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의 블록 사이의 일주간의 방학. 이 타이밍에 산파와의 면담이 딱 걸려서 편히 다녀왔다. 10월 정도부터 배가 좀 불러와서 자전거 타기를 관뒀는데, 그러고 나니 유산소운동이 크게 부족해졌다. (여기 임산부들은 막판까지 타는데, 난 팔이 짧아서 앞으로 많이 숙여야 하는 탓에 그게 불편해진 타이밍부터 열차를 타고 다니기 시작했다.) 마침 해가 쨍하고 날도 푹해 옳다구나 싶어 산책을 겸해 병원까지 걸어갔다 왔다.
가는 길 풍경도 좋고, 적당히 싸늘한 공기가 어찌나 쾌적한지 가을이 온 게 행복한 그런 날이었다. 우리보다 위도가 높은 곳에 위치해있어 해가 드는 각도가 철따라 급격하게 변하는데, 그러다 보면 같은 풍경도 참 달리보인다. 빛이 드는 곳과 그림자가 지는 곳이 바뀌니 그 전엔 눈에 띄지 않던 것이 보이기도 하고, 같은 건물조차 다른 느낌으로 보인다. 늦가을에 들어서면서 나무들도 거의 헐벗기 시작하지만, 아직까지 겨울의 잿빛 느낌은 아니고 햇살도 아직 따뜻한 색감을 보여 마음이 아직까지는 춥지 않다. 작은 하천가를 수북히 덮던 수초들도 추워 시들고 나면 물이 좀 더 많이 보인다.
크게 달라진 게 있다면 샛소리가 안들린다는 것이다. 남녘으로 갈 철새들은 이미 날아갔고, 텃새들은 동절기 준비에 바쁜 모양이다. 간혹 보이는 까치나 갈매기가 그나마 여기에 새들이 남아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활엽수의 낙엽들은 축축하게 젖어 땅에 납작하게 붙어있고, 서서히 분해가 시작되어 흙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그 밑에 작은 곤충류가 얼마나 바삐 움직이고 있을런지. 그런 낙엽들 아래에는 공벌레가 많더라.
예전 사택에서 살 때, 나무가지를 좀 쳐내고 지친 나머지 일주일 뒤에 낙엽들을 치운 적이 있는데, 그걸 들자마자 쏟아져나온 공벌레들에 얼마나 기함을 했던지. 대학원에 들어와서 생태학을 배우면서야 작은 곤충들의 역할에 대해 알 게 되었고,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공포에서 호기심으로 약간 바뀌었다. 벌레와 흙을 만지기 무서워하는 나를 보고 유럽 친구들이 얼마나 나를 신기하고 웃기게 보던지. 어떻게 환경경제를 공부할 생각을 했냐고. 자연에 대해 너무 모르는 나를 이상하게 생각했다. 굳이 내 변명을 하자면, 난 환경 보호에 관심이 있고 그에 접목해 경제학을 공부하고 싶었다. 환경에 대해 잘 모르면 배우면 되니까.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쭉 자란 내가 자연에 대해 잘 모르는게 너무 당연하다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얼마나 삭막하게 자랐나 싶다.
10월 중순쯤에 위치하는 한 해의 42번째 주가 지나면 비가 안오는 날에도 땅이 항상 젖어있고 축축하다. 그래서 그 시기가 지나면 감자가 다 썩는다고 애들 손까지 빌어가며 감자를 캐던 과거의 역사를 반영하는게 42번째 주에 있는 게 가을 방학인데, 감자방학 (kartoffelferie) 으로도 불린다. 인라인 스케이트를 좋아하는 옌스는 땅이 젖으면 바퀴의 그립이 안좋아져서 미끄러지는 등의 사고가 나기 좋다며 이 계절의 도래를 안좋아하는데, 사실 하늘이 맑을 땐 약간 땅이 축축한 느낌이 난 좋더라. 비온 뒤의 상쾌함과 비슷한 기분을 낼 수 있다고 해야 하나? 그리고 흙과 풀냄새를 많이 느낄 수 있어서 자연에 한걸음 더 가까워진 듯한 착각을 할 수 있어서 그런 것 같다.
산파와의 약속이 10시에 있었어서 그게 끝나고 돌아오던 시각은 약 10시 반. 다들 각기 바쁠 시간인지 주택가인 우리 동네에는 사람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한적했고, 하천을 따라 걷는 30분동안 몇 명 만나지 못했다. 자주 놀던 오리들도 다 떠나고. 그래서 이 좋은 풍경을 거의 혼자 느끼는 것 같아 사치를 부리는 것만 같은 기분마저 들었다.
산파가 내 배를 여기저기 꼼꼼히 눌러가며 만지고 줄자를 대고 길이를 재보고, 레퍼런스 테이블 같은 것을 찾아보더니 대충 하나는 1.3 킬로 정도이고, 자궁의 크기, 아기 보두 내 주차수에 맞게 크고 있다고 해주었다. 하나가 딱국질 할때마다 오른쪽 아래에서 경련이 느껴지길래 애가 옆으로 누워있다보다고 약간 걱정을 했는데, 머리가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쳤지만 아래 있다며 잘 있다고 알려주길래 안심했다. 다들 이렇게 원시적인 듯한 방법으로 해도 애 낳오면 대충 비슷하게 보는 거 보면 산파들이 대단하다고 하던데, 나도 하나 나오고 보면 산파들의 이런 촉진의 정확도를 가늠해 보려 한다.
임신성 당뇨나 단백뇨 수치 등도 모두 정상이고, 혈압도 극히 정상이다. 다음달에 부모준비 교실이 3차례 있다고 해서 병원 가서 열심히 들어보려 한다. 영어로 된 과정은 한시간 반짜리 한번이던데, 덴마크어로 하는 건 두시간짜리 세번짜리 과정이길래, 옌스와 그걸로 가보려 한다. 그거 알아보라고 자꾸 옌스가 재촉을 해대길래 잊지 않고 물어봤는데, 마침 12월에 하는게 있다고 하니 거기 가서 하라는 것들 좀 해봐야겠다. 외국인에 대해 꾸준히 배려는 하지만, 덴마크 살면서 덴마크어 못하면 손해보는 순간들이 꽤 되는 것 같다.
다음 블록 리딩리스트도 나오고 했으니, 이제 진정한 의미의 방학은 끝났다. 다음주 시작할 과정 준비를 하며 주말을 보내야하겠다. 그 전에 이런 좋은 날씨가 있어서 상쾌한 산책을 즐길 수 있었던 게 참 좋았다. 오늘은 점심으로 삼겹살 김치덮밥을 해 먹어야지. 친구가 선물해준 맛있는 집김치로 메인 재료만 스팸, 연어, 삼겹살로 바꿔가며 김치볶음을 해먹고 있는데, 세번째 여는 오늘이면 다 끝날 예정이다. 덕분에 아주 맛나게 먹었네. 좋은 가을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