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들어간다는 것

내 대학교 3,4학년 시절의 큰 비중을 채웠던 경영학회 GMT. 지도교수이셨던 박영렬 교수님이 퇴임을 하신다고 홈커밍데이 겸 퇴임 축하를 한다고 참석여부를 확인하는 메일을 받았다. 어느새 박교수님이 퇴임을 하실때가 되었구나. 아… 내 흰머리가 늘고 내 남편, 부모님, 시부모님의 나이듦을 보고 느낀 것과 또다른 형태로 세월의 흐름을 체감했다.

근 1~2년 새 유독 내 신체나이가 들어감을 느끼고 있다. 피부의 탄력이 예전같지 않고 머리카락을 좀 들춰 뒤적거려야 몇 개 찾을 수 있던 흰머리가 표면으로 올라오기 시작했고, 이미 라인에도 몇가닥 새싹처럼 올라와서 이들과 친해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피부에 상채기라도 나면 예전엔 그냥 둬도 낫던 것이 이제는 소독약 없이는 덧나서 낫는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안경 없으면 피곤했지만 그래도 벗고 생활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안경 안쓰면 안그래도 짧은 팔을 길게 뻗어 미간을 찌푸려봐야나 작은 글씨를 읽을 수 있다. 저녁 약속에 좀 이쁘게 한다고 안경 벗고 나가면 메뉴를 보느라 고생을 하니 오래지 않아 안경은 두고 다닐 수 있는 물품에서 제외될 모양이다. 몸의 근력이나 그런 걸로만 보면 내 인생에 유래없이 강한 시기이지만, 조금만 잘못 쓰면 인대나 관절 등에서 신호를 보내온다. 물론 덕분에 관절을 정확한 방향으로 쓰는 법을 끊임없이 연구하게 되었으니 꼭 나쁜것만은 아니지만.

한국에서 같이 공부하던 사람들을 보면 각각 커리어의 정점을 달리고 있는 것 같다. 나는 한국의 관점에서 보면 영 동떨어진 비영어권 환경에서 살며 대학원 공부를 다시해 새로운 커리어로 완전히 다른 문화권에서 일을 시작했으니 정말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것만 같다. 나이에 상관없이 (나이가 아주 많았다면 상관없지 않았겠지만) 이렇게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해 젊은 동료들과 같이 일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뭐 아주 젊은 동료들도 아니기도 한가?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를 놀라게 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분야의 바다에서 지적 호기심을 갖고 뭔가를 파는 일이 적어졌는데, 일이 나를 새로운 분야로 던지곤 하면 그제서 또 이를 배우느라 헤메기도 하고 가슴이 뛰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되려 젊어짐을 느끼곤 한다. 그런 면에서 대학교에서 학업을 마치고 직장생활을 시작한지 거의 이십년이 흘러 완전히 새로운 영역을 파고 있는 지금, 감사함을 느낀다. 다시금 삼각함수를 파고, 전기공학과 관련된 이론을 보고, 이제사 왜 수학과 물리 등이 중요한지 또한번 느끼는데 옛날 이걸 왜 배우는지 알았더라면 더 재미있게 배웠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이 들어감과 내 익숙한 영역에서의 활동기간이 함께 길어지면 두려움이 늘어나는데, 이를 깨고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다보면 그 두려움을 물리칠 수 있게 된다. 타인의 시선 속 나, 내가 되고 싶은 나와 실제의 나 사이의 관계를 보느라 끊임없이 나를 중심으로 보던 시선을 밖으로 돌릴 수 있게 되고 나니 새로움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를 내던질 수 있게 되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생기는 변화는 분명히 있다.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구분할 것 없이 말이다. 하지만 두가지 모두 그 변화 속에서 젊음을 챙길 수 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느낄 수 있는 수평적인 사회에서 살며 더욱 자유롭게 새로움을 탐색할 수 있다는 건 그런 점에서 축복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