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협업문화] 경제분과 국무위원회 상정 안건 생산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근로문화. 업무 시간의 경계가 흐려진다. 방금 업무가 끝났다. 열시 반. 오늘도 아침 7시에 일을 시작했는데… 다들 애가 있으니까 긴급한 사안이 있는 경우, 애 없는 시간에 협업이 이뤄지게 된다. 상반기에는 부활절 휴가기간이 있어서 이 전후로 많이 바쁜데 거기에 특별히 급한 프로젝트가 떨어졌다. 하수도기업의 기후변화대응 파이낸싱 방안에 대한 법안이 내년 1월부로 발효되어야 한다는 결정이 이번주에 결정되면서 그간 부처간의 의견 차이로 다소 미적거리던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게 되었다. 부처간 이해관계 및 오너십 문제 등에서 미묘한 갈등이 있어왔는데 이제는 그걸 아주 적극적으로 부딪혀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안그래도 여러모로 바쁘고 내가 발표하거나 리드를 해야하는 회의가 있어서 긴장레벨이 높았는데, 법안 상정을 위한 모델 페이퍼를 금요일 센터장급 부처간 회의 전에 급히 만들어야 한다는 상황에 멘탈이 나갈 지경이었다. 이번주에 옌스가 지난주처럼 바빴으면 정말 끔찍했을 것 같다. 애와 놀아주느라 회의들 사이사이 밖으로 나가 주기도 하고 일과 육아를 열심히 병행해준 옌스 덕에 이번주의 일들이 가능했다.

현재 법안과 제도 부분을 토대로 안건의 제도적인 모델 부분은 나와의 회의를 통해 합의된 내용을 토대로 선임이 쓰고, 나는 경제분석방법에서 테크니컬한 부분을 써서 초안을 마련했다. 그걸 토대로 우리 센터장이 코멘트를 해 초안을 1차로 보강한 후, 센터장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라 수정 초안을 대대적으로 재배치하고 전략적으로 표현을 수정해 2차 수정 초안을 마련했다. 거기에 우리가 수정하거나 보충할 것을 더한 후 상사가 컨펌을 함으로서 최종안이 나왔는데, 진짜 센터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탁월하다는 걸 다시한번 느꼈다.

이번처럼 엄청 타이트한 데드라인 압박속에서 중요 문건을 여러명의 협업을 거쳐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며 정말 많이 배웠다. 덴마크어 공부는 덤. 타이트한 데드라인 압박속에서 일하는 거야 익숙하지만, 그 과정에서 협업을 효율적으로 하는 법은 익숙하지 않는데 말이다.

현재 내가 하는 일이 입법으로 연결되야 하는 게 두개나 걸려있어서, 법안 초안 작업 전 작성하는 고려사항문서에 어떻게 내가 하는 일이 반영되는지, 그래서 그게 어떻게 법안과 시행령에 들어가게 되는지, 직접 참여하고 보면서 많이 배우게 될 것 같다. 한국과 달리 내각책임제 시스템인데다가 대부분의 법안은 국회에 상정되기 전에 정당간 협상을 통해 법안이 통과될지 여부가 결정되기에 부처에서 먼저 만들지 않은 안건이 야당의 입법제안을 통해 상정되는 케이스는 없는 것 같다. 한국의 프로세스를 잘 모르는데다가 덴마크의 프로세스도 사실 나에게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이를 비교하는 건 가능하지 않지만, 오랜 시간 공기업에 근무하면서도 사실상 멀게만 느껴지던 일련의 프로세스를 덴마크에 와서 배우게 되는 것도 신기하다.

요즘 정신적으로 사실 피로하기도 하고 육체적으로도 피로하긴 하지만 배우는 건 많고 힘든 와중 즐겁기도 하고 그렇다. 내일 하루 버티면 또 주말이 오고 곧 또 부활절 휴가가 오겠지. 조금만 버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