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에 익숙해지는 건 연습이 많이 필요한 것 같다. 그리고 그 거절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 또한.
요즘 졸업한 동기들을 보면 스웨덴인과 덴마크인을 제외하고는 직업을 찾지 못했다. 신문에서는 전문직의 구인난이 계속되고 있다는데, 그건 결국 이나라 말을 할 수 있을 때나 해당하는 것인 모양이다. 졸업한지 3개월동안 구직을 하면서 인터뷰 조차 하지 못한 동기들은 꽤나 스트레스를 받는 모양이다. 학업을 하는 동안 덴마크어를 하지 않은 것을 엄청 아쉬워하고 있는데, 덴마크어 수업 등록하는 것도 실업급여 받는 동안 처음으로 강좌신청할 경우 원하는 학원에서 못듣고 잡센터에서 운영하는 학원으로 가서 들으라고 하는 모양이다. 그나마도 듣고 싶다고 신청을 했는데 아직 답도 못듣고 있다면서 분통을 터뜨리는데 마음이 안스러웠다.
덴마크어를 못하면 취업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덴마크어에서 손을 놓지는 않고 있었지만, 그래봐야 중상급. 일터에서 덴마크어를 쓰기엔 부족하다. 그나마 대학원으로 바빠 힘들다면서도 덴마크학원을 꾸준히 다녀놓은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힘들 때 밀어부쳐야 오히려 더 하게 되는 거 같아서 2월부터 다시 다녀보려 생각중이다. 1년에 2번 보는 PD3라는 시험이 있는데 이걸 좋은 성적으로 통과해야 마지막 모듈을 들을 수 있다. 그 뒤에 있을 대학입학 요건 같은 Studieprøven이라고 최종 어학시험을 대비하는 모듈인데, 읽기와 쓰기를 인텐시브하게 가르친다고 한다. 여름 후 취직이 바로 안될 확률이 매우 높으니 그 때 이 모듈을 들어놓으려면 5월엔 PD3를 봐야할 것 같다. 옌스한테도 주 2회 저녁 7시 수업은 감당할 수 있겠느냐 물었더니 할 수 있단다.
수업과 시험은 수업과 시험이고. 실생활에서 쓰지 않으면 언어는 늘지 않는다는 것이 경험에서 나온 신조인지라 이제 새로운 레벨로 시도해보기로 했다. 논문 데이터 수집부터 덴마크어로 연락을 하기로 했다. 대충 시나리오를 짜 놓고 전화하긴 했지만, 전화란 게 나 혼자 떠드는 게 아니라 긴장되는 건 어쩔 수 없다. 수업자체가 영어로 진행되기에 이에 해당하는 용어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 결국 나중에 나에게 피가되고 살이 될 경험이라 생각한다.
전혀 상관없는 사람에게 콜드콜을 걸어 나는 어떤 공부하는 학생인데 데이터 필요하다고 도와달라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거절하는 사람이 많은데다가 꼭 친절하게 답한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전화거는 방법도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니 우리말로 해도 긴장될 상황이다. 이 와중에 덴마크어로 이야기를 하다보면 내가 너무 혹시 직설적으로 이야기하는 건 아닌가, 아니면 오히려 직설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으려다 너무 장황하게 이야기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머리속이 복잡하다. 누군가는 엄청 차갑게 우리는 그런 데이터가 없고 여기랑 여기 같은데서나 받을 수 있을텐데 네가 그것을 받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답하기도 하고 누구는 도와주겠다고 하기도 한다. 당신이 말한 곳이 어디랑 어딘지 다시 말해주겠느냐, 내가 외국인이라 잘 못알아들었다 라고 재차 물어도 빠르게 말해주면 머쓱해지기도 하지만 아쉬운 건 나니까 철판 깔고 다시 들이밀었다.
차가운 반응이나 거절의 통화를 하고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기분이 조금 그렇다. 그럴 땐 벌떡 일어나 화장실로 가며, 거절은 원래 당하는 거라며,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말자고 중얼거린다. 점심때 만난 대학원 동기들에게 이야기했더니 거절에 곧 익숙해질 거라며 친절한 투로만 말했지, 닥치고 꺼지라는 내용을 들은 일도 많다고 이야기해준다. 엄청 위로가 된다. 거절에 익숙해질 거라니. 강해진다는 내용이잖아.
코트라 다닐 때만 해도 거절을 당하면 엄청 스트레스를 받았다. 내가 뭐 특별한 사람도 아닌데, 살면서 거절을 별로 당해보지 못해서 그런 것 같다. 이제는 여기 이민자로 거절 당할 일이 수두룩 빽빽할텐데 하는 마음가짐이라 그런가? 거절에 조금 무뎌지는 거 같기도 하다. 물론 그럴 일을 줄이기 위해 노력은 하겠지만, 내가 노력한다고 해서 다 통제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이 아니지 않는가. 직업 구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같이 공부해봐서 아는 우수한 친구들도 말이 안되니 인터뷰조차 못보는데. 논문 쓰면서도 그런 트레이닝은 많이 받겠지. 예전엔 거절당할 것 같은 일, 안될 것 같은 일은 하기 정말 싫어하면서 하거나, 피할 수 있으면 피했다. 지금도 그런 성향은 완전히 없어지진 않았지만, 안될 거 같아도 해보면 되는 일들이 있으니 우선 부딪혀보자고 들어가는 것은 조금 달라졌다. 그리고 예전엔 하다가 중단하면 이미 완벽함에서 망쳐졌으니 다시 시작하지 않았는데, 이제는 안하는 것보다는 하는게 낫다는 주의가 되서 끈기가 조금 늘어난 것 같다.
다시 덴마크어로 돌아와서… 중상급에서 언제까지 안주하고 있을 수 없다는 생각에 라디오 청취를 다시 시작했다. 어디고 이동할 때는 핸드폰을 보지 않고 라디오를 듣는 것이다. 국영방송 제1라디오를 들으면 주로 뉴스와 시사, 교양프로그램, 토론방송 등을 한다. 텔레비전 드라마가 재미있어서 동기부여가 되긴 하지만, 자막과 그림이 있으니 듣기에 온전히 집중을 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라디오는 끊임없이 떠드니까. 국영방송이라 광고도 하나도 없어서 정말 공부하기엔 최적이다.
신문읽기도 하루에 최소 신문 한면 정도는 보도록 하고있다. 예전보다 읽는 속도가 늘어나서 신문읽기가 수월해졌다. 어휘를 따로 외우려는 노력은 안하고 끊임없이 찾다보면 외우게 되는 식으로 단어를 공부한다.
덴마크어를 가까이할 수록 한국과는 멀어진다. 한동안 엄마아빠가 뭘 이야기해도 대충 한국사정은 꿰고 있었는데 이제는 그렇게 할 시간이 없다. 지진난 이야기도 남이 해줘서 알게되고. 하나가 있고 학업도 있으니 정말 딴 짓 하기 힘들다. 운동도 어디 가서 하긴 어려워서 애 잠들고 나면 화장실가서 스쿼트를 포함해 15분정도 간단한 맨몸을 활용한 트레이닝을 하는 게 전부다.
남의 나라에서 산다는 건 팍팍한 일이다. 그렇지만 모든 거절이 내가 외국인이라서 받은 게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거절은 내 나라에서도 받을 수 있는 것이니까. 거절에 대해 생각해보던 어제 친구에게 언제쯤 이곳에서의 삶이 이방인의 삶으로 느껴지지 않을 거 같냐는 질문을 받았는데 정확히는 답을 할 수 없었다. 아직도 이방인의 삶을 사는 건 틀림없으니까. 그렇지만 처음보다는 지금이 더 여기를 집처럼 느낄 수 있게 되었고, 덜 이방인처럼 느끼게 되는 것도 분명한지라 앞으로 계속 살다보면 여기가 진짜 내 고향 같아지지 않을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