옌스가 출장을 간 날이면 그 빈자리가 유독 크게 느껴진다.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는 게 바로 이런 것일까? 내가 한국으로 여행을 간 때면 그 빈자리가 이렇게 느껴지지는 않으니 말이다.
이번 달엔 이번 주 한 주, 다음 주 한 주 건너 그 다음 또 한 주 이렇게 2주를 꽉 채워 집을 비우니 그 빈자리를 느낄 기간도 길다.
회식이나 친구들과의 모임이 별로 없다보니 카약이나 기타 취미활동 등으로 아무리 늦게 들어와도 대충 10시 전엔 집에 들어오는 터라 이렇게 10시 반을 넘어가는 시간에 혼자 집을 지키는 일은 어색하다. 내 옆자리를 파고드는 보리도 없고.
이 기간이 길지 않다는 것을 알기에 늦은 시간 내가 원하는 음악을 켜고 공부를 하든, 글을 쓰든 일련의 활동에서 그 나름의 묘미를 찾는 것이지, 그게 아니면 이 저녁시간을 그렇게 즐기진 못할 거다. 해외에서 홀로 맞이하는 저녁의 적막함이 주재원 생활 중 가장 힘든 것이었으니까. 사실 보리를 한 가족으로 맞이한 것도 그런 적막함을 견디기 힘들어서였고. (물론 반대로 낮에 나를 기다리는 보리에겐 미안한 일이었지만.)
나와 달리 옌스는 혼자 시간 보내는 것을 참 잘한다. 하루를 어떻게든 자기가 좋아하는 것들로 꽉 채우고자 노력하는, 24시간이 부족한 사람이니까. 되려 저녁에 졸음이 오더라도, 그 시간에 졸면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못하게 될까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이니까. (그게 자기 단점이라고 한다. 뭘 스트레스를 받기까지… 뼛속까지 경제학자다.) 그래서 내가 열흘간 한국 가 있으면 그게 꼭 나쁘진 않단다.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 거 좋다고. 그래도 그게 긴시간이 아닌 거 아니까 좋은 것이지, 내가 집을 비울 때 내 존재의 크기를 새삼 크게 느낀다고 하는 것을 보면 나나 그나 별반 다르지 않다.
애가 태어나고 나면 옌스가 출장을 간다고 해서 혼자만의 시간 따위는 없을 거니까 사실 감사한 마음으로 즐겨야 한다. 석사과정의 무거운 리딩리스트의 압박에 짓눌려 이렇게 딴 짓 하면서도 스트레스 받지만, 이렇게 틈새를 노리는 딴 짓도 사치가 될 시간이 올 테니까.
왠지 센치해지네. 음악도 한 몫하고 있다. Spotify의 Reading soundtrack, 처음 들어본 플레이리스트인데, 아주 마음에 든다. 바로 저장. 가을의 감성을 한껏 느끼고 싶은 사람들에게 강력추천한다. 읽던 건 대충 마무리 짓고 설겆이하고 자야지. 벌써 옌스가 보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