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역꾸역 쓰고 있다. 워드카운트가 18600을 넘었는데, 카운트가 늘 수록 그 증가율은 떨어진다. 후루룩 써 내려갈 것만 같은 마음인데, 막상 손이 가면 그렇지 않다. 일상이 정말 건조해지고 있다. 친구도 만나기 어렵고 옌스와도 짧은 대화 외에는 긴 대화를 하기 어렵다. 문화생활도 집에서 짬을 내서 볼 수 있는 TV 시리즈가 고작인 상황으로, 감성면에서 채우는 작업을 할 수가 없다보니 더이상 뺄 물이 없는 빈 욕조가 된 기분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다른 걸 미뤄두고라도 논문에 집중할 때다. 한달 열흘이면 최종제출이니… 10시가 넘었으니 논문은 덮어두고 쉬다가 자야겠다. 너무 늦게까지 쓰면 잠에 들 수가 없어 다음날에 지장이 생기더라. 논문을 쓰는 모든 이에게 화이팅!
Tag Archives: 꾸역꾸역
생일 일주일전 근황 – 뒤죽박죽
다음주 금요일이면 생일이다. 시부모님이 하루 전에 오셔서 생일을 같이 보내시고 토요일에 가신다고 하신다. 손녀 보러도 오시는 거겠지만 내 생일 축하해주시려고 보언홀름에서 먼 길 와주신다니 감사할 따름이다. 아마 금요일에는 시어머니랑 밖에 나가서 근사한 외식을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옌스가 이번에 45번째 생일이라고 친구들 몇명 초대해서 남자들끼리만 외식을 한 것을 보고 시어머니가 그러면 내 생일에는 옌스 집에 있으라그러고 나가서 식사하라고 하시길래 그럼 같이 하시겠냐고 여쭤봤던 거였는데 그러시겠다고 했었다. 농담이려거니 했는데 일부러 오신다는 걸로 보아 아마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다. 만약 그렇다면 하나 태어나고 나서 애 없는 오붓한 저녁식사는 처음이 되지 않을까?
16개월이 조금 넘어선 하나는 요즘 빠르게 말이 늘고 있다. 단어가 느니 우리와 커뮤니케이션이 쉬워졌다. 단점으로는 말이 느는 것과 함께 독립심이 늘고 자기 의사가 생기기 시작해 원하는 게 안되면 성깔을 엄청 낸다는 거다. 그 자체가 단점은 아닌데, 어디 데리고 가서 그러면 난처함이 있다. 그렇지만 우리도 그에 맞춰서 대응 요령이 생기고 있어서 이런 핑퐁게임은 앞으로 끊임없이 생기겠구나 싶다. 아이는 그냥 사랑스럽다. 힘은 들어도 화는 안나는 거 보면 내 아이라 그런가 싶기도 하고, 아니면 늦은 나이에 애를 낳아서 그냥 그러려니 하는가 싶기도 하고.
덴마크어 시험은 구술만 남았다. 쓰기와 읽기는 모두 12점이 나왔다. 읽기야 이미 정답을 맞춰보고 틀린게 없음을 확인했기에 그러려니 했지만 쓰기가 어땠을런지 엄청 긴장했다. 수업의 후반으로 가면서 쓰기가 많이 늘기도 했고, 시험 때 정성들여 쓰고 검토도 차분히 한 만큼 12점 나올 것 같긴 했는데, 사실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 지야 나와 봐야 아는 거였으니까. 시험 점수 나오던 날엔 꿈에서 4점을 받고 “이건 꿈일거야! 꿈이어야만 해!” 외쳤던 악몽도 꾸었다. 구술은 선생님 왈 읽기와 쓰기보다 훨씬 낫기 때문에 12점 받을 거라 확신한다고 하셨으니 기출문제 받아온 것만 주르륵 훑어보고 가보려 한다. 이 시험을 보고 나면 중상급을 통과한 거고, 이 뒤로 대학교 진학을 위한 과정을 들어보려고 한다. 대학교를 다시 갈 일이야 없지만, 고등교육을 위한 언어교육은 앞으로 직장생활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니까. 아니 그런 걸 떠나서 앞으로 여기서 계속 살꺼니까 언어는 필요하고, 공부 없이 신문보고 영화보고 뉴스보고 하는 정도의 그냥으로는 느는 데 한계가 있음을 아니까 지금 박차를 가할 때 가하련다.
논문은 슬럼프다. 쓰긴 써야하는데 쓰기가 싫다. 그냥 꾸역꾸역 쓰고있다. 논문의 주요 결과는 나온 상태라 초록을 컨퍼런스에 보내봤는데 (교수가 보내보래서) 아주 포멀한 컨퍼런스가 아니라 그런지 억셉트도 되었고, 발표를 하려면 어찌 되었든 미룰 수 없이 끝내야 한다. 끝낼 수 있을지 하는 두려움이 계속 스물스물 피어오르지만…
박사과정 지원은 데드라인이 다가오는데 제안서 아이디어도 아주 뜬구름 잡고 있다. 최소 이틀은 할애해서 써야한다는데, 애가 있는 나는 사흘은 감안해야 할 것 같다. 지원하지도 않고 나중에 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후회를 방지하기 위해 지원은 하지만, 내가 박사과정을 할만한 지구력이 있는 깜냥인지에 대한 의문때문에 자꾸 망설여지는 부분이 마음 한켠에 자리잡고 있다. 아주 훌륭한 박사과정생만 있는 건 아니겠지 하는 마음이기도 하고, 뭐 떨어지더라도 해보지도 않고 신포도 타령하는 건 후회할 일임일 그간의 경험으로 알고 있으니 지원은 해봐야한다.
이번 생일이면 만으로 38. 곧 40이 다가온다. 사실 운동 체력으로만 따지면 20대때보다 더 나은 것 같다. 운동 없이 사는 한국의 고등학교 시스템과 그 라이프 스타일대로 그냥 살았던 내 대학교와 직장생활 시절 덕에 기저효과가 물론 엄청 큰 탓이다. 한국에서 막판에 시작했던 발레와 (지금은 잠시 육아로 중단했지만) 기타 웨이트 덕에 지금 체력이 더 좋은데, 이제는 운동을 안하면 근손실도 눈에 띄게 느껴진다. 앞으로 애 키우면서 힘 쓸 일도 많고 할 수도 있는데 체력을 좀 더 다져야겠다. 익숙해졌던 웨이트들의 무게도 조금 늘려야지 이제는 같은 무게로는 근육이 다져지지 않는 것 같다.
지금 필요한 건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그냥 뭐든 꾸역꾸역 하는 거 같다. 다른 나라에 와서 새로이 뭔가를 계속 개척해야 한다는 건 힘들기도 하지만, 사실 어디에 살아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것을 계속 해야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으니까 지금의 현실은 어찌보면 특별한 것도 아니다.
아… 생각은 많고 뭔가 하는 건 적다. 제일 열심히 하는 건 드라마 빈지워칭이다. Rejseholdet라고 범죄수사 드라마인데… 재미있다. 느는 건 범죄 수사 어휘…
생각은 많고 행동은 적고 정신상태는 뒤죽박죽… 글도 갈수록 정리되지 않는다. 그냥 기록하려는 것일 뿐…

밤 11시 40분의 하늘. 일조시간은 이미 거의 최고로 긴 상태에 다다른 것 같다. 하지를 거치고 나면 이제 다시 짧아지겠지.

주고 받고를 끊임없이 반복한다. 뭔가가 엄청 재미있으니까 반복하는 거겠지. 중간에 자기가 원하는 대로 안되면 짜증을 팍 낸다. 감정 통제가 불가능한 나이.

홍역 접종은 쉬웠다. 이때만 해도 접종할 지 모르고 자다 깨서 마냥 좋아하던 하나. 그래도 끝나자마자 건포도 한 팩에 즐거워해서 다행이었다.

쇼핑센터에 있던 아이 놀이터에 작은 집 모형이 있는데, 내가 그 안에 들어갔더니 하나가 좋아하며 들락날락하더라. 물을 벌컥벌컥 마시는 하나. 옷은 다 젖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