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일기] 만 8주 + 하루의 하나에게

하나야. 엄마는 아기를 낳고나면 세상이 바뀐다는 사실을 믿지 않았단다. 그래. 너를 낳고 세상이 완전히 달라지진 않더라. 엄마는 너를 낳기 전까지 36년이 넘는 시간을 엄마가 아닌 사람으로 살았는데 그게 어떻게 하루아침에 바뀌겠니. 그래도 네가 태어나고 나니 세상을 보는 시선이 바뀌더구나. 아마 그게 하루 아침에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그런 것 같다. 딱 하나 확 바뀐 게 있다면 내가 네 아빠와의 관계랄까? 결혼을 하고난 뒤 우리는 가족이라 이미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그래도 피를 나눈 가족과는 다르다고 생각을 했는데, 너의 출산을 기점으로 놀랍게도 네 아빠가 내 마음속으로 더욱 더 확 다가왔단다. 네가 태어난 순간부터 말야.

엄마는 네가 처음에는 하나의 과업처럼 느껴졌단다. 잘 수행해 내야 하는 과업 말이야. 처음부터 정말 열심히 했어. 모든 일은 효율적, 효과적으로 하고 싶은 사람인지라 육아마저도 그렇게 하고 싶었단다. 네가 울면 빨리 왜 우는지 파악해서 해결해주고 싶었고, 기저귀 갈고, 목욕하고, 산책시키고, 토하면 치우고 등등 이런 일들을 최대한 잘 해결하고 싶었어. 그런데 그걸로는 부족하더라. 네 아빠가 너를 다루는 모습에서는 효율성은 부족하지만 나와 다른 여유가 있어보였어. 그리고 어떤 날은 젖토한 것으로 엉망이 된 너를 그 상황에서 벗어나게 해주려고 서두른다는 것이 오히려 토한 뒤의 불쾌감으로 우는 너를 보듬어주기보다 치우는 데 급급하고 있었어. 소리만으로도 똥이 기저귀 밖으로 곧 샐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던 다른 날엔 똥 빨래를 최대한 피하고자 마음만 급해서 너를 눕히지 않고 한손으로 안아 바지와 바디수트를 벗기려고 하며 너를 불편하게 하고 있었단다. 그럴 때마다 아차 싶었어. 어느 날 이런 저런 육아 글을 읽다가 갓 태어난 아기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는 말에 그거구나 싶었어. 엄마가 너를 인격체보다는 엄마가 수행해야 할 하나의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었구나 하고 말야. 이젠 조금 더 여유를 갖고 너를 대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러면서 너와 한층 더 가까워졌다는 생각이 드는구나.

엄마도 처음으로 엄마가 되다보니 하루하루 깨닫는 것이 많단다. 그래서 아이를 낳아야 어른이 된다는 이야기를 하는구나 싶었어. 물론 그 말이 정말 말그대로 아이를 낳아야 어른이 된다는 이야기라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그만큼 사람을 새롭게 성숙시키는 계기가 된다는 말이겠지.

엄마가 너를 낳기 전에 보리를 입양해 키운 것은 참 잘한 일이었구나 생각해. 지금은 살고 있는 집의 조건상 보리와 함께할 수 없어서 할머니, 할아버지가 키워주고 계시지만, 그 경험이 없었으면 너를 키우는 게 한층 더 힘겨웠을 것 같아. 내가 책임져야 하고, 내가 원하는 대로 통제할 수 없는 존재를 어떻게 키워야 하는가를 한층 낮은 수준이나마 경험할 수 있었거든. 엄마는 한국에 가서 지내는 동안 네가 보리와 지내며 동물과 가까이 하는 법을 어려서부터 알려줄 수 있으면 참 좋겠다 싶어.

세월호가 인양되서 항구로 옮기는 중이란다. 네가 태어나기 전에만 해도 자식을 잃은 부모들의 마음을 다 이해할 수는 없었어. 그건 너를 임신하고 있는 기간중에도 마찬가지였단다. 지금도 여전히 완전히는 알 수 없겠지만, 조금이나마 더 이해할 수 있게 되었어. 하루하루 너와 가까워지고 있는데, 이렇게 사랑과 공을 들여 키우는 자식과 20년이 가깝도록 매순간 조금씩 더 가까워졌는데 하루 아침에 차가운 물속에 잃어버리고 찾지 못하는 심정이 어떨지는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것이로구나.

너를 키우다보면 아찔한 순간들을 상상하게 되는 찰나들이 있어. 너를 안고 걸어가다가 발에 뭔가 채여서 살짝 흔들린다거나 하는 찰나. 그에 걸려 넘어졌으면 너는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상상이 드는 거지. 집안일을 하는 도중 혼자서 목이 터져라 우는 너를 내버려 둘 수 없어서 바운서에 앉혀 부엌에 두고 부엌일을 하다보면 혹시 뭐가 떨어져서 너를 다치게 하는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해서 과민하다싶을 정도로 조심하게 되곤 해. 그러다가 아주 일순간 습관처럼 일을 하다 손이 기름병에 부딪히기라도 하면 아차 하는 생각에 다시금 정신을 차리곤 하지. 그러다 보면 네 아빠도 괜히 걱정이 된단다. 세상일이란건 정말 모르는 일이니까. 예전에 엄마, 아빠가 나보고 길조심 하라고 매일 이런저런 걱정어린 말씀들을 하실 때면 어련히 잘 알아서 하겠냐고 핀잔을 드리곤 했는데, 그 마음이 어떤 것인지 이제는 이해가 되는구나. 왜 어제 한 이야기인 것을 알면서도 또 이야기 하셨는지.

이번에 덴마크에 방문을 하고 가신 네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비행기 안에서 난기류에 기체가 흔들리는 순간에 그런 이야기를 나누셨대. 할머니가 “여보, 혹시 이 비행기가 추락이라도 하면 걱정되는 일이 있수?” 하고 물어보시자 할아버지는 “아니, 이제 해인이도 결혼생활 어떻게 하는지 잘 보고, 하나도 낳아 잘 기르고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고 나니, 아들, 딸 자식 모두 잘 살고 있어 걱정하는 거 하나 없소.” 라고 하셨대. 그리고 할머니도 그 생각이셨다고. 그 마음이 어떻셨을런지는 난 아직 잘 모르겠어. 언젠가 나도 너를 보고 그런 마음이 들런지. 그게 진짜 너를 독립시키는 순간일거란 생각이 드는구나.

8주밖에 되지 않은 네가 벌써부터 엄마와 힘겨루기를 시작하는 것을 보며 앞으로도 참으로 많은 밀고 당기기가 기다리고 있음을 느끼고 있어. 어느새 부모와 너만의 방식으로 대화를 하며 요구사항을 밝히는 너. 이제 우리가 식탁에 앉아서 밥을 먹을 땐 너는 바운서에 앉아서 기다리는 것으로 룰이 정해졌고, 너는 칭얼거리거나 울음으로 젖을 빨아보겠다고 한 두번 시도를 해보지만 기다리라며 손을 뻗어주지 않는 단호함에 참고 기다리게도 되었구나. 방금 젖을 먹고도 저녁에 엄마를 찾는 너를 보며, 벌써 떼를 쓰기 시작하는 네가 정말 하나의 인격체라는 것을 알게 된단다. 앞으로도 무수히 많은 밀당을 하겠지만 너의 마음은 보듬어주면서도 네가 사회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훈육은 놓지 않는 엄마가 되도록 노력할 거란다. 서운한 순간도 많겠지만, 엄했던 엄마의 마음을 충분히 잘 이해하는 나이기에 너도 내 마음을 이해해 줄 수 있을 거란 마음으로 힘든 밀당을 할 거란다. 그 시기가 이렇게 일찍 온다는 사실에 놀랄 뿐이란다.

오늘부터 썸머타임이 시작되었어. 컴퓨터 시계엔 8시로 되어있지만, 사실 어제까지 7시였던 시간이지. 내 앞에선 네가 자다가 지금 막 용을 쓰며 기지개를 키는구나. 매일 밤 수유하느라 세번은 깨지만 이젠 그게 크게 힘들지 않단다. 사람의 몸이 다 적응하게 설계가 되어있구나 싶어. 솔직히 일년이라는 육아휴직기간이 두려워. 공부로부터 손을 확 뗀 상태로 두 달이 벌써 지나가버렸는데, 앞으로 8개월 후 논문으로 잘 복귀할 수 있을런지 걱정도 되고. 그렇지만, 조금 더 네가 크고 나면 아주 조금이나마 여유가 더 생기고, 진득하게 앉아서 아티클이라도 읽을 시간을 확보하게 되면 그때 공부는 걱정하기로 하고 지금은 너에게 집중하기로 했단다. 수유하고 기저귀 갈고 하는 토막난 시간에 긴 호흡으로 집중하며 읽고 생각해야 하는 아티클은 정말 읽기가 어렵더구나. 그걸 다 잘 하는 엄마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대신에 엄마는 신문과 텔레비전을 마음 놓고 보기로 했단다. 너 수유하는 시간과 다 먹고 젖토하는 지 지켜보는 시간 동안 말이야. 그래서 그런지 지난 두달 간 엄마의 덴마크어가 한층 더 늘었음을 느껴. 그러다 보면 더 단어도 열심히 외우고 작문도 해보며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욕구가 늘지만, 채우기 힘든 욕구를 쌓아두면 스트레스가 되니 우선은 그 마음은 한켠으로 미뤄두고 말이야.

이제 너도 곧 일어날 시간이 되었구나. 엄마도 배가 참 고프다. 너에게 젖을 먹이려면 엄마가 먼저 잘 먹어야 한단다. 오늘 하루도 같이 잘 해보자꾸나, 하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