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계약서에 사인을 했다. 서로 구속력있는 채용 및 근로의사를 이메일로 표현했기에 근로시작일로부터 한달 이내에만 고용주가 근로계약서를 교부하고 고용인이 이에 서명을 하면 된다고는 했다. 그래도 또 계약서에 서명을 해야 진짜 일이 마무리가 되는 것인지라 지난주 내 측에서 필요한 경력증명서류 등을 보내놓은 후부터 언제 계약서가 오나 오매불망 기다렸는데 오늘 받았다. 받자마자 후다닥 내용을 읽어보고 서류에 서명을 해서 얼른 답신하고 나니 이제 모든 게 정리된 기분이다. (논외로 공무원은 비자를 안해주는 걸까? 계약서 마무리를 위해 필요한 게 노동허가증이라고 했으니 말이다. 아니면 혹시 노동허가증이 없으면 그것부터 만들고 계약서를 써야 하는 거였을까? 다 마무리가 되었는데 내 노동허가증이 없어서 계약서를 못보내주고 있다며 서둘러 보내달라고 했었고, 그걸 보내주자마자 계약서를 송부해줬는데, 정말 노동허가가 없으면 계약서에 사인조차도 할 수가 없는 거인가?)
내일은 스투디프뢰운 시험의 구술시험이 있는 날. 시험을 볼까 말까 2주일을 고민했으나 결국은 보기로 마음을 먹었다. 1. 세계화 시대에서의 언어, 2. 덴마크의 청소년 범죄, 3. 예술과 문화, 덴마크의 문화정책, 이렇게 세가지 주제 중에서 랜덤하게 뽑은 주제로 5분간 발표를 하고 25분간 질의응답시간을 갖게 된다. 우선 발표 준비는 안하고 가는 걸로 마음을 먹었다. 진짜 시험을 볼 의지따위는 취직 이후 사라졌지만, 시험을 보다가 구술만 안보는 건 화장실에서 뒤 안닦고 나오는 것 같은 찜찜한 일이라서 말이다. 따라서 5분 발표준비를 안하고 가서 떨어지게 되면 떨어지더라도 시험을 안봐서 떨어졌지만 혹시 봤다면 어땠을지 결과를 모르겠다, 라는 것보다는 기분이 나을 것 같다. 10시부터 10시 30분까지니까 시간도 나쁘진 않고 다행히 내일 비도 안올 거 같아서 자전거 타고 가기도 아주 나쁘진 않다. 시험보러 가는 길 역풍인 것만 빼면…
옌스가 취직도 했으니 옷을 좀 사라며 너무 싼 브랜드에서 말고 좀 더 좋은 브랜드에서 옷을 사란다. 맨날 SPA 브랜드에서 몇개 사서 주구장창 입는 게 돈 많이 안쓰는 측면에선 좋았겠지만, 보기에 아주 좋았던 건 아닌 모양이다. 사실 나도 알긴 했지만, 다른 학생들도 다 수수하게 다니는데 나도 학생으로서 혼자 괜히 화려하게 입고 다닐 이유도 없고, 돈도 안버는 입장에서 괜히 옷에 돈 많이 쓰기도 그랬고. 무엇보다 어린 애가 있으니 하도 옷에 뭐 묻힐 일이 많아서도 그랬다. 이제 하나가 내 옷에 뭘 묻히는 빈도도 낮고, 돈도 벌고 하니 옷장을 조금만 업데이트하려고 한다. 오래간 묵혀뒀던 신발들도 이제 좀 다시 꺼내서 신어줄 수 있겠다 생각하니 그 또한 살짝 두근거리긴 한다. 크리스마스 선물 쇼핑이 다 끝나면 내 것도 좀 사야지. 낡은 옷들도 정리 좀 하고…
시험을 앞두니 피곤하면서도 잠이 안오는구나. 어거지로 잠을 청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