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시즌이다. 트럭을 하고 다니면서 아무 걱정 없는 표정으로 소리 지르며 흥에 가득차 춤을 추고 사람들을 향해 손을 흔들며 졸업을 자축하는 그들을 보면 미래의 하나를 보는 것 같은 마음이 들어 나도 손을 마주 흔들며 축하의 인사를 날린다.
졸업시즌은 한해 중 해가 가장 긴 하지를 지나면서 바로 시작되는데 이 때의 저녁 아홉시가 어찌나 좋은지. 테라스에 앉아 뉘엿뉘엿 넘어가는 해와 뺨을 간질이는 바람을 즐기며 앉아서 책을 읽거나 핸드폰을 하거나 지금처럼 블로그를 쓸 수 있는데 그 순간이 그리 좋을 수가 없다. 사실 내 삶이 특별히 큰 이벤트로 가득차있지 않은데 감사할 일이 많은 것을 느낄 때면 나이가 예전보다 조금 더 들었기 떄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얼마전 듬성듬성한 화분을 조금 더 적극적으로 가꾸기로 마음을 먹고 꽃들 사이 큰 빈공간에 제라늄을 심었다. 왜 우리 집에는 보라색 꽃만 있고 옆집 할머니가 갖고 있는 분홍색 꽃은 없냐고 묻는 하나의 말에, 그럼 우리도 분홍색 꽃을 심을까 하고 물었더니 너무나 기뻐하더라. 수국을 심었다가 바람에 꺾였던 기억에 제라늄이 잘 버틸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몇년 째 같은 제라늄을 잘 키우시고 계신 옆집 할머니를 보며 화분 네개를 들여 옮겨 심었다.
여러가지 우리가 내거는 조건에 딱 맞는 집을 찾기가 어려운 것도 있고 우리가 살고 싶은 곳에 집이 잘 나오지 않는 이유도 있어서 고민을 하다가 집 찾기를 잠시 중단하기로 했다. 대신에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집의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옌스가 살던 집에 내가 들어오고, 하나가 태어나며 니즈가 꾸준히 변했는데 크게 물건을 정리하고나 수납 방식에 대대적인 변화를 주지 않았던 게 쌓이고 쌓여 불편함이 커진 게 이사를 꿈꾸게 만든 이유였다. 그래서 그 이유를 없애지 않고는 이 집 생활이 더이상 만족스럽지 않을 것 같아 변화가 필요했다.
우리 옆집에 할머니가 여기서 애를 낳아 길러 독립을 시키시고 그 장성한 아들이 옌스랑 비슷한 나이일만큼 오래 사셨으니 애 하나에 못살 집은 아니렸다. 애가 십대때 충분한 사생활을 보장해줄 수 없음에 불편함을 다소 느끼신 거 외엔 큰 불편함이 없으셨다는데, 삼십평 집에 세식구 못산다 하면 사실 배부른 소리가 맞다. 그러니 이 집을 잘 아끼고 가꿔서 써야하겠다 싶었다.
지난 주말과 평일 저녁을 할애해서 많은 물건을 정리했다. 그간 불편함을 느꼈던 부분들을 크게 개선했고 휴가때 할 일들을 리스트업해서 그때 사용할 자재들을 주문해서 일부는 도착하고 일부는 기다리고 있다. 가장 큰 프로젝트는 베란다 마루를 물청소하고 사포질해서 오일처리하는 일이다. 사흘에 걸쳐 할 일인데 이게 끝나면 수납을 위해 사용하던 플라스틱 상자들을 처분하고 벤치처럼 앉을 수 있난 야외 가구형 수납가구를 들일 계획이다. 그리고 셔츠와 같은 빨래를 널기 위해 쓰던 옷걸이를 정리하고자 한 벽에 설치하고 필요할 때마다 댕겨서 반대편 벽에 걸어 쓸 수 있는 옷걸이를 샀다. 이제 드릴질 해서 설치할 일만 남았네.
부엌은 높은 벽에 선반을 설치해서 수납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려 하는데, 큰 요리용기들을 사서 자주 쓰는 재료는 그 안에 모아서 사용하기 쉽게 정리할 예정이다. 그러면 지금 그런 재료가 차지하는 공간을 다른 것에 할당하고 부엌 선반에 뭐가 너저분하게 늘어있는 상황을 없애려고 한다. 그리고 계속 마음에 안들던 싱크대 보울을 바꾸려고 한다. 그간 적립해온 환경개선비용을 활용할 수 있다면 임대주에게 요청해서 그걸 활용하도록 하고, 그게 안된다 하면 자비를 내서 하려한다. 여기서 사는 시간을 잘 사는 게 중요하니까.
우리 침실에서는 옷걸이로 전락한 발레바를 베란다로 내오고 옷장이든 오픈식 시스템 옷걸이를 설치하든 수납을 좀 달리하기로 했다. 그와 함께 나중에 내 피아노를 돌려올 공간을 만들기 위해 침실에 있던 낡은 오디오시스템과 CD, DVD가 가득한 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여기서 빼오는 CD와 DVD는 거실에 한쪽 벽을 가득 메울 책장을 새로 사 설치하면 거실 오디오장에 꼽혀있는 책과 하나 물건을 다 옮겨내고 그 빈 공간으로 옮기기로 하고.
거실에 책장벽을 설치하고 나면 잡스럽게 굴러다니는 소품을 다 안보이게 정리할 수 있어서 청소도 쉬워질 것 같고 눈을 거슬리게 하는 게 줄어들어 마음에 평화가 찾아올 것 같다.
그와 함께 지하실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기로 했다. 그렇기 위해서 버릴 건 정리해 버리고 그곳에도 선반을 설치해 더이상 물건을 테트리스처럼 쌓는 일이 없도록 하기로 했다. 물건을 테트치스처럼 쌓아 정리하면 그 아래 들어간 물건은 거의 쓸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죽은 물건을 들고 있는 셈이 되고, 쓸 수 있는 것도 안쓰게 되니 정말 큰 공간낭비, 공간을 빌리는 돈 낭비다.
그간 옌스의 저항으로 대대적 정리와 변화를 꾀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 이사 추진 및 중단을 계기로 내가 우리 공간에 대해 생각하는 문제를 조금 더 잘 생각해서 말할 수 있기도 했고, 옌스도 그 필요를 이해하기도 해서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번 휴가의 첫주는 이런 대대적인 가사일의 한 주로 계획되었다. 힘도 들겠지만 내가 원하던 변화를 드디어 실행에 옮기는 시기라 두근거리고 흥분된다.
역시! 멋진 언니~!
잇힝.. 고마워 승미야~~~
집안 수납이랑 정리는 정말 어렵게 느껴지는 숙제예요. 뭘 해야 할지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막막하고… 어찌어찌 적응해서 살다 보면 무뎌지고… 제일 어려운 프로젝트 같아요.
꿀팁 종종 나눠주세요!
진짜 그렇죠? 제 생각에 정리는 우선 침실 옷장정리 처럼 대상구획을 정한 뒤에 그 안에 있는 것 중 안쓰는 것을 버리는 걸로 시작하는 게 제일 좋은 거 같아요. 지난 이삼년간 안 쓴 물건은 거의 다시 쓸 일이 없더라고요. 옷 같은 경우 언젠가는 입을 거 같아서 나눴지만 뭔가 태가 안나서 항상 다른 옷에 밀렸다면 그건 꼭 버릴 옷이더라고요. 신발이나 다른 물건도 마찬가지고요. 그렇게 버릴 걸 버리고 나면 공간이 좀 남잖아요. 그럼 물건을 다 꺼내서 재배치를 하고요. 자주 쓰는 물건이 손에 쉽게 닿는 위치로 오게끔요. 평소에 불편함이 느껴졌던 걸 해소하는 걸 주안점으로 두면 좋더라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