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쓰며 배운 것들

논문을 쓰면서 또 한번 느낀 것이지만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거나 보고서를 쓰는 과정 모두 비선형적이다. 논문을 씀에 있어서 현상에 질문을 던지고 이론을 먼저 익혀 정리하고 실험을 하고 결과를 내어 분석하고 토론해서 결론을 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렇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 한마디로 카오스였다. 어쩌면 내가 일을 하는 방식이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 하물며 집안일을 할 때도 한방 한방 싹 정리하기보다 일의 동선에 맞추어서 정리하다보니 집안 전체를 조금씩 조금씩 치워서 한방이 끝날 때 쯤이면 집안 전체가 치워지도록 하는 내 방식 말이다.

큰 프로젝트일수록 작은 일부터 태클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다시 한번 배웠다. 우선 일에 착수하고 중간중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점검해보고 방향을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더라. 옌스가 했던 말이 있는데, 논문은 쓰기 시작하면 하루에 한페이지나 두페이지 라도 최소한 쓸 분량을 정해놓고 일을 하라는 것이었다. 잘 안써지는 날이 있다고 하루 이틀 미루기 시작하면 때려잡을 수 없는 괴물처럼 커져버린다고… 그러니 정말 하기 싫은 날이라도 한페이지라도 쓰겠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고 실행을 꼭 해야한다했다.

이런 성실함은 나에게 부족한 면인데, 성실한 남편 덕에 구체적인 실행 아이디어도 얻고 옆에 있다보니 자극도 되서 도움이 된다. 집 청소나 집안일에서 다른 스칸딕 대디에 비해 경쟁력이 많이 떨어지는 것 외에는 일적인 면이나 생활 습관 면에서 부모님이나 책에서 배웠던 성실함과 근면함을 그대로 갖춘 옌스다. 기분파인 나와는 얼마나 다른지. 그래도 옌스의 그늘아래 있다보니 조금은 닮아가는 것 같아서 다행이다. 그래서 그런지 주기적으로 찾아오곤 하던 슬럼프도 약하고 덜 찾아오는 것 같다.

오늘 서론을 다 썼다. 서론에 ambitious한 문구도 써넣었다. 아주 tiny한 구멍이긴 하지만 홍수 분야 문헌에 있는 구멍을 매우는 논문으로 유니크한 밸류프레포지션을 하는 논문이 될거라는… 엄마나야… 내 일에 이런 문구따위는 쓰지 않던 사람인데, 나 혼자 보수적임을 자청하면서 내 논문에 너무 겸허한 자세를 취하지 않기로 했다.  남의 논문들도 읽어봤는데, 좋게 평가할 건 스스로도 칭찬해주더라. 내가 아끼지 않는 자식은 남도 아끼지 않을 거라는 마음으로 내 사랑을 표현해줘야겠다. 이제 남은 건 결론과 perspective 챕터뿐이다. 이론 하나를 조금 수정해야 하고 교수 리뷰를 다음주까지 기다리고 있으니 8월 전에 제출할 수 있을 것 같다. 충분히 일찍 끝나면 조금 욕심을 부려서 LaTex로 논문의 포맷을 바꿔볼 수 있을까 하는 마음도 있는데, 그건 진행상황을 보고서…

논문이 끝나면 덴마크어 수업 외에는 실업이 기다리고 있다. 아직 경제가 좋으니 경기가 한풀 꺾이기 전에 빨리 직업을 찾아봐야 할텐데 긴장이 많이 된다. 실업급여는 받지 않기로 했다. 나라에서 학생들 주는 용돈이 있는데, 그나마 들어오던 용돈이 잘리고 실업급여를 안받자니 조금 아쉽다. 하지만 요즘 갈수록 영주권 절차가 까다로워지고 있고 이제 실업급여를 4개월 이상 받을 경우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시기가 몇년이더라 2년인가 4년인가 뒤로 밀리는 걸로 바뀌었다. 규정 강화가 일년에도 몇번씩 이뤄지고 있어서 이러다가 갑자기 실업급여를 받으면 영주권을 못받는 것으로 바뀔 지도 모르겠다는 위기감 마저 든다. 물론 비자야 계속 연장하면 되긴 하지만, 가족이 같이 삶에 있어서 종이 조가리에 삶이 자꾸 영향을 받을까봐 불안해하는 자체가 싫다. 나보다도 옌스가 더 그래서 혹여나 자기가 잘리더라도 일년동안 문제없이 살 수 있게 저축한 돈도 있고 현재 실업에 대한 걱정이 있는 것도 아니니 그냥 그 돈 (그 돈이 사실 세전으론 거의 2백만원 돈이다. 물론 옌스 덕에 내 세율도 높아서 세금 내고 나면 거의 반토막 나겠지만.) 받지 말고 마음 편하게 살자고 하란다. 실업 급여 받으려면 졸업 후 2주 안에 실업급여에 가입을 해야하기 때문에 가입할지 아닐지를 고민하던 차였는데 그냥 지금은 가입하지 않으련다.

간간히 이러다 직장 못구하면 어떻게 해? 라고 물어보면 혼자 벌어도 돼 라고 이야기하는 옌스. 실업상태보다는 프로필에 안맞는 직장이라도 찾아서 일하고 싶다고 하면 그래도 좋다고 하면서도 프로필에 맞는 직장을 꼭 찾을 수 있다는 옌스. 어떻게든 직장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믿는 것 같고, 안맞는 직장보다는 실업이 더 낫다고 생각하는 거 같다. 잘 모르겠다. 뭐가 좋은 건지…

그냥 지금은 닥치고 논문을 써야겠다. 쓸데 없는 걱정 말고… 슬슬 취직 준비도 시작해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