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가 토할 것 같은 하루

오늘은 명상이 필요한 날이다. 자전거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30분의 시간동안 ‘inhale’, ‘exhale’을 되뇌이며 페달을 밟았다. 무엇을 하든 들숨과 날숨에 집중하면서 다른 생각이 머리에 들어오는 것을 무심히 두면 명상이 된다는 티벳 승려의 인터뷰를 마침 본 탓이다.

오후 수업은 Applied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작년엔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했다던데, 해당 과정을 담당했던 교수가 다른 곳에 취직을 하면서 교수진과 함꼐 과정 내용도 바뀌었다. 올해는 Input-Output model에 기반한 Quantity model을 가르친단다. 덴마크의 National 및 Regional Accounts Data를 기반으로 지역경제학 + 생산경제학을 배운다. 환경경제학에서 어떤 한 산업의 생산을 늘릴 경우 그로 인한 영향이 다른 지역으로 어떻게 확산되는 지 등에 활용한다고 해서 배워두면 좋을 것 같긴 하다.

솔직히 재미는 정말 없다. 수학적으로는 크게 어렵지 않은 선형모델을 이용하는데, 그 모델이 구축된 배경을 이해하고 이 모델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이해해야 한다는 게 쉽지 않다. 교수의 단조로운 목소리도 그렇고 쉬운 컨셉과 어려운 컨셉 할 것 없이 단조로운 속도로 빠르게 진도를 빼는 것이 고역이다. 간혹 이해가 안되서 질문을 해도 그 설명이 참 쉽지 않다.

그런 상황이 지난 2주간 차곡차곡 쌓여 오늘은 머리가 정말 터질 것 같았다. 뇌가 더이상 이해를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나 할까. 수업이 끝나고 속이 안좋은 기분마저 들었다. 뇌가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지 못하고 토하는 것 같은 기분.

안그래도 Political Ecology의 철학적이고 긴 텍스트를 읽고 그룹 프로젝트를 매주 준비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하고 있었는데, 이 수업마저.

집에 온 옌스가 집에 오자마자 스트레스 받은 내 상태를 눈치채고 괜찮냐고 물어본다. 읽을 거리와 수업으로 스트레스 너무 받는다고 이야기를 했다. 앞으로 8주간 더 가야하는데, 벌써 이런 기분이 들면 어쩌나. 일체유심조라는데 자꾸 싫다는 생각이 들면 더 싫어져서 힘들 거 같아 자전거 통학길 마지막 순간에는 ‘다른 여러 관점을 이해하는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혀주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거야. 감사한 마음으로 읽자.’라고 되뇌이며 스스로에게 체면을 걸고자 노력했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공부를 하기 싫어서 조금이나마 시간을 쓰고 있는 것이라 봐야한다.

취침 전까지 남은 네시간, 열심히 읽어봐야겠다. 우선 하루살이 인생으로라도 버텨봐야지. 아자아자!

(오늘 오전까지만 해도 멀리 한국에서 출장온 대학교 후배와 좋은 시간을 보냈는데… 점심 먹고 후배가 가져다준 바나나킥을 먹을 때까진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었는데… 오늘 오후가 참 힘들었다.  ㅠㅠ )

4 thoughts on “뇌가 토할 것 같은 하루

  1. 유학 와서 처음 수업 듣고 좌절하고 있었는데 덕분에 힘을 얻고 갑니다ㅠ 나만 힘들게 아니구나 하는..^^;;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