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거의 만 33개월이 다 되어가는 하나. 부쩍 큰 게 느껴지는 요즘이다. 행동과 말, 생각이 모두 부쩍 달라졌다.
한국에 다녀오며 내가 덴마크 사람과는 다른 점이 있음을 느끼고 내가 한국인인지 묻는 것부터 해서 자기도 한국인인지, 아빠는 한국말을 잘 못하고 덴마크어를 잘한다고 말한다. 한동안 덴마크어를 많이 사용했던 내가 한국행 이후로 한국말을 고수하자, 내가 자기에게 한국말을 한다고 이야기한다. 보육원에서도 한국 다녀온 이야기를 하며 아빠는 한국말을 잘 못한다는 말도 한 모양이다. 하나가 덴마크말을 한국말보다 잘하다보니 나도 하나에게 덴마크어 사용이 너무 늘고 그래서 하나의 한국어 발달이 정체되었는데, 이를 다시 뒤집어보려고 한다. 워낙 언어감각이 뛰어나고 빠른 아이이니 나만 열심히 하면 장기적으로 한국어를 어느 수준까지 올리는 건 가능할 것 같다.
친구에 대한 인식이 있긴 했지만, 한두달 전부터는 가장 친한 친구를 꼽으라면 나오는 이름이 딱 두명으로 정해졌다. 휴가 기간에도 자기의 장난감 전화를 눌러가며 친구에게 전화해서 자기 일상을 설명하기도 했다. 예전에 전화놀이를 하면 자기 집이다 또는 보육원이다, 또 보자, 혹은 의미없는 중얼거림으로 어른의 전화통화를 흉내냈는데, 이제는 구체적으로 이런 저런 자기 근황을 전하더라. 넘어졌는데 계속 아프다거나, 배가 아프다거나, 자기는 잘 지낸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거기에 말에 뉘앙스를 더하기 시작했고, 숫자는 9까지 세고, 실제 사물의 개수를 세는 건 네 개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어떤 상황에 어떤 말을 하는지도 이해하기 시작해서 우스운 상황도 만든다. 예를 들면, 하나와 옌스가 기차를 타고 시내로 나가는 날이었다. 사람들이 하나에게 인사를 건낼 때 하나가 수줍어하는 때가 간혹 있는데 (주로 체격이 크고 우락부락하게 생긴 아저씨) 그럴 때면 내가 하나가 수줍어서 그렇다고 이야기해주곤 했다. 그 날은 어떤 할머니가 하나에게 인사를 건냈는데, 하나는 인사를 하고 옌스는 인사를 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러자 하나가 우리 아빠가 수줍어서 그래요.라고 했다는데 옌스가 우스워서 박장대소를 했단다.
이번 한국방문에서 하나와 나의 모습을 보던 오빠가 나보고 엄하다 하더라. 사실 내가 딱히 엄한 사람이라고 덴마크 생활에서는 느껴본 적이 별로 없는데, 아마 한국에서는 그래보일 수도 있는 모양이다. 그냥 소수의 몇가지 정해진 규칙에 있어서 예외가 별로 없고, 해당 사항에 대한 단호한 말투에 하나도 큰 저항없이 따르는 것 뿐인데. 옌스는 그냥 균형잡힌 엄함인 것 같다고 하고 옌스도 나와 비슷한 육아를 하고 있어서 둘다 그렇게 느껴본 적은 없는 것 같다. 그 덕분인지 대충 두돌에서 두돌 반 사이의 시기를 거치며 거세게 떼를 쓰는 일은 이제 없어진 것 같다. 우리와의 대화가 구체적이고 많이 자유로워지면서 떼 쓰는 일이 없어진 것 같다. 타협이 안되는 건 타협이 안된다고 받아들여서 규칙을 받아들이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어쩐지 한국과 덴마크간 7시간 시차를 거슬러 여행함에 있어서도 너무나 잘 짜증내지도 않고 즐겁게 여행하고, 안된다고 하는 것은 하지 않고, 밥도 너무 잘먹고, 놀기도 잘 놀고, 타인과 열린 교류도 잘 하고, 보육원에서도 사랑받고 잘 자라고 있는 하나가 너무나 대견하고 사랑스럽다.
생일잔치가 하고 싶고 얼른 세살이 되고 싶어 자기 생일만 손꼽고 자기 곰인형에게 선물 주고 받는 놀이를 하는 하나가 세돌이 되는 날이 나도 기대된다. 그땐 또 얼마나 커 있을지. 세돌 반만 되면 이제 거의 대화의 외양 면에서는 그냥 아이와 비슷해진다고 했던 논문지도교수의 말이 생각난다. 그 시기가 그리 오래지 않아 올 거라 했는데, 이제 일년도 채 남지 않았구나. 하나야. 너무 빨리 크지 말아라. 엄마 품 떠날 날이 하루하루 다가온다는 걸 체감할 거다라는 말이 와닿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