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흐르는데 머리는 복잡하다.

어느덧 시간이 많이 흘러 2월이 다 가고 있다. 어쩌면 시간은 이리도 잘 흘러가는지. 올 한해의 1/6이 거진 다 지나간 거 아닌가? 시간이 나이에 비례해 빠르게 흘러간다고 하더니, 내 나이 마흔에 맞춰 시간도 빠르게 흐른다. 인생의 전반전이 거의 마무리되는 시점이구나.

코로나가 우리의 일상을 송두리째 바꾼 것도 거의 1년이 되어가고 있다. 가족이나 친구와 포옹을 나누지 않은지도 시간이 제법 흘렀다. 언제 그렇게 포옹을 나누며 살았다고 친구와 만나고 헤어지는 데 가까운 품을 내어주고받지 않는 지금이 매우 어색하고 아쉽다. 제대로 인사나누지 못하는 기분이다. 그렇다고 포옹을 나누기에는 혹여나 있을 지 모르는 감염위험이 두렵다. 거리를 확 두는 것도 아니면서도 그렇다고 너무 가까이 다가가는 건 부담스럽다. 내가 옮을까봐서라기 보기는 아이가 유치원을 다니는 상황이고 각자가 어느정도는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누가 걸릴 수 있는 지 모르는 상태라 내가 옮기든 상대에게 옮든하는 상황이 혹여나 생길까봐서이다.

내 인생은 표류하고 있다. 정확히 뭘 원하는 지 모르겠다. 우선 지금 주어진 상황에 감사하며 지내고 있다. 내가 일하지 않아도 등 따숩게 잘 수 있는 집이, 단란한 가족이 있고, 먹고 입는 것으로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아이가 원하는 것을 제공해줄 수 있는 여력이 있다. 아이는 쑥쑥 잘 자라고 있으며, 좋아하는 친구들과 선생님과 즐거운 유치원 생활을 하고 있다. 한국을 다녀와 한국어에 관심과 자신감이 조금 늘었다. 그러니 감사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경제적 자립이 요원하다는 게 마음을 조금 불편하게 한다. 누가 번 돈이면 어떠랴하고 쿨하게 생각하면 좋은데, 그래도 그렇지가 않다. 너무 힘들다고 관둔게 너무 배부른 일이었나 하는 생각이 마음 한켠에 들면서도, 엄청 스트레스 받으면서 생활했을텐데 그게 내가 원하는 일은 아니지 않는가 하는 마음도 한켠에 든다. 내가 새로이 벌인 일들에도 좋은 것과 아닌 것들이 섞여 있는데, 경제적인 요소에서 좋지 않은 부분이 있다. 혹여나 내가 전공했던 일들로 돌아가고 싶어진다면 지금이 마지막 기회일 것 같아서 기웃기웃 채용공고를 들여다보고 지원도 하게되는데, 지원 가능한 것들은 대부분 내가 관둔 일과 비슷한 프로필의 일들이라 그게 내가 원하는 일인가 하는 생각에 망설이게 된다. 솔직히 내가 원하는 일은 아닌 것인데… 내가 원하는 것일거라 생각해서 뛰어들고 보니 그렇지 않은 시행착오를 자꾸 겪으니까 앞으로 나아가기 망설여진다. 다음 걸음이 또 잘못된 걸음이면 어쩌지? 그게 다른 길로 돌아가는 것을 너무 어렵게 하면 어떻게 하지? 등등 생각이 많이 든다. 벌여놓은 일은 사이드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돈을 안정적으로 벌 수 있는 다른 일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를 낳고 인생의 판이 확 바뀌고 나니 내가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것과 좋아한다고 생각했던 것,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등이 많이 바뀌었다. 그래서 절대, 완전히 등과 같은 말은 섣불리 쓰지 말라고 하는 모양이다. 그 전에도 몸을 쓰고 내 눈 앞에서 결과가 보이는 일들이 재미있었는데, 배운 게 아까워서, 돈을 잘 벌기 어려워서 또는 힘들어서 시도해보지 않은 일들이 많았는데, 그걸 지금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아직 발걸음을 내딛지는 못했다. 지금 있는 곳에서 천천히 표류하듯이 시간을 보내며 생각을 조금 더 해봐도 좋을 것 같기도 하고… 머리가 복잡하다.

인생사는 다 선택이다.

요즘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하는 기분이다. 아이의 첫겨울과 보육원 생활이 겹칠 때 애가 얼마나 자주 아플 지를 고려하지 않고 너무 많은 플래닝을 한 것일까? 남편에게 자주 짜증을 내게 된다. 사실 곰곰히 생각해보면 그 짜증은 결국 나에게 나는 것일 뿐인데 말이다. 조금만 더 플랜을 잘 했더라면, 조금만 더 플랜을 잘 지켰더라면, 변수가 생겼을 때 기존의 플랜을 조금 더 잘 끼워넣었더라면… 이라는 생각이, 그때 옌스가 이렇게 해주었더라면 조금 더 좋아졌을텐데, 그렇게 해주지 않아서 그래… 라는 말도 안되는 형태로 짜증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잠깐 심통을 내곤 한다. 잠깐 다른 일을 하다보면 말도 안되게 심통을 부렸구나, 유도리있게 이렇게 했으면 되었을텐데 하고 돌아와서 짜증내서 미안하다고 사과하면 옌스가 받아주고 풀곤 한다. 자꾸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 오늘은 제대로 이러저러했던 상황에 대해 나의 생각의 전개 및 감정을 설명하고 제대로 사과했다.

논문도 다 끝나지 않았지만 취직 준비를 서서히 해야하는 탓에 더 조급해지는 것 같다. 다음주 금요일엔 취업박람회가 있어 거기에 갖고갈 요량으로 덴마크어 이력서를 준비하고 있다. 졸업은 8월이지만 대충 6월이면 상반기 채용이 끝나는 탓이다. 오늘 대충 드래프트를 끝냈고 옌스가 잠깐 훑어봐준 결과를 토대로 추가 작성해서 내일 봐달라고 해야한다. 오래된 이력서를 들쳐보고 이를 덴마크어로 번역하는 작업은 번역이라는 작업 자체도 그렇지만 여기 채용시장의 이력서 유형에 맞춰 쓰느라 시간이 조금 더 걸렸다. 원래 뭐든 처음이 힘든 거니까…

 

대학원 동기 한명이 자살했다. 가까운 동기는 아니어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여자친구도 자살을 예상할 수는 없었던 걸 보면 그 속사정을 깊게 털어놓을 수 없어 더 힘들어하던 게 아닌가 싶다. 살면서 자살을 생각해보는 게 아주 드물지는 않을 거라 생각하지만 그걸 실행으로 옮기는 데에는 그만큼 큰 용기(?)와 좌절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기에 막상 그를 실행해 옮긴 그의 힘듦을 상상하기조차 힘들다. 내 주변에서 자살한 건 그가 처음인데, 자살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볼 계기가 되었다. 그를 추모하러 그가 자살한 기차역에 갔을 땐 그렇게 많이 보았던 열차의 주행이 새삼 섬뜩하고 무섭게 보였고, 또한 무심하게 보였다. 그의 죽음을 추모하러 모였지만 서로의 안부를 묻고 소소한 농담도 나눌 수 있는 우리에게서 어쩔 수 없는 무심함을 보았다. 산 사람은 살아야지 라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그 순간 그렇게 스치는 생각이었다. 덴마크에서 직장을 관두기 전에 나도 과도한 스트레스로 극단적인 생각들을 조금 구체적으로 했던 탓에 이번 일이 완전히 남일같이 느껴지지 않았다. 이제는 하나가 있어 더욱 그런 생각을 하면 안되겠지만, 사람이 참 힘들다보면 이성적이지 않은 극단적 결정도 할 수 있기에… 남겨질 사람도 생각할 수 없을 만큼 힘들었던 그 친구는 이제 아무런 생각도 할 수 없는 죽음의 길을 선택했기에 이제 최소한 자유로워졌을테지. 그런 자유를 희망했을 것이리라. 그의 죽음에 찬동할 수는 없어도 최소한 그가 원했던 것을 얻었을 것이기라 믿으며 위로의 마음을 띄워보낸다.

세상 일이 너무 힘들다고 생각될 때, 어디에도 “그래야만 했다”는 당위는 없음을 기억해야한다. 항상 우리는 선택할 수 있다. 나도 지금처럼 힘들다고 끙끙대며 주변인을 상처입힐 땐, 이 모든 상황은 우리가 다시 프레이밍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