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 낙상 사고

상사와 미팅을 하러 가던 중 사무실 계단에서 굴렀다. 우리 사무실이 1층과 2층 사이의 메자닌같은 층이라 계단이 한 6개, 8개가 기역자 모양으로 해서 총 14개 정도 있는 거 같다. 상사와 잠깐 이야기하고 몸을 돌려 힐끗 계단을 보고 노트에 잠시 눈을 둔 찰나, 난 바닥에 다 내려섰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음을 느꼈다. 허공에 발을 딛으면서 휘청하다가 발가락 끝이 발레에서 포인트를 하든 다음 계단을 딛으며 빠각 소리를 내며 반대로 약간 꺾어지듯 힘을 받았다. 아마 진짜 꺾어진 건 아니었겠지만 방향은 그랬다. 옆으로 꺾어진 게 아니라 앞으로 떨어지며 사지가 땅에 같이 떨어진 것 같다. 경황이 없어서 자세히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넘어진 후 바로 취한 자세가 기어가는 자세였으니 말이다. 마루에 카페트까지 깔려있어서 다른 데는 아픈 곳이 하나도 없었는데 발목이 너무 아팠다. 넘어지면 민망해서 아파도 보통 괜찮다고 뱉고 보는데, 얼마나 아프던지 다른 말을 할 수가 없었다. 고통을 참아보려 했는데 그게 안되고 상사 앞이라 욕은 안하고 싶었는데 For fanden (이런 지옥같은) 이라는 말이 자동으로 튀어나왔다. 며칠 전 읽었던 신문기사에 나온 덴마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욕을 하는 게 당근 (Gulerød) 처럼 의미없는 단어를 내뱉는 것보다 고통을 덜 느껴지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말이 생각이 났다. 그래. 그 와중에 욕 안해보려고 당근! 이런 말을 외친다고 생각해보면 짜증만 났을 것 같다.

내가 굴러넘어지는 소리를 들은 위층 사람 한명이 자기 팀에 있는 남자 동료 둘을 데리고 오고, 상사는 응급실에 접수를 해주고 택시를 불러줬다. 건장한 남자 동료 둘이 나를 일으켜 세워서 조금 걸어가다가 바퀴 달린 의자를 옆 팀에 있는 사람이 건내줘서 그걸로 나를 운반해 엘리베이터에 태워줬다. 그리고 택시 타는 데까지는 조금 걸을 수 밖에 없어서 거진 60킬로그램에 육박하는 나를 양쪽에서 부축해 옮겨줬다. 나도 내가 무거운 걸 한발 띌 때마다 느꼈는데, 그들은 어땠을지 상상이 간다. 감사해라. 초콜렛이라도 사다가 선물을 해야겠다.

회사에서 자동차로 10분 이내 거리에 있는 종합병원 응급실에 예약을 넣어뒀던터라 바로 촉진해보고 엑스레이 오더를 받아서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오래지 않아 정형외과 의사의 진단을 받아보니 뼈는 부러지지 않았고, 삔 거라했다. 내가 들은 빠각 소리에 대한 설명으로는 어쩌면 발목을 이루는 작은 뼈들 중 실금이 간 게 있을 수 있지만 있더라도 사진에 나오지 않는 경미한 수준이니 사용을 자제하면서 자연치유를 기다리는 게 최선이라 했다. 진통제로 파노딜과 이부프로펜을 주고 압박붕대만 감아준 뒤 집에 가라고 했다. 통증이 아직도 강하게 남아있었지만 삔 것에 불과하다니 너무 감사한 마음에 택시를 타고 집에 돌아왔다.

병원에서 나를 응급실에서 촬영실로 운반해주는 사람과 잠깐 이야기를 나눴는데, 차분하면서도 에너지가 충만하고 상냥한 사람이길래 잠깐 이야기를 나눴음에도 기분이 좋아졌다. 병원 예산 절감으로 병원 근무 여건이 어려워졌다는 이야기를 많이 드는데, 어떤지, 일은 마음에 드는지 등을 물어봤는데, 자기에겐 참 잘 맞는다고 했다. 사람들과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도 좋고, 자기는 긴 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게 적성에도 안맞았고, 그런 포지션에 일하는 건 안맞는다며. 중간중간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보면 지나가면서 빠르게 도와주는데 참 자기 일에 충실하고 열심히다 싶었다. 하긴. 내가 병원에서 만난 사람들은 다 상냥하고 친철했다. 임신 출산기간에 만난 사람들, 하나 입원했을 때, 시아버지 입원하셨을 때 등등 꽤 여러번 가본 병원들인데 그때마다 마음으로 대한다는 느낌?

사실 더 크게 다쳤을 수 있는데, 삔 것으로 끝나서 너무 다행이다. 거기에다가 동네에 시니어샵이 있어서 옌스가 퇴근길에 바로 사다줘서 발목을 사용하지 않고 온전히 보전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부러진 거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하나, 수술해야 하면 어쩌나, 하나는? 일은? 엄청 머리가 복잡했는데 그게 아니라니. 물론 주말에 하나 발레 수업도 못갔고, 회사에서 하는 아이들을 위한 fastelavnsfest도 못했지만… 그거야 또 다시 하면 되는 것들이니까. 진짜 참 운도 좋다니까…

점심식사는 동료들의 도움을 받아 식판에 음식도 받고, 접시도 치우고, 커피도 마실 수 있었다. 타인에게 이런 도움을 받는 게 익숙하지 않지만 감사히 받고, 나도 나중에 또 기회가 있을 때 타인을 돕는 것으로 갚아야겠다. 친절한 동료들이 있어서 감사하다.

화장실을 가는 길에 그 옆을 지나가던, HR 팀원인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나보고 무슨 일이 있었냐고, 스키여행이라도 다녀왔냐고 묻길래, 사무실 계단에서 지난주 금요일에 굴렀다고 답을 했다. 그랬더니, 그건 산재라며, 리포팅을 했냐고 묻는거다. 아, 이건 내가 그냥 구른거라 산재는 아닌거 같다고 하니, 사무실에서 일어난 모든 사고는 다 산재의 일환이라며 조직은 이런 모든 사고를 산재청에 보고할 의무가 있으니 바로 보고하라고 담당자를 친절히 알려줬다. 혹여나 이 부상이 오래 가면 어쩌냐고 하면서 말이다. 아니 이런 철저한 직업의식이라니! 나야 고맙지.

그리고 일요일에 드디어 차를 주문했는데, 다음주 금요일에 차를 인수하면 한동안 출퇴근을 차로 하면서 발에 휴식을 줄 수 있길 기대해봐야겠다. 이미 그때 다 나아있음 어쩔 수 없이 계속 기차로 출근하고. 🙂 차를 샀으니 사무실에 케이크를 또 한번 사갖고 가야겠구나. 좋은 일이 있을 땐 케이크로 기쁨을 나누는 재미있는 덴마크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