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개월 하나

얼마나 이쁘게 자랐는지 모르겠다. 이제 정말 대화같은 대화도 나누게 되고 하나의 참 살갑고 따뜻한 성격에 깜짝깜짝 놀라곤 한다. 덴마크어로는 세세한 뉘앙스를 담아 이야기를 나누는 게 늘어가고 요즘은 한국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나에게 뭔가 달라고 하는 건 한국어로 말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다.

뭔가를 가르쳐주면 금방 기억하는데, 어떤 규칙에 대한 것 중 사회성과 관련된 규칙을 특히 잘 기억한다. 다른 사람을 때리면 안된다, 우리집에 놀러온 사람은 내 것을 빌려 놀아도 된다, 남이 갖고 놀고 있던 것을 뺐으면 안된다, 누가 때리면 맞때리는 게 아니라 멈추라고 이야기하고 어른을 불러서 중재를 시켜라, 자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조용히 해야하고, 조용히 해야하는 상황임을 어른이 알려주면 조용히 해야한다 같은 것 말이다.

하나 성격이 이렇다보니 자기 것을 잘 안나누려는 아이와도 크게 다투는 법 없이 잘 노는 편이고, 상대가 때려도 상대가 사과를 하면 기꺼이 먼저 가서 안아주려거나, 아니면 상대가 사과 하기 전에도 사과를 기다리며 다가가서 화해를 준비한다. 옆에서 보고 있다보면 나랑 달리 참 따뜻하고 살가운 아이구나 싶다.

힘이 넘쳐서 여기저기 많이 뛰어다니고 하지만 어디 데리고 다니기에 부산하지 않고, 외출해서 앉아서 밥을 먹거나 기차를 타고 다님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이 없다.

사교적인 성격이고 타인에 대한 신뢰를 기본적으로 깔고 있어서 낯선 사람과도 눈을 마주하고 자기를 소개하고, 상대 이름도 묻고, 이런 저런 자기 이야기도 늘어놓는다. 때로는 궁금한 점을 물어보기도 한다. 참 매력적인 아이라는 생각이다.

기질이라는 게 참 큰 것 같다. 주변 환경과 부모의 육아, 보육원에서의 보육환경 등 여러가지 환경적 요소의 영향도 있겠지만, 제일 큰 건 하나가 타고 난 기질인 것 같다. 그 기질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우리의 몫이겠지.

얼마전 영화관 가서 한시간 반동안 조용히 잘 앉아서 관람도 하고 오늘도 한시간 반에 달하는 왕립극장 관람에서도 하고 싶은 말은 귓속말로 속닥속닥 하며 잘 버텨줬다. 미로같은 왕립극장의 긴 거리를 잘 걸어주었고 여기저기 환경이 따라주는 연습실에서는 깡총깡총 뛰어다니고 매달리고 춤추고 힘을 발산하면서도 부산하거나 시끄럽지 않게 잘 따라주니 얼마나 다행이었는지 모르겠다.

이번 크리스마스 연휴에 시댁 친척까지 모인 모임에 가서도 행동이 얼마나 유쾌하던지, 가족들이 말도 너무 잘하고 성격이 밝고, 식탁 예절도 바르고, 귀엽다고 칭찬이 어찌나 많던지.

올해 크리스마스며 새해 맞이까지 자기 몫을 톡톡히 해냈다. 이제 한달 후면 하나의 세돌 생일이 되는데 그때가 되면 또 달라지겠지. 한달 한달이 다르니까.

내 사랑 하나. 널 세상에 낳아 엄마는 정말 감사하고 또 감사하구나. 내 세상이 180도 달라지는 경험을 하게 해주는 하나. 사랑해.

내 모자를 가져다 쓴 하나. 패션 센스하며 참 훌륭하네. 🙂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