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블록에는 그간 배운 내용을 이용해 20페이지에 해당하는 소논문을 작성하는 수업이 있다. 수업은 8주간 진행되는데 전체 학생이 발표하고 디펜스 하는데 2주가 걸리기에 실제 작성은 6주간에 걸쳐 이뤄진다. 향후 논문으로도 연결될 수 있는 바, 써볼 수 있는 주제를 찾지 말고 자기가 쓰고 싶은 주제를 찾아오라고 한다.
난 재생에너지(핵발전 등 신에너지는 제외)에 관심이 있었지만 막연한 관심 뿐이었고, 이를 경제학적으로 풀만한 주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 지는 보다 막막했다. 지난 주말 옌스와 함께 카페에 가 앉아 뭘 쓰고 싶은지를 컴퓨터를 앞에 놓고 생각해보았다.
그간 공부하면서 관심이 있었던 주제는 뭐가 있는지를 곰곰히 생각해보니 재생에너지가 충분히 잘 보급됨으로써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규제와 인센티브 도입의 정책적 도구에 관심이 갔다. 이를 토대로 최적의 에너지 믹스를 위한 최적 정책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어떤지, 얼마나 주제를 줄이는게 좋을 지 등을 상의해보고 싶다고 교수에게 문의했다.
지도교수와 약속한 시간에 찾아가지 마침 재생에너지 정책을 전공으로 하는 다른 교수님과도 동석을 하게 되어 추가적인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었다. 이런 저런 이야기 끝에 덴마크의 2050년 화석연료 제로 정책에 대한 소논문을 쓰기로 결정했다.
덴마크는 2050년까지 화석연료 사용을 완전히 없애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EU의 정책 목표보다 훨씬 야심찬 계획이다. 해당 정책의 목표와 경제학적 이점과 불리를 수학적 모델을 포함하지 않고 푸는 게 목표다. 기존에 있는 수리적 모델을 갖고 써내는 게 아니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젝트라 상당히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교수가 한마디 했다. 그러나 해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추천하는 프로젝트니 열심히 해보라며, 대신 어려운 프로젝트이니 만큼 풀 서포트를 해주겠다고 했다.
마침 이달 초 덴마크 환경경제위원회가 연도별로 발표하는 정책제안보고서를 발표했는데, 덴마크의 2050 Fossilfri 정책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영문 요약이 있긴 하지만, 덴마크어로 되어 있는 본보고서를 꼭 읽어보기를 추천받았다. 소설이나 신문보다는 아무래도 보고서가 어휘면에서 반복되는게 많으니 내용이 어려워도 읽어낼 수 있을 거라는 있을 거라는 옌스의 말을 믿어보며 천천히 준비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생각만해도 머리가 저릿저릿하지만, 앞으로 계속 마주할 덴마크어 보고서를 조금 미리 마주한다고 생각하고 읽어보련다.
의외로 주제가 빨리 정해져서 정말 다행이다. 중간중간 어려움도 있겠지만, 불가능할 건 없다. 덴마크어 보고서가 한 50페이지정도 되는데, 옌스가 두페이지까지 어휘 도움을 주겠다고 약속도 해주었으니 열심히 해봐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