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모습을 그려가기

옛날에 교과서에서 큰바위얼굴을 읽었던 게 어렴풋이 기억난다. 큰바위얼굴을 닮은 사람을 찾아오던 소년이 나중에 그 바위와 닮은 얼굴을 갖게 되는 내용이었던 것 같다. 

예전의 나는 참으로 내가 아닌 사람이 되고 싶었다. 나에게 없으면서 내가 갖고 싶은 것을 갖고 있던 사람을 볼 때마다 내가 작게 느껴지고, 왜 나는 그런 면모를 갖지 못하는가, 왜 나는 내가 싫어하는 모습을 버리지 못하는가 하는 생각으로 나를 많이도 괴롭혔다.

지금의 내 모습이 내가 이상으로 생각하는 모습에 가깝느냐 하면 전혀 그렇지 않고 여전히 많이 멀다. 아니 이제는 이상으로 생각하는 모습이라는 게 딱히 없어진 것 같다. 그렇지만 예전에 내가 나를 싫어하던 모습에서는 벗어난 것 같다. 

내 못난 점이 훗날 드러날까 싶어 그런 못난 부분을 미리 한껏 꺼내보이는 것이 하나의 예다. 아마도 일련의 드러낸 단점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받고 싶어하는 왜곡된 마음의 결과였던 것 같다. 내 단점을 굳이 감추자는 것도 아니지만 자연스럽게 상대가 관찰하고 발견할 수 있도록 놔두지 않고 그런 점을 불필요하게 다 미리 볼 수 있게 다 끄집어내서 설명하거나 보여줬다. 이런 내 모습이 참 싫으면서도 그렇게 하곤 했다. 그리고 장점은 항상 겸양의 탈을 쓰고 과하게 그 가치를 평가절하하고 말이다. 아마 내가 노력을 해서 장점을 보여줬는데도 거절당하는 상황을 방지하려고 했던 것 같기도 하다. 

30대 초반까지의 나는 컴플렉스 덩어리였다. 외모도 별로고, 왈가닥에 할 줄 아는 건 일밖에 없는 사람인 것 같았다. 언어에 감각이 있다곤 해도 해외에서 살다온 사람에 비할 바도 아니고. 뭔가 눈에 띄게 뛰어난 게 없던 것 같았다. 오히려 못난 것에 초점을 맞추면서.

어려서 들었던 코가 조금만 높았다면 더 예뻤을텐데, 이빨만 교정이 잘 되었어도 (내가 인내심을 갖지 못하고 고등학교 때 관뒀다.) 더 이뻤을텐데. (결국 30대에 들어 턱관절 문제의 악화로 내돈 들여 다시 교정했다.) 주변에서 이러저러한 이야기만 안들었어도 아마 내 이나 코에 대해 별 생각이 없었을 수도 있다.

성격적으로는 내 왈가닥같은 성격으로 좋아하는 애의 관심을 받지 못하자, 그 고민의 결과로 엄마가 성격을 한번 좀 얌전하게 바꿔보자 하고 이야기해주셨는데, 그 성격이 그런다고 바뀔리도 없고, 그냥 내 성격이 단점으로 느껴지게 되는 계기만 된 것 같다. 

그 많은 게 바뀐 건 30대 들어서 심리서에 대해 열심히 읽어가며 나의 감정에 대해 이성적, 분석적으로 접근하기 시작하면서, 옌스를 만나기 시작하면서였다. 외모와 성격을 포함해 나를 있는 그대로 봐주고 기뻐해주고, 단점에 대해 조차 장점으로 봐주는 옌스와 함께하며 나에 대한 불안을 떨쳐내기 시작했다. 내 모습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기뻐해주는 사람이 있다보니, 나에 대한 나의 불만족감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모든 변화라는 건 꾸준한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것도 머리속에서 만이 아니라 마음속으로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그냥 나는 나의 장점이 있음을 안다. 다른 사람의 장점을 다 내 것으로 할 수 없지만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음도 알고. 또 그래서 이제 나를 과도하게 깎아내리거나 칭찬을 과하게 거부한다거나 남을 좋게 평가해주기 위해 나를 깎아내리지 않는다. 

우아함을 항상 갖고 싶었는데, 그건 나와 너무나 멀리 있는 이야기라 생각했다. 그래서 일부러 나를 희화화하고 익살스러운 행동을 하면서 그렇게 하는 나를 혐오하곤 했다. 그런데 이제는 나에게도 그러한 면이 있음을 발견했고 그걸 평소 생활에서도 체화하고자 노력했더니 나를 익살스러운 사람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 예전엔 이런 체화의 노력을 가식이라 평했을텐데, 그렇지 않음을 깨달았다. 

내가 원하는 모습을 가진 사람을 보면 부러워하지 말고 노력을 해야 함을 깨달았다. 꾸준함만이 답이다. 그리고 지금 나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도. 그게 출발선이니까. 그렇게 나는 나를 그려가고 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