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제한조치 속 한국방문 단상

덴마크와 한국 모두 강도높은 코로나 제한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양태는 다르다.

덴마크는 사적인 공간에서 모이는 것에 대해서는 5명 초과해서 모이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이를 강제하지 않는다. 막힌 공적 공간에서는 마스크를 쓰게 하지만 야외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수퍼마켓과 약국, 테이크아웃 목적으로 한 카페와 식당을 제외하고는 오프라인 상점은 모두 문을 닫았다. 기타 문화 공간도 다 닫았다. 학교는 모두 닫고 온라인 교육으로 돌리고, 근로자의 경우도 물리적 출근이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다 재택근무로 돌렸다. 보육원, 유치원은 정상적으로 운영하지만, 아이들을 소그룹으로 나누기 위해 가능한 8:30-15:30 기간동안만 맡기고, 재택 보육이 가능한 경우 보내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한국의 학교, 보육, 근로 관련은 모르겠지만, 5인 이상 집합금지과 항상 마스크착용 의무화를 제외하면 거의 일상이 그대로 돌아가는 것 같은 인상이었다. 영업시간은 제약이 있는 것 같은데 애 있는 엄마로 영업시간 제약은 애초에 느낄 일이 없어서 나에게는 여파가 없었다.

애가 있기도 하고 안그래도 코로나로 사람간 간격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밀폐된 공간에 너무 많은 사람이 몰리는 시설은 피하기도 했는데다가, 사실 머무는 기간 중 1주일을 제외하고는 누구를 만나거나 만날 계획이 없기 때문에 크게 코로나 제한조치를 느낄 일은 없었는데, 사람이 주변에 거의 없는 야외에 있어도 마스크를 상시 쓰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상속 여파를 덴마크에서보다 크게 느낄 수 있었다.

그런데 마스크를 써서 그런가? 아니면 사람이 많아서 거리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하도 많으니 거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 자체를 포기해서 그런가? 아무튼 사람들이 카페나 상점에서 거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과하게 다가오는 사람에게 거리를 유지해달라고 하면 아차 싶다는 표정으로 거리를 유지하기는 하지만, 그렇게 구는 내가 요란스럽게 느껴질 정도였고, 계산대에서는 계산을 하러 줄 선 사람과 계산을 끝내고 나가는 사람의 동선을 분리하는 게 어려워보였다. 그래서 사람들이 다 엉키니 거리 유지가 어렵기도 하고.

마스크를 어디 가든 써야 하니까 애를 데리고 사람 많은 곳에 잘 안나가게 된다. 그러니 아무리 걸어다녀도 읍내에 나가지 않고는 사람 그림자도 보기 어려워 마스크를 안써도 뭐라 할 사람이 없는 홍천에 쳐박혀 동네 산책 하는 것에 만족하게 된다. 그런데 애랑 오니까 그걸로 충분하다. 자연이 있으니 이러저러 활동을 통해 놀이터를 대체시켜줄 수도 있고. 아마 이래서 마스크를 야외에서도 쓰게 하는가보다. 나오고 싶은 의욕을 아예 꺾어버리도록. 그래서 그런가. 산책하면서 길에서 만나는 아이들은 통통하거나 마르거나가 대부분이고, 덴마크 아이들처럼 탄탄한 근육을 가진 애들은 보이지가 않는다.

코로나는 우리가 알던 일상을 완전히 뒤집어 엎는구나. 대충 올 가을까진 꼼짝없이 이 코로나 시국이 유지될 것 같은데, 자연이 바로 코앞에 붙은 곳으로 이사가게 되는 게 정말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애를 조금 더 편하게 풀어놓고 숲으로 호수로 다니며 야외활동을 늘릴 수 있는 곳으로 가서 말이다.

[덴마크 vs. 한국] 공공부문 근로문화 비교 – 타부처와 협업

내부적으로 꼭 공문서의 형식으로 남겨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로 의견을 주고받는 데에 있어서는 이메일이 사용된다. 여러부처가 협업을 해서 통합된 문서를 생산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문서를 생산할 경우 엄청 많은 메일이 오고 간다. 주무부처가 초안을 만들기는 하지만 그 문서가 오고가면서 관련부서 담당자들이 트랙체인지 기능을 통해 수정제안을 하고 코멘트를 주고 받는다. 물론 해당 코멘트를 담당자 이름으로 보내기까지 상사와 조율을 한다. 그리고 해당 사안이 아주 중요하거나 마무리 단계로 넘어갈 경우 사안에 상응하는 책임자와 조율을 한다. 이 과정이 우리보다 형식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이뤄진다. 메일로 상사에게 코멘트를 요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권한 이양도 많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런 협업패턴은 여러 부처가 연관된 법안을 만들때도 마찬가지다.

부처간에 이견이 갈릴 때는 코멘트로 치열한 토론이 벌어지기도 하고,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며 주무부서가 총대를 매고 정리를 하기도 하는데, 여기에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다. 적극적인 코멘트를 요청하는데, 언어적인 문제도 있고 어떤 포인트를 봐야하는지도 미숙하기도 했다. 덕분에 초반엔 너무 무른사람처럼 보였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내가 한국 공공부문에서 일을 중단한지 5년의 시간이 흘렀으니 그 새 한국의 공공부문 근로문화도 바뀌었을까 싶지만, 사실 이런 수준의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을거라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형식주의 탈피에서 느껴지는 생산성 향상이 엄청 크기에 우리나라에도 이런 캐주얼한 근로문화가 도입되면 좋겠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