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에서의 내 호불호

만나서 즐거운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 고민을 좀 해봤다. 만남이 쌓이다 보면 같이 물려있는 관계때문에 만남을 끊어낼 수 없어 보는 사람도 생기고, 교제는 유지하지만 그 관계를 가꾸어갈 마음이 사라지거나 그러한 노력이 번거롭고 낭비같이 느껴지는 관계가 있다. 각자 자기가 즐겁다고 느끼는 포인트가 다를테니 이건 전적인 나의 나를 위한 견해일 뿐이다.

첫째. 내가 배우고 싶은 흥미로운 포인트가 없는 사람.

모두가 배울만한 점은 다 갖고 있다. 하지만 자기가 가진 것을 잘 보일 줄 모르거나 그걸 폄하하고, 부정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면 상대방이 그걸 찾아내기 어렵다. 나에게 질문만 하거나 자신의 일상에서 불만이나 어려움만 하소연하는 경우, 딱히 뭔가 배우고 싶거나 흥미를 유발하는 게 없어져 관계의 동력이 약해진다. 사실 나도 대화를 하면서 상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내 인생의 답을 얻기도 하고 가까운 사람에게 힘이 되어준다는 점에서 꼭 나쁜 건 아닌데, 그런 것도 아니고 그냥 부정적인 에너지를 나에게 주는 사람들이 해당된다.

둘째. 자기 이야기만 하는 사람.

각자 자기의 이야기도 풀고 싶을 것인데 그에 대한 고려 없이 화제의 중심이 자기에만 머물러 있는 사람. 나는 호응을 열심해 해주려고 노력을 하는데, 상대가 그러한 노력을 받기만 하면 살짝 지친다. 특별한 이슈가 있을 때면 다른 이야기지만…

반대로 내가 어떤 때 즐거움을 느끼는가 보니, 뭔가 내가 모르는 분야에 대해 새로운 이야기를 들을 때, 무의미한 수사 없이 딱 떨어지게 탁탁 대화가 통할 때. 자기가 말하는 내용이 뭔지 아는 사람이랑 대화할 때 즐겁다. 결국 자기만의 컨텐츠가 있는 사람. 새로운 경험을 나에게 들려줄 수 있는, 내가 같이 기뻐하고 슬퍼하고 즐기고 화를 내 줄 수 있는 경험을 공유해주는 사람이 재미있는 사람이다. 나애겐.

아주 중요한 관계를 제외하고는 인간관계를 일부러 딱 자를 필요도, 열심히 붙들 필요도 없다는 게 요즘 들어 느껴지는 생각이다. 하지만 그렇기에 반대로 이런 즐거움을 주는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도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기회가 되면 적극적으로 만남을 추진하는데 요즘 한국인이 늘어서 그런지 좋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것 같다. 예전, 한국인이라면 일적인 관게를 제외하고 꺼리던 나의 모습과 참 달라졌는데 이제 좀 해외생활에 속 내 정체성을 찾은 것 같다. 일은 덴마크회사애서 하고 애때문에 이래저래 덴마크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으니 친구마저 덴마크인으로 채울려는 노력을 할 필요도 없고 그렇기를 원치도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만 6년의 시간이 흐르고 나니 이젠 진짜 내 생활이 꽉 짜여졌구나. 인생에서 업다운을 피할 수 없가지만, 지금과 같은 좋은 시기가 게속 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