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는 닮는다던데.
옌스가 나를 닮아가는 게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옌스를 닮아가는 건 분명히 있다. 습관을 기르고 습관에 따라 살아가게 된다는 면에서가 그렇다. 나는 옌스를 “습관의 동물”로 묘사할 만큼 무슨 일을 하든 앞으로 계속 해야할 일이면 쉽사리 습관화를 하고 꾸준히 이를 지켜간다. 덕분에 한국에 가서 산 건 두 달 뿐인데 지난 2년이 넘는 시간 동안의 자습을 통해 나와 한국어로도 제법 대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참으로 놀라운 사람이다.
나는 즉흥의 삶을 살아왔는데, 한 번 꽂힌 일은 짧은 시간동안 주구장창 파고, 실증이 나거나 한번 어떤 이유로 멀어지면 다시 그 길로 잘 들어서지 못하는 사람이다. 한번 망친 일은 다시 들여다보기 싫어서라고나 할까. 완벽”주의”의 대표자이다. 그러다 보니 삶에 있어서도 부침이 큰 편이었는데, 잘 할 때는 엄청 열심히 하고 열정적으로 살다가 번아웃이 오면 관둬버렸고, 살도 엄청 쪘다가 뺐다가를 자주 반복했다. 집도 일주일에 하루 힘을 내서 치울 때만 엄청 깔끔하게 치우고, 한동안은 어지르고 정리하기 싫어하곤 했다. 그랬던 내가 옌스와 함께 지내면서 많이 바뀌었다. 완벽주의를 천천히 버려가고 있다. ‘조금만 더 해보자.’, ‘좀 쉬었어도 안하는 것보다 하는 게 더 나으니 다시 해보자.’와 같은 식으로 말이다.
만났던 첫 해 겨울, 옌스가 퇴근하고 집에 놀러와서 같이 놀다가 산책을 나가자고 하면 어찌나 나가기가 싫던지. 하루에 한번은 꼭 산책을 해야 한다고 믿는 전형적 덴마크인인 옌스는 그래도 나가자고 나를 찔러서 추운 겨울 밤 나를 집 밖으로 끌어냈는데, 막상 나가면 좋은데도 왜그렇게 나가기 싫었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나중에 내가 싫다고 해도 좀 끌어내달라고 부탁을 한 적이 있다.
옌스는 시간 낭비하는 것을 엄청 싫어한다. 간혹 파워냅이라고 10~30분 낮잠 자는 거 빼고는 뒹굴거나 하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내가 엄청 좋아하면서도 동시에 자기 환멸을 느끼게 하는 게 뒹굴거리는 것이었는데 그런 바른 모습을 몸소 보여주는 남편이 옆에 있으니 갈 수록 뒹굴거리지를 못하겠더라.
퇴근하고 와서 피곤하다면서도 하루도 빠짐없이 한국어를 공부하는 옌스를 보면서 덴마크어 공부하기를 불평할 수 없었고, 맛있는 음식을 앞에 두고도 많이 먹고 빼는 건 건강한 삶의 습관이 아니라는 그 앞에 확 빼고 찌는 모습을 보일 수 없었다. 직장생활을 한 동안 한번도 병가를 낸 적이 없었다는 옌스 앞에서 아프다고 늘어져있을 수가 없다.
대단하다고 생각을 했는데 – 물론 지금도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 이제는 그냥 그렇게 생각만 할 게 아니라 나도 그렇게 하고싶다. 절대 세상은 호락호락하지 않다고 하고 아주 탁월한 재능은 노력으로 이길 수 없을지 몰라도 어설픈 재능은 노력을 이길 수 없다는 그의 말에 깊이 공감한다. 그리고 예전엔 말이 쉽지, 실천이 어렵다고 하던 것들은 그냥 실천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다가 느슨해진 나를 발견하면 나중에 다시 나사를 조여야지 하는게 아니라 바로 나사를 조이곤 한다.
11월 자기가 하나를 보겠다고 하더니, 나보고 바로 공부하라고 재촉이었다. 일 하는 것과 똑같이, 평일엔 친구 만나고 놀지 말고 이제 공부하란다. 원칙주의자. 흠. 갑자기 일상으로 돌아가는 건 쉽지 않았지만, 자기도 갑자기 혼자 애 보기 힘들텐데 나를 뒤에서 밀어준 덕에 어느새 학교에서의 일상이 다시 익숙해지고 탄력이 붙었다.
예전엔 짐 회원권 끊어놓고도 가기 귀찮아서 안가곤 했는데, 요즘은 그런게 어디있는가. 짐에 못가는 날이면 집에서라도 하게된다. 하기 싫은 순간도 하기 싫다는 생각을 길게 할 수록 하지 못하는 것을 알기에 생각이 나면 몸을 움직여 스쿼트라도 몇번 한다. 그러면 몸도 다시 상쾌해져서 목표하던 바를 계속 추진하게 된다.
덴마크어도 마찬가지다. 2014년 8월부터 시작했으니 어느새 3년이 넘었다. 준외교비자로 온 탓에 비자를 바꾸기 전까지 1년은 6주에 100만원씩 내가며 공부했었다. 남들은 나라에서 내주는 돈으로 공짜로 배우는 덴마크어를… 그때까지만 해도 옌스와 결혼까지 하게 될 지 모르는 상황이었는데, 관계가 유래없이 안정적인 사람이었기에 헤어지게 된다면 관둔다 하더라도 우선은 배워두겠다는 마음이었다. 산책을 나가면 몇 단어를 모르던 시기에서부터 무조건 덴마크어로만 말하기를 한다던가 옌스의 방식대로 우리만의 습관을 만들었었다. 책 읽기 연습을 하면서 옆에서 옌스가 발음을 교정해준다던가 하는 식으로. 내가 쓰는 글에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거나 다소 이상한 표현들은 있을지라도 이제는 거의 업무를 할 수 있는 덴마크어에 가까워져가고 있다. 물론 덴마크어사전은 내 베스트프렌드지만.
항상 쉬지 않고 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그가 있었기에 간혹 덴마크어 배우는 게 힘든 순간이 와도 슬럼프를 극복할 수 있었다. 영어로 하루종일 수업하는 것만으로도 피곤했던 첫학기, 집에와서 오늘 배운 것을 덴마크어로 말해야하는 게 짜증나던 날도 있었다. 사실 생각해보면 버벅거리는 나를 상대하고 있어야 했던 옌스가 더 짜증났을 지도 모르겠다. 내가 옌스 한국어 공부 도와주는 것이 엄청 인내심을 발휘해야 하는 걸 보면… 계속 시도하지 않으면 늘지 못한다는 그, 자기도 말뿐이 아니라 그렇게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어찌 말이 쉽지 실행이 어렵다고 불평할 수 있겠으랴.
덴마크 엄마그룹에 껴서 덴마크어를 할 때 바짝 긴장했던 10개월전의 나와 지금의 나는 많이 달라졌다. 알아듣는 폭도 엄청 늘었고, 덴마크어로 말하고 생각하는게 스트레스가 아니다. 매일매일은 느는 걸 못느끼고 발전이 더디다고 생각하지만, 어느날 과거 어떤 날의 내 모습이 기억나는 때가 있는데 그런 때, ‘아하. 엄청 늘었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외국인이니 못하는게 부끄러운 게 아니다라며 처음 배운 덴마크어로 무조건 여기저기서 시도해보는 나를 보며 옌스는 간혹 재미있다며 웃기도 했지만 그게 좋은 자세라며 항상 격려해줬다. 그런 그가 있었기에 더욱 더 철판을 깔고 시도했고, 간혹 내가 엉뚱하게 알아듣고 잘못 답하고 상대가 이상한 표정을 짓게 되는 에피소드들도 더해져갔다. ‘아, 내가 외국인이라 잘 못알아 듣고 헛소리를 간혹한다. 미안하다.’로 마무리 되는 에피소드를 집에 와서 전하면 옌스는 배를 잡고 웃곤했는데, 이렇게 틀린 것들은 잘 잊어버리지 않게 되어 오히려 더 좋았다. 외국인인 나를 위해 영어로 바꿔주는 덴마크인들에겐 나 연습 좀 하고싶다고 부탁아닌 부탁까지 해가며 연습을 했는데 간혹은 낯이 뜨겁긴 했어도 다 좋은 경험이었다. 덕분에 하나 보육원을 시작하면서 보육 선생님과 말도 다 할 수 있게 되었으니 말이다.
오늘은 참 날씨가 별로인데, 그래도 운동을 가야겠다. 짐 회원권도 끊었으니 자주 가야지. 레노베이션도 해서 많이 커지고 좋아졌더라. 열은 내렸지만 컨디션은 여전히 별로인지 하나가 껌딱지처럼 나에게 붙어있는다. 그래도 요즘 운동을 엄청 열심히 했더니 아기띠를 오래하고 있어도 허리가 하나도 안아프네. 그러니 더 해야지. 요즘 옌스가 하나를 재우는 덕에 7시 이후 내 개인 시간도 생기고 너무 좋다. 일 분담도 정해지고 이런 루틴 또한 분명해지니 삶이 편해지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