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기업불만 상담기

회사에서 책상을 옮겼다. 선임컨설턴트 한명이 출산휴가로 자리를 일년동안 비우게 되었는데 그 자리로 옮겼다. 내 사업과 주로 관련된 선임컨설턴트와 센터장 사이의 자리로 옮겼는데, 그 전보다 이 두 사람에게 물어볼 것이 있을 때 틈을 노려서 짧은 토의를 하기 좋아졌다.

우리 센터에 있는 이코노미스트 포지션의 사람들은 대부분 경상적인 운영업무와 2~3년에 걸친 장기 분석업무를 나눠 맡는다. 새로 입사한 경우, 나처럼 분석업무부터 시작해 경상 운영업무를 맡는 경우도 있고, 나와 같이 입사한 사람들처럼 경상적인 업무부터 시작해 분석업무를 맡는 경우도 있다.

지난주 금요일에 경상적인 운영업무 하나를 맡았는데, 작지만 업체 및 국세청과의 전화/이메일 상담이 주를 이루게 된다. 국세청이 상하수도 기업에 법인세를 메기는 과정에서 과표산정방식을 두고 국세청과 상하수도 기업이 이견을 보여 법원에 소가 제기되었는데 작년 말 국세청이 최고심까지 올라가 패소를 했단다. 2009년 과표를 재산정하는데 우리가 업체의 요금산정 상한설정에 사용하는 자산과 이에 따른 규제목적의 감가상각을 가져다 쓴다는데, 그와 관련되서 약간의 조정업무가 수반되어야 한다.

어떤 식으로 조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상하수도 기업 및 국세청에 공지가 되었고, 자발적으로 상하수도 기업들이 조정작업을 하기로 했다. 국세청은 신뢰성 문제로 우리가 직접 조정내용을 확인해주길 원했지만, 우리 인력상 불가능한 일이라 국세청에서 몇개 업체를 무작위로 선정해주면 해당 업체의 조정 내용이 합리적인 범위내에서 이뤄졌는지 내가 확인해 답해주면 된다. 혹여나 업체들중에 질의가 있는 경우에도 내가 답을 해줘야 하는데, 이 일을 맡게 된 금요일에 바로 전화문의가 하나 왔다. 아니 문의가 아니라 거세게 불만을 표출하는 전화였다.

2009년 규제목적의 감가상각자료와 대차대조표를 인터넷에 이렇게 공개해도 되냐는 것이 불만의 요지였다. 국세청과의 세금 소송은 민감한 내용인데 잘 모르는 언론기자가 이 내용을 파보다가 자기네 회계목적상의 대차대조표와 규제목적의 대차대조표의 차이를 갖고 스캔들이다 뭐다 떠들면 책임 질거냐, 업체들 정보 다 내리라는게 주 요지였다. 규제목적의 대차대조표는 회계목적의 대차대조표와 세무목적의 대차대조표와 다르다고 내가 이해한 바대로 설명을 해줬다. 그랬더니 이 업무를 자기가 10년이나 담당했는데 그걸 모를 거 같냐며, 언론에서는 이 어려운 컨셉을 잘 이해 못하고 잘 못 팔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런 불만 상황에 대해서는 예상하지 못했던 거라 우선 걱정하는 부분은 이해하고 내가 신입이라 이걸 인터넷에 공지하면 안된다는 입장에 대해서는 가타부타 입장을 취하기 어렵다 답을 했다. 상사와 상의해서 우리 입장을 확인한 후 답변을 주겠다고 했더니, 자기가 너무 무리하게 소리를 높여가며 논리 다 버려가며 항의를 했다는 걸 느꼈던 걸까? 자기가 흥분했던 것 같다면서 소리 높여 항의한 것 미안하다고 갑자기 분위기를 전환했다며 주말 잘 보내고 나중에 답을 다시 달라 하고 전화를 끊었다.

상사에게 상황을 이야기하니 이미 해당 내용은 2009년에 홈페이지에 업체별로 공개가 다 되었던 내용이고, GDPR이며 문제가 될 만한 것은 다 법적으로 내부 검토를 받고 국세청과도 조율을 다 해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했다. 또한 내가 이해하고 설명한 바가 맞고, 잘 대응했다고 들었다. 상하수도 업체들이 원래 목소리 높여 항의하는 일이 잦으니 그냥 흘려들으라면서, 마지막에 사과를 하더라는 말에 오히려 놀랬다. 또한 이번 건에 대해서는 우리 입장은 바꿀 게 전혀 없고, 공무원으로서 규제대상 기업의 이런 불만을 들어주고 다독여주는 것도 우리가 자주 접하게 될 일상이라고 덧붙였다.

사실 은행이나 KOTRA에서 일하면서 흥분하고 그냥 막무가내로 원하는 바를 관철시키려는 사람들을 한두번 만났던 게 아닌지라 이번 업체는 그에 비하면 애교에 불과했지만, 딱히 유쾌한 경험은 아니었다. 마지막에 그 사람이 사과하고나서 기분좋게 인사를 나누고 전화를 끊긴 했지만 말이다.

2월도 거의 절반이 다 흘러가고 있다. 아직도 배울 게 많지만 시간이 자꾸 가니 신입티 내기도 힘들어져가고 있다. 그래도 일은 재미있고 사람들도 좋아서 매일 출근하는 게 기운이 난다. 안그래도 해도 서서히 길어져서 신체 에너지 레벨이 은근히 오르고 있는 거 같은데 말이다. 직원 중 한명이 다른 곳으로 이직하게 되어서 환송 겸 fredagsbar도 하기로 했는데, 그에 이어 저녁식사도 같이 하면 어떻겠냐는 제안이 있어서 그렇기로 했다. 이직하는 직원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그리스식당인데 (아버지가 그리스인, 어머니가 덴마크인인 직원이다.) 구글 평도 좋아 기대가 된다. 진정한 의미의 덴마크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 같아서도 좋고.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잘 흘러가면 좋겠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