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여름 야외활동시 주의사항

DR에서 여름에 야외활동시 주의사항 몇가지를 동영상으로 제작했다.  해당 동영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드기: 24시간 안에 제거하면 박테리아 감염 확률은 현저히 낮아진다. 손가락으로 제거하는 게 가장 빠르지만 시판 도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왼쪽 오른쪽으로 돌려가면서 입을 열게한 후 빼내는 것이 중요하다. 뺀 자리에 잔여물이 남아있어도 결국은 해당 잔여물이 탈락하며 감염 우려는 별로 없다. 뺀 자리를 관찰하다가 5크로나 이상의 크기로 부어오르면 감염 예방 차원에 약을 복용해야 하므로 주치의를 만난다.
  2. 모기: 모기에 잘 물리는 사람도 있고 모기에 물렸을 경우 간지러움을 느끼는 정도가 사람에 따라 다르다.
  3. 뱀트라치(동미리과 어류)와 해파리: 해변에서 쏘이기 쉬운 동물들이다. 뱀트라치의 지느러미에 찔릴 경우 40-45도 사이 온수에 30분에서 1시간 동안 찔린 부위를 담근다. 파상풍 주사를 맞지 않은 사람의 경우는 파상풍 주사를 맞는다. 7-8월 사이에는 해파리가 왕성하게 활동한다. 해파리에 쏘일 경우 쏘인 자리를 닦아내는 게 아니라 신용카드의 모서리 등 날카로운 면으로 쏘인 부위를 긁어내어 피부 조직 속에 남겨진 해파리의 쐐기 조직을 제거한다. 잔여조직을 제거하지 않으면 이 조직에 남은 독이 계속 분비된다.
  4. 자외선: 자외선 차단제는 두번 바르지 않으면 충분하지 않다. 다만 한번 바르고 15분 정도 기다린 후에 덧바르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바르고 나면 그날 더이상 덧바를 필요가 없다.

 

 

 

올해 첫 여름날, 혼자만의 프레덴스보 여행

유난히 해가 쨍하고 뜨거운 날씨. 올해 진정한 여름이라고 부를 수 있는 첫날이었다. 고백하기 부끄럽게도 게으름이 뼛속까지 배어있는 나에게는 아무리 좋은 날씨라고 몸을 추스려 밖으로 나가는 것이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직장을 다니면 원하지 않아도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어 밖으로 나서게 되는데, 그렇지 않은 지금은 자유와 방만함 사이의 줄타기를 하며 지내고 있다. 열심히 지내는 날이 있다가도 정말 손하나 까딱하기 싫은 날이 있으니 그게 우연히 날씨가 좋은 날과 겹치면 스스로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집에서 공부를 하는 경우라면 육체적으로는 게을러도 지적으로는 부지런하다며 자위라도 할 수 있는데, 아무 것도 안하면서 나가지도 않다니 한심하기 이를 데가 없다.

그렇지만 어제는 날이 너무 좋았다. 이러저러한 일들로 수학공부를 게을리한지 몇날이 흘렀으니 사실은 연필을 쥐고 책상 앞에 앉았어야 쓰겠으나, 이렇게 좋은 날씨를 나가 찬양하지 않기엔 왠지 모르게 다른 종류의 죄책감이 들었다. 흔하지 않은 날을 기념하지 않고는 이런 날씨가 서운해서 오지 않을 것만 같은 느낌.

밖에 나가기를 결심하고 막상 밖으로 나서기까진 많은 시간이 걸렸다. 아침 9시, 옌스에게 “나 오늘 짧은 여행을 하고 올거야. 기차타고 자전거 타고 유채꽃이 핀 들판을 찾아 나설거야.”라고 문자를 보냈다. 저녁에 오늘 공부 뭐했냐고 물어보지 않기를 원하는 문자다. 조심하라는 답을 듣고, 사실 진짜 조심하긴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뜬금없는 들판 한가운데서 자전거 바퀴라도 펑크나면 어떻게 해야할 지는 나도 모르니까.

작년 언제인지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고속도로를 타고 멀리 여행할 때면 유채꽃이 한가득 핀 들판이 끝도 없이 펼쳐진 것을 본 적이 몇 번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와 함께 밀이 누렇게 영글어 있는 들판이 있었음을 기억한다면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가 최절정에 이르는 시기임을 생각할 수 있었겠지만, 어제는 그런 생각조차 나지 않았다. 열심히 구글 검색을 하느라 쓸데 없이 시간을 낭비하다가, 이러다 또 나가기를 관두겠다 싶어 그냥 외어순스토(Øresundstog)를 타고 올라가자 마음먹고 비스켓 하나, 물 한병, 깔고 앉을 담요를 한장 챙겨서 서둘렀다. 벌써 정오였다.

열차 안에 자전거를 고정시키려다가 자전거에 걸려 넘어질 뻔 했다. 자전거를 실을 수 있는 칸은 소풍이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아이들로 가득차있었다. 뭔지 모르겠지만 나를 보고 귓속말을 하는 아이도 있고, 나를 빤히 쳐다보는 아이도 있었다. 이런 일에 신경쓰려면 한도 끝도 없는 해외생활이기에 그냥 이어폰을 귀에 꼽고 음악을 들으며 알랑 드 보통의 ‘여행의 기술’을 조금 읽자니 나의 게으름과 그에 따른 죄책감을 그도 똑같이 느꼈다는 사실에 실소를 흘렸다.

“… 이 책들은 각기 다른 방식이지만 입을 모아 바깥에는 마드리드라고 부르는 흥미진진하고 다채로운 현상이 기다리고 있으며, 그곳에는 기념관, 교회, 박물관, 분수, 광장, 쇼핑거리 등이 수도 없이 널려 있다고 외치고 있었다. 나도 그런 유혹적인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또 내가 그것을 볼 수 있는 유리한 입장에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런 생각을 하면서도 나 자신의 게으름과 좀 더 정상적인 관광객들이 느꼈을 진지함을 비교하며 냉담과 자기혐오가 뒤섞인 느낌에 시달리기만 했다. 나는 그냥 침대에 누워있고 싶은 욕구, 가능하다면 얼른 비행기에 올라타 집에 가고 싶은 욕구에 사로잡혔다. …” <알랑 드 보통, 여행의 기술>

5페이지도 채 읽지 않은 짧은 기차여행에서 그 부분을 읽었다는 사실이 묘하게 느껴지며, 나서길 잘했다는 생각이 괜히 더 들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현대미술관 중의 하나라는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이 위치한 홈르백(Humlebæk)에 내려 왕실의 여름궁전인 프레덴스보(Fredensborg)에 가기로 했다. 그 길로 가는 중엔 유채꽃밭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2년이나 살면서 그곳에 아직 가보지 않았다는게 게으름의 표상인 것 같아, 아무도 비난하지 않지만 스스로 비난받은 듯한 느낌마저 들어 선택한 곳이었다. 남들은 굳이 힘들게 돈과 시간을 들여 오는 여행지중 하나인 유럽에 살면서 주요 관광지를 둘러보지 않는 건 귀한 걸 귀하게 여기지 않는 것 같은 생각마저 들었다.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을 다녀올 때면 흔히 이용하던 고속도로까지 가는 지방도로를 자전거로 달리니 주변 풍경이 사뭇 달랐다. 지방도로가 자전거도로와 높이가 다른데다가 가로수로 가려져 있어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이 잘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때로는 자전거도로는 들판 안쪽으로 훨씬 가까이 붙어 차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 전혀 다른 느낌을 받았다.

2시가 거의 다 된 시간. 집에서 나올 때보다 한결 뜨거워진 공기가 느껴졌다. 이날 따라 바람이 덜 부니 22도밖에 되지 않는 온도도 매우 덮게 느껴졌다. 우리나라보다 위도가 높아 해가 더 쨍한 이유도 있을 것이다. 시골이라 인적이 드문 길이 많았다. 이름 모를 보라색 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길에 잠시 멈춰 한참 사진을 찍다가 다시 페달을 힘차게 밟기 시작했다. 아무도 없는 공간을 즐기다보니, 아차. 어느 새 시간이 많이 흘렀다. 그리고 바퀴가 큰 자전거임에도 40분은 족히 달려야 할 거리라 빨리 다녀와야 저녁시간에 늦지 않게 집에 돌아갈 수 있겠다는 생각에 마음이 조급해진 탓이었다.

갑자기 훅하고 코를 잡는 꽃향기. 라일락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뜨거운 공기 속에 열기인지 향기인지 구분하기 어렵게 자신의 매력을 뽐내고 있었다. 자전거를 달리면서 느끼는 그 기분이 좋아 굳이 멈춰서지 않고 계속 페달을 밟았다.

밀밭은 알이 충분히 영근 밀작물로 짙은 초록색을 뽐내고 있었다. 그 옆의 유채꽃밭은 이제 갓 꽃몽오리가 진 유채꽃 사이에 성급히 터진 어린 꽃들만 조금 보여, 그 노란색이 충분히 느껴지지 않았다. 6월 말에서 7월 정도 사이에 다시 오면 노란 물결을 제대로 느낄 수 있겠다 싶었다. 아쉽다고 느끼는 순간, 그럴 거 없이 또 오면 된다는 사실이 기억났다. 또 한번 이런 여행을 해야겠구나.

간간히 지나가는 차들 빼고는 인적은 거의 보이지 않는 밭과 멀리보이는 농장을 지나치며, 여기서 타이어 터지면 정말 난감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드물지만 가파른 언덕에서 20kg에 달하는 나의 무거운 애마의 페달을 간신히 밟아가며 오르다, 잠깐이지만 내가 이런 고생을 사서 하고 있다니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그 다음 만나는 내리막길에선 신나게 바람을 즐기며 내려갔지만, 반대로 집에 갈 땐 어쩌나 하는 두려운 생각이 스치기도 했다.

그렇게 도착한 프레덴스보 궁전은 여름 별궁답게 소박한 느낌이었다. 관광철이 아니라 그런지 북적임도 없어 궁전 부속 공원을 산책하기엔 더할나위 없이 좋았다. 작은 새들이 조잘거리는 소리는 어찌나 영롱하고 행복한지. 굳이 여기가 아니라도 요즘 흔히 들을 수 있는 새소리이지만, 적막함과 바람소리에 어우러지는 새소리는 메아리까지 쳐서 들려 한차원 다른 소리로 들렸다.

공원의 끝에 접하고 있는 이스훔 호수(Esrum Sø)는 크고 고요했다. 나중에 지도를 살펴보니, 셸란(Sjælland) 섬에서 두번째로 큰 호수이다. 그 큰 공원과 호수를 몇 안되는 사람들이 누릴 수 있다는 것이 너무 호사스러울 지경이었다. 관광철에 와서 북적임을 느낀다면 또 다른 느낌으로 즐거울 수 있겠지만, 북적임보다는 적막을 좋아하는 나에겐 이쪽이 훨씬 좋다.

집에서 싸온 비스켓을 우물우물 씹어먹으며 앉아있는데, 예전이면 외롭게도 느껴졌을 수 있던 그런 순간이 특별하게 느껴졌다. 길지 않은 시간, 땀을 식히며 앉아있는 그 순간이 정말 길게 느껴졌다. 초록색이 가득한 곳이라 그랬을까? 사람들로 북적이는 길거리 까페에서 홀로 앉아있으면, 내 땅에 두고 온 가족과 친구들이 보고싶어 유독 고독하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사람들이 별로 없는 그곳에 앉아 있으니, 간혹 산책하는 사람들 한두명과도 눈인사를 나누기도 하며 오히려 혼자가 아님을 느꼈다.

돌아가는 길은 다행히 다른 루트로 운행하는 로컬 열차가 있어 쉽게 돌아왔다. 그 열차 속에 앉아, 그 무수히 많았던 날들처럼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몸을 일으켜 나온 5시간 전의 나에게 감사하며, 또 이런 혼자만의 여행을 나서야 겠다고 마음을 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