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겆이를 하려는데 싱크대가 너무 낮을 때. 덴마크 싱크대가 내 허리에 딱 맞아서 한국 싱크대가 새삼 낮게 느껴질 때
- 우회전을 할 때 신호 없이 우회전을 해도 된다는 게 영 불안하고 있지도 않은 자전거주행자가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하며 회전할 때
- 매장에 들어설 때 아무런 다른 역할없이 인사만 하는 점원이 영혼없는 모습으로 공허한 인사를 하고 아무도 그 인사에 대답을 안하는 모습을 볼 때
- 그래서 그 인사에 내가 답을 하면 낯섬에 당황함이 느껴지는 점원의 얼굴을 볼 때
- 나와 옌스가 하나와 걸어다닐 때, 하나와 나의 얼굴을 번갈아 보다가 옌스의 얼굴을 쳐다본 후 끄덕거리는 모습을 볼 때
- 하나와 쉽게 놀 수 있는 야외놀이터를 찾기가 어려울 때
- 서울이 너무 크다고 생각될 때
- 미용실에서 헤어디자이너 한명 뿐 아니라 어시스턴트 두명이 붙어서 커트를 도와줄 때
- 그리고 그 가격이 너무 쌀 때
- 홈쇼핑과 드라마 채널이 낯설게 느껴질 때
- 한결같이 젊은 사람 일색인 뉴스 아나운서의 로보트같은 화장과 정장차림이 이상할 때
- 단지 내가 자기보다 어리다고 반말하고 별로 대답하고 싶지 않은 질문을 둥글려 답하는데도 굳이 집요하게 같은 질문으로 파고들 때
- 엄청 많은 식당과 술집 간판을 볼 때
- 이쁘고 아기자기한 디저트류를 여기저기서 흔히 볼 수 있을 때
처음에 덴마크가 불편하다고 생각하던 나는 어느새 덴마크의 삶에 익숙해졌다. 그때의 불편함과 낯섦은 당연함이 되었고, 한국의 익숙함은 낯섦으로 바뀌었다. 너무 차이가 극명해서 그 대조가 쉽게 느껴지는 것 같다. 옌스와 결혼하며 한국에서의 삶은 고려하지 않았지만 한국에서의 국제커플의 삶은 피곤한 면이 꽤 있는 것 같다. 끊임없는 질문과 시선 때문에. 사실 애 없을 땐 이 정도는 아닌 거 같았는데 웃으며 넘기긴 해도 조금 불편함이 있다. 또 키즈까페에서 하나와 놀면서 ‘쟤는 외국인인가봐, 머리가 노래, 머리가 노란데 왜 이름은 한국어로 써있지?’ 와 같은 이야기를 듣게 되고, 엄마가 한국인이니 아이는 한국인이기도 하다고 해줘도 아니라는 부정의 말을 들을 때 덴마크를 터전으로 잡은 게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난 한국인이지만 여기서 더 이방인같은 느낌이 든다는 게 참 이상하다. 왜 우리는 이렇게 배타적이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