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어 발음은 독일어와 너무 다르다.

게르만어에 어원을 두고 있는 덴마크어이기에 많은 단어가 독어에 어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생김새도 독어와 비슷한 경우가 많아, 독어를 조금이라도 접해본 사람들은 어떻게 발음해야할 지 잘 모르는 단어를 그냥 독어식으로 읽어버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독일인들은 덴마크어를 빠른 속도로 배우지만 자기네식 발음을 못버리는 경우가 많아 발음이 나쁜 나라 사람들로 낙인이 찍혀있다는 것이다.

덴마크어의 모음과 자음은 우리와 상이한 게 워낙 많아 우리네 한글로 정확히 표현할 수 없지만, 이를 독일어식 발음으로 치환해서 한국어로 표현할 경우는 원래 발음과 너무 달라진다. 덴마크에 여행객도 늘고 유학생 및 워킹홀리데이 방문자도 늘어나면서 블로그에 덴마크 지명과 브랜드명 등이 많이 소개되는데, 완전 잘못된 발음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아쉬운 점이 많다. 짧은 기간 지내는 사람들이라 덴마크어를 배우지 않고 그렇다고 현지인에게 해당 발음을 듣는게 아니라 여기서 비슷한 목적으로 온 사람들을 통해 구전에 구전으로 발음과 정보가 공유되기에 앞으로 오는 많은 사람들도 잘못된 정보를 안고 전파할 거란 생각이 들었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Nørreport (뇌어폿 O – 뇌레포트 X), Nørrebro (뇌어브로 O – 뇌레브로 X), Torvehallerne (토(우)어핼러네 O – 토브할렌 X), Amelienborg (아멜리엔보어 O – 아멜리엔보그 X), Kongens Nytorv (콩엔스 뉘토우 O – 콩겐스 뉘토브 X), Carlsberg (칼스베어 O – 칼스베르 X), Tuborg (투보어 O – 투보그, 투보르 X), Helsingør (헬싱외어 O – 헬싱괴어 X), Skagen (스케인  O – 스카겐 X) 등이 있다. 네이버 블로그 이웃님의 추천으로 누락된 것과 하나 더 추가하면 Amager (아마 O – 아마게르, 아마거 X), Strøget (스트로이엘, 스트로이엣 O  – 스트뢰엘, 스트뢰엣, 스트뢰이에트 X) 등이 있다.

덴마크의 R은 한글의 첫자음 자리에 해당하는 발음이 될 때는 불어 R에 가까우나 더 목구멍에 가까운 데에서 나는 소리가 난다. 그러나 받침자음 자리에 해당하는 발음이 될때는 ‘어’의 발음이 난다. 따라서 -borg, -berg는 보어, 베어 식으로 발음이 나고, -bro에서는 브로 식으로 발음이 난다.

V는 첫자음 자리에 오는 경우가 아니면 ‘우’의 발음으로 바뀐다.  Vogn은 웨건의 뜻을 가진 단어인데, 이는 보운으로 발음이 나지만, 코펜하겐의 덴마크어 원어인 København은 쾨벤하븐이 아니라 쾨벤하운으로 발음한다. Nytorv의 v도 우로 발음한다.

G도 첫자음으로 올 땐 g의 발음이 나지만 그 외의 자리에 올 경우 다른 모음의 발음을 변형시킨다거나 다른 자음을 변형시키는 역할을 하지 독립적으로 g의 발음을 내지 않는다. 따라서 Kongens는 콩겐스가 아니라 콩엔스로 발음이 난다.  Skagen도 스카겐이 아니라 스케인인 것, Helsingør가 헬싱괴어가 아니라 헬싱외어인 것, -borg, -berg에서 마지막 g가 발음되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남유럽 사람들이나 동유럽 사람들, 중동 사람들이 특히 이 g발음을 못버려 수업시간에 자주 지적되곤 한다. 내 관찰이 아니라 수업에서 해당 지역 사람들의 발음 특성에서 주로 거론되는 특징인데,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는 발음의 특징이라기보다는 그냥 잘 몰라서 그런 것 같다. 알고는 대부분 쉽게 고치는 것 같으니 말이다.

-ager로 끝나는 단어는 원래는 ‘-에이어’ 식으로 말음되다가 이제는 ‘-아’ 식으로 발음된다. Amager, tager 등 모두 아마, 타로 발음하면 된다.

Øj, øg는 많은 경우 ‘-오이’로 발음된다. 따라서 Strøget이 스트로이엘, 스트로이엣 식으로 발음되는데, -et는 원래는 엣으로 발음되다가 현대에 와서는 -ed식으로 발음되면서 엘로 많이 발음된다. 한국 엘과는 전혀 다른, 처음 시도하면 왠지 구토를 유발할 거 같은 발음인데, 얼핏 들으면 영어식 엘로 발음한 것처럼 들린다. 미국이나 영국 원어민 모두 공감하는 바이다. 24시까지 여는 Døgn netto도 같은 원리로 도인 네토라고 발음하면 된다.

‘발음이 뭐 중요해, 말만 통하면 되지?’라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덴마크에서는 이말이 안통한다. 정말 안통한다. 정확한 발음을 워낙에 강조하는 나라이고 거기에서 어긋나면 못알아듣는게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처음 덴마크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자기 딴에는 엄청 비슷하게 발음한다고 말을 해도 상대가 못알아 들어 좌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좌절을 계속 극복하고 꾸준히 발음을 연습해야 대화의 문이 트이고, 문이 트여야 연습도 자꾸해서 늘게 된다.

위에 쓴 예시들은 한국인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푸느라 현지어 발음을 우리 한글로 풀어낸 것이기에 실제 발음을 들으면 또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 발음을 한국어식, 다른 나라 사람일 경우 자기네 나라 발음으로 대입해서 공부하면 평생 외국인의 액센트를 달고 살 수밖에 없기에 절대 이렇게 공부해서는 안될 것이다.

다만 덴마크에 대해서 쓴 많은 블로그 글에 완전 off한 발음들이 구전에 구전을 거듭하여 먼 한국까지 전파되는 게 안타까워 오지랖이 넓게도 이 글을 쓴다.

 

2 thoughts on “덴마크어 발음은 독일어와 너무 다르다.

  1. 우연히 들어왔어요. 한국어를 아는 분이 쓰신 덴마크어 발음에 대한 자세한 언급 감사합니다. 사실 배우면 되는데 글자와 발음이 워낙 따로 노는 듯 싶어 제가 귀찮고(!), 모르다보니 전혀 다르게 들리는게 당연한데다 한글로 쓰면 더 이상해져서요. 가령 예를 드신 ‘뇌어브로’도 ‘뇌어브’까지야 들리지만 약음이라 끝이 ‘로’로 들리진 않았어요. 굳이 적자면 제겐 ‘보흐’가 더 비슷해 보였죠. 원래 ‘로’로 끝나나 봐요. 덴마크어를 모르니 이런걸 알 수가 없어요. ^^; 독일식 발음을 먼저 연상한다는 지적에도 공감합니다. 같은 스칸디나비아라도 노르웨이나 스웨덴 사람조차 덴마크어 발음에 절망하는 거 여럿 봤어요. 특히 제게 R 발음은 정말 절대 불가 영역 같아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 아, 그냥 가볍게 댓글 달고 싶었는데 여기선 쉽지 않네요. ^^

    • 뇌어브로는 최대한 표현하자면… 음… 사실 뇌어브로도 아니고 ㄴ어ㅂ호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글자와 발음이 따로 노는 것 같은 이유는 우리가 영어를 먼저 배워서인 것 같아요. 발음 룰은 영어보다도 규칙적이더라고요. 그 규칙만 익히면 모르는 단어도 대부분 정확하게 읽을 수 있거든요. 다양한 언어를 배우다보면 새로운 언어에 접근하는게 훨씬 수월해지더군요. 절대불가영역같은 것들도 시간과 공을 들이면 가능해진다는 생각입니다. 🙂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