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을 천천히 정리하며

2021년을 돌아보자면 변화와 운동으로 점철된 한 해였다. 새로운 직장에 다니기 시작하고 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하며 새로운 영역에 몸을 내맡긴 시기였으며, 발레, 달리기, 수영, 이 세 가지에 내 여가시간의 대부분을 할애했다. 다른 것을 할 시간이 없었다. 정해진 시간에 일을 하고 애를 하원시켜 저녁식사를 준비하고, 저녁에 옌스가 애를 보는 날이면 발레, 수영 수업에 가고, 틈을 내어 달리기를 했으니 말이다. 눈 깜짝할 사이에 12월을 코앞에 두고 있다. 해가 갈 수록 시간이 너무 빨리 흘러 놀라게 된다. 내년엔 또 어떨지? 

내년엔 옌스의 한국어 공부를 조금 더 도와줄 수 있도록 옌스가 부탁한 일들에 시간을 조금 더 할애해야겠다. 그리고 일상 속에 정리 정돈하는 습관을 조금 더 들여야지. 미루지 말고. 그리고 사유의 시간을 조금 더 가져야 겠다. 행동으로 채우느라 사유가 부족했던 시간이었음이 다소 아쉽다. 물론 그 행동 사이에 낭비한 시간들이 꽤나 많았기에 사실 그 낭비의 시간을 줄이지 못한 게 부끄러운 것이지만.

항상 배워가며 현명해지는 것 아니던가? 천천히 가다보면 목표에 다다르게 된다는 토끼와 거북이 우화의 가르침을 이렇게 느지막히 몸으로 느끼고 실천하는 시기이다. 좋은 습관을 늘리면 어제보다 조금 더 나은 내가 되고 조금 더 즐거운 삶을 살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만으로도 마흔이 될 새해를 앞두고

해외에서 살면서 정체성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피할 수 없다. 한국에 있었어도 피할 수 없었겠지만 고민의 차원이 추가된다고 할까. 이 고민이란 게 덩어리가 큰 고민은 아니지만 언뜻언뜻 스치듯이 마음에 자잘한 갈등을 일으키곤 한다.

아마 이 자잘한 고민 자체가 사실은 내가 덜 여물어서인 것 같다. 이제 좀 인간관계 뿐 아니라 인생을 한차례 정리해야 하는 모양이다.

12월 마무리를 보름도 남기지 않은 이 시점. 내년이면 만으로도 마흔이 된다. 나이에 얽메이는 것도 우습지만 옛 성현인 공자님 말씀에 따르면 이제 나는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을 불혹의 나이에 달한 것이니 한번쯤 지금의 내 모습을 뒤돌아보는 것도 중요할 듯 하다. 안그래도 얼마전 거울을 보면서 이제 내 얼굴에 나이의 흔적이 차곡차곡 쌓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재미가 없는 인간관계는 이제 정리할 때가 된 것 같다 싶다. 어쩌면 진작에 했어야 할 일이다. 만나서 즐거운 사람들만 곁에 둬도 아까울 시간이다. 특정 그룹에 가까운 사람과 가깝지 않은 사람이 있는 경우 그룹으로 만나는 건 정리하고, 관계의 즐거움이 사그라들었지만 습관처럼 남아있는 사람과 만나는 것도 정리해야겠다. 가까움의 정의라는 것도 상대적이긴 하지만 과거 가까웠던 사람을 정리하는 것은 왠지 마음 속 부채감을 자극한다. 하지만 그런 관계는 사실 이미 시들어가고 있었기에 나 혼자 잡고 있던 마음속 끈을 놓는 거나 마찬가지이고 부채감, 죄책감 이 또한 나 스스로 혼자 갖고 있는 허상이기도 하다.

가장 중요한 건 가족이라는 걸 그래서 느낀다. 그리고 그런 가정을 꾸릴 때 얼마나 신중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선택이란 게 한번 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같이 가꿔나가고 키우도록 노력하는 게 얼마나 중요한 지 느낀다.

옌스와 하나, 내 가족, 결혼으로 연결된 가족, 그리고 가까운 내 친구. 그 외엔 천천히 정리를 해야겠다. 내 마음속의 정리. 그리고 중요한 건 더 가꿔가야지. 그리고 나만의 시간을 다시 찾아야될 것 같다. 나를 성장시킬 시간.

이유식과 미니멀리즘

글 쓴지가 벌써 두달이 다 되었구나. 어느새 한달반여면 시작할 이유식을 고민하고 있으니 하나도 참 많이 자랐다. 요즘 조금 소원해진 친구에 대해 다른 친구에게 생각을 물어보니 내가 참 바쁘지 않은 모양이다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서 생각을 조금 해보았다. 내가 몸이 바빠서 그렇지 머리가 참 바쁘지 않았던 게 맞더라. 한 대 맞은 기분이었다. 내가 왜이리 쓸 데 없는데 신경을 쓰고 있었나? 부정적인데 초점을 맞출 게 아니라 나에게 소중한 사람과 문제에 집중할 일이다. 허구한날 시간이 없어서 뭔가 하지 못하고 있다 생각했는데 내 소중한 시간과 에너지를 엉뚱한 데 쏟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정신을 차리게 해준 친구에게 감사를 표하며…

요즘에 신경쓰는 것은 두가지다. 첫째는 하나의 이유식이고 둘째는 단촐한 삶이다. 이유식에 대한 책을 샀는데, 7월 말이면 시작될 하나의 이유식과 관련해 미리 공부해두려 한다. 사개월여에 불과한 육아기간 중 느낀 것은 미리 알아두고 준비해두는 만큼 불안함 없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남의 나라에서 애를 홀로 키우다보니 양쪽의 문화를 조율하는 것과 더불어 초보 엄마로서 이론을 실제에서 경험하고 적용하는 데 미리 충분히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면 어려움이 따른다는 생각이다.

두번째 단촐한 삶을 추구하는 것은 이미 조금씩 지향하기 시작했던 바인데, 그 전보다는 보다 적극적으로 추구하려는 것이다. 매번 물건을 정리하려다 보면, ‘아, 이것 그래도 쓰려면 쓸 수 있는데…’, ‘이것 이제라도 써봐야지.’ 등의 이유로 반도 채 못정리하고 끝나곤 했다. 이번엔 정말 최근 1-2년간 쓰지 않은 물건은 과감히 정리하기로 했다.

이런 결심을 한 것은 둘째 계획과도 연관되어 있다. 특별한 이유로 마음이 바뀌지 않는 한, 둘째는 낳지 않기로 마음 먹었다. 커리어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데다가 (난 엄마지만 나 자체도 중요하다.) 지금도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이 있는데, 커리어를 이유로 둘째를 40이 넘어서 갖는다고 하면 정말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다. 건강상담사에게 “애를 더 낳는다면 하나를 위해서가 될 것 같다. 애가 외롭다고 할까봐…”라고 이야기하니, “애는 당신과 남편이 원하면 낳아야지, 애 때문에 낳지는 말아라. 어차피 형제를 갖는게 항상 좋기만 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당신 형제가 있어서 좋기만 했는가?”라고 답을 하더라. 일리가 있는 말이었다. 결국 성인이 될 때까지 책임을 지고 양육하는 내가 원해서 애를 낳아야 할 일인 것 같다. 한국이었으면 달랐을까? 잘 모르겠다. 우선 남편을 늦게 만난 것도, 내 커리어의 방향을 이민와서 튼 것도 이유다. 물론 애를 낳고 나면 나라에서 양육의 많은 부분을 지원해줘서 한국에서보다 수월하게 애를 키울 수도 있겠지만, 결국 엄마가 많은 부분을 담당하는 것은 이곳에서도 마찬가지라 애가 둘이 되면 내가 추가적으로 많은 희생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애가 생기고 나서 정말 매우 기쁜 것도 있지만 옌스와 거의 처음으로 감정 상할 일도 생기기도 하고, 애가 둘이 되면 더 힘든 순간도 있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도 있다. 보다 젊었다면 모르겠지만, 육체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더라. 나중에 거의 할머니 같은 엄마가 되어야 하는 상황이 애에게도 어떨지 모르겠고.

아무튼 애를 하나만으로 마무리짓는다고 생각하면 지금 집에서 오랫동안 이사를 할 이유가 없다. 보육원도 코앞에 있고, 교통도 편하고. 수납이 조금 부족한 집이라는 게 딱 하나 불편하다. 벽에 수납 대신 그림이 많아서 그런 것도 있지만 그나마 있는 수납 공간에 쓰지 않는 물건이 너무 많이 있는 것도 이유가 된다. 그래서 우선 내 물건부터 시작해서 과감하게 정리하려 한다. 그리고 나서 옌스 물건에도 정리할 게 있으면 정리해달라고 이야기하려 한다. 마음대로만 버리지 말아달라고 옌스가 한마디 하더라. 이 집으로 이사온 이후부터 물건을 별로 사들이지 않았는데, 그러니 돈도 아끼게 되고 참 좋다. 단촐한 삶의 덤은 경제적 여유라고 해야할려나? 좋은 덤이다.

물건을 떠나서 내 인생의 여러가지를 좀 정리해보려고 한다. 인간관계 및 내가 집중하는 일들까지, 좀 단촐하게, 단순하게 살아봐야겠다. 물론 글을 쓰거나 사진을 찍는 건 내가 좋아하는 일이니 그걸 줄이려는 건 아니지만, 뭔가 테마가 있는 것에 집중한다던지 말이다. 오늘 큰 봉투로 옷을 두봉투 덜어낸 것이 좋은 출발이려거니 생각한다. 육아휴직 기간 중 정리할 게 참 많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