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1988을 보고나니 그 시절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그 추억의 중심엔 올림픽이 서있는데, 온가족이 옹기종기 모여앉아 텔레비전을 시청하며 마음을 졸이곤 했다. 올림픽 개막식 매스게임은 그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그 이후 몇년동안 학교에서는 운동회마다 매스게임을 준비하곤 했는데 그게 얼마나 쿨하게 느껴졌던지. 지금 생각하면 피식 웃음이 나온다. 부채춤도 인기가 있었는데, 부채를 한손으로 펴는 방법을 배운 다음엔 여름마다 부채를 부칠 땐 그 기술을 열심히 활용하곤 했다.
아쉽게 은메달을 따는데 그쳤던 전병관 선수의 역도경기는 아직도 기억이 난다. 그 작은 체구에서 어떻게 그런 힘이 나오는지. 작기 때문에 그의 경기가 더욱 극적으로 느껴졌던지 지금은 관심도 없는 역도 종목이 마치 가장 재미있는 경기인 것 같았다.
탁구에 유남규, 현정화 선수, 양궁에 김수녕 선수 또한 기억에 남는다. 원래도 땀이 잘 나는 손이지만 경기를 보는 순간만큼은 유독 땀이 많이 흐르는 손을 꼭 쥐고 온가족이 함께 응원을 했다.
오랫동안 들어보지 못했던 올림픽 개막식 노래 “손에 손잡고“가 생각나 그 당시 우리나라를 휩쓸었던 그 노래를 유튜브를 통해 다시 봤다. 지금도 느껴지는 그 마음의 설렘이라니. 오히려 지금 그 설렘이 유달리 크게 느껴지는 건, 그 전쟁같았던 폐허에서 일으킨 경제성장을 냉전시대중 가까스로 열린 올림픽을 통해 세계에 알렸을 때 그 성장의 주역, 우리 부모님 세대가 느꼈을 자랑스러움이 이제는 이해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나도 나이가 들어가나보다. 이때만 해도 앞으로 항상 좋아지는 날만 있을 줄 알았는데. 한강의 기적이 백년천년 계속되지 않으리라는 걸 그 때는 몰랐지. 많은 어려운 요소들을 안고 있는 우리나라이지만, 그래도 이렇게 짧은 시간 많은 것을 이뤄낸 것을 보면 참으로 자랑스럽다.
그저께 덴마크 공영방송 제1 채널에 프라임타임 뉴스의 마지막에 extended news의 형태로 한국 교육제도의 명암을 담은 내용이 방송되었다. 한국에 대해 요약설명을 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는데, 세계 15대 경제대국이라는 표현에서 옌스가 감탄을 표하더라. 우리나라가 나는 아니지만, 그 말에 쑥스럽지만 자랑스러움도 느껴지더라. 양극화를 비롯해 여러가지 내부적 갈등요소를 안고 있으며, 세태에 대한 탄식도 하게 하는 나라지만, 그 모든 것이 내 나라의 단면이 아니겠는가.
해외에 나와 살기에 더욱 나를 우리나라에서 떼어놓을 수 없다. 이곳에 아무리 오래 살아도 이들에게 나는 한국에서 온 사람일 것이기에. 이런 저런 복잡한 모든 것을 포함해 나는 우리나라 사람인 것이 자랑스럽고, 내가 현재 갖고 있는 것을 누리게 해준 우리 부모님 세대에게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