운 나이라 더 털어놓지만, 부끄러움/수치라는 감정을 서서히 배워가고 있는 것도 같고, 방에서 문닫고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기도 하기 시작하는 걸 볼 때 나에게 많은 비밀을 갖는 시기가 곧 다가올 거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
주변 사람들과 아이의 이런 저런 일상을 이야기하다가 우리의 어린 시절을 나눠보기도 했는데, 그보다 더 나아가서 나의 부모님 세대와 그 윗세대의 이야기는 참 들어보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 아빠는 어떤 어린 시절을 보냈는지, 형제 자매들과는 어떤 감정을 갖고 컸는지, 무슨 에피소드들이 있었는지, 어떤 강렬한 감정을 느낀 일이 있었다면 그게 어떤 감정이었는지, 왜 그런 감정을 느꼈는지 등… 항상 내가 관심을 받는게 커서, 내가 중심이었어서, 부모님은 어떤 생각을 갖고 컸는지 등 과거에 대한 궁금함을 마치 거세라도한냥 여쭤보지 않고 지냈다. 같이 하는 일상 만으로 부모님을 다 안다고 생각하며 넘겼지만, 그게 또 그렇지도 않은건데. 엄마 아빠도 어린 시절 보듬어주지 못한 내 속의 나를 품고 사셨을텐데 그건 친구들과 나누셨을까 하는 마음에 이제라도 여쭤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릴 적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그간 누구에게도 일절 안하셨던 이야기를 해주신 적이 있다. 위암 수술후 간으로 전이되기 전 기간이었는데, 태극기함 만드는 숙제를 도와주신다고 오신 할아버지께서 톱질과 망치질을 하시면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참전 이야기를 해주신거다. 강제 동원이 된 배경, 어떻게 포로로 잡혀 러시아군인에게 끌려갔는지, 하마터면 사할린 동포가 되실 뻔했던 상황에서 어떻게 도망쳐나왔는지, 이남으로 돌아와는 과정 종전이 되면서 어떻게 38선을 넘었는지, 38선을 넘어 레이밴 선글라스를 쓴 미군장교를 본 순간 드디어 무사히 돌아왔다고 느낀 순간의 감정 등 정말이지 생생한 이야기였다. 폭탄을 안고 러시아 탱크 아래로 뛰어 들어가 탱크를 제거하는 임무를 받았는데, 안들어가면 일제 장교에게 죽고, 들어가면 터져 죽을 거 같아서 이도저도 못하다가 오줌을 싸고 기절하신 이야기, 이가 들끓는 옷을 벗어서 탈탈 털어 최대한 이를 제거하고 다시 입은 이야기, 포로들에게 밭에서 볼일을 볼 수 있게 해줄 때, 다시 이동하기 전 포로 수를 다 셀 수 없어 기관총으로 밭을 주욱 갈겨 쏘고 이동하는 걸 피하고자 인근 똥통에 숨었다가 온 몸에 똥독이 올라서 고생했던 이야기 등 정말 어디 소설에서나 볼법한 이야기를 들었다. 엄마는 살면서 할아버지가 한번도 이런 이야기를 하시는 걸 들은적이 없다 하셨고, 이후 해병대에 들어가셨고, 그 끈끈한 전우애와 해병대의 강인함 이런 이야기만 듣고 보고 자라셨다 했다. 그런 이야기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한 건 본인이 곧 돌아가실 걸 아신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만 해보신다며..
엄마, 아빠, 그리고 이제 내년이면 백세가 되실 외할머니의 이야기를 이번에 방문하면 꼭 들어보고자 한다. 이런 드라마틱한 일은 아니더라도, 어떤 이야기가 숨어있는지 궁금하다. 그때의 일상과 생각, 기억에 남는 것들 말이다. 그를 듣고 나면 엄마와 아빠를 조금 더 다른 형태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그 이야기를 듣고 나면 글로 남기고자 한다. 외할아버지의 이야기를 그때 기록으로 남겼다면 좋을텐데, 그렇지 않아서 기억이 드문드문 지워지고 오염되었다. 너무나 아쉬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