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부모님이 이틀밤을 주무시고 가시게 되었다. 원래는 하루였는데 이틀이 되었다. 사실 하루는 너무 짧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바람이 너무 많이 들어 페리 타시는 게 힘드실 것 같다하여 하루 연장이 되었다. 하나가 시부모님 오시면 좋아하고, 우리도 우리끼리만 있는 일상에 사람이 늘면 대화도 늘고 간혹 도움도 받고 좋다. 물론 손님이 늘면 일이 늘어나지만 덜어지는 일도 생각하면 그냥 더 힘들 것도 덜 힘들 것도 없다. 그냥 사람이 늘어나서 일상이 풍성해지는 것 뿐.
어제는 다진 로즈마리와 올리브오일로 마리네이드한 아구를 팬에 구워서 새우와 팬에 살짝 볶은 시금치와 함께 냈는데 너무 맛있었고 반응도 참 좋았다. (레시피 링크) 오늘은 닭고기와 감자, 고구마를 오븐에 함께 구워내는 요리를 했는데 이 또한 좋아하셨다. 손님이 오시면 좋은 점은 그 참에 우리도 평소에 자주 안해먹을 요리를 해먹는다는 점이다. 특히 아구를 집에서 조리해본 적이 없어서 아구 필레를 보고도 한번도 사보지 않았는데 계속 벼르고 벼르던 것을 오늘 산 건데 너무 잘 했다.
시부모님이 설겆이를 하시는 동안 나는 하나를 씻기고 옷을 갈아입힌 다음, 하나 침대보를 새로 갈았다. 아침에 빤다고 빼두고 새로 껴두는 것을 깜빡했다. 그리고 옌스가 하나를 재우기 위해 방에 들어가 있는 동안 나는 블로그를 열었다. 시부모님이 부엌에서 설겆이를 하고 계시지만 이제 나도 적당히 시부모님께도 하실 일을 드릴 내공이 생겼다. 한국식 마음가짐으로는 그런 게 너무 불편했는데, 막상 내가 혼자 일을 도맡아 다 하면 시부모님도 마음이 불편하시니까 일을 드린다. 가족은 약간은 손님이지만 사실 완전히 손님은 아니지 않는가.
시부모님은 원래 토요일에 오셔서 하루 주무시고 가시기로 한 거였는데, 시누이의 시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장례식이 금요일에 있던 탓에 거기 들렀다가 하루 먼저 오시기로 하셨다. 장례식 이야기를 해주시는데, 시누이 남편이 교회 장례식이 끝나고 간단히 다과를 나누는 자리에서 간단히 한마디 하다가 눈물을 흘렸다면서 이야기를 하시더라. 시누이 남편은 평소에 그런 개인적인 감정은 잘 드러내지 않는 편이라 일상생활에서도 프로페셔널한 모습을 유지하는데, 시부모님도 그의 그런 모습은 처음 봤다하셨다. 시누이 시아버님은 피부암이 피부 겉으로도 보일 정도로 심해져서 마지막 1년은 너무 고생하셨던 터였다. 연말에 만났을 때 시누이 남편에게 당신은 어떻냐고 물었을 때도 괜찮다고, 아버지가 너무 고생하셔서 이제는 편안히 쉬셨으면 좋겠다며 담담히 터놓던 그였는데. 또 그렇게 한번 눈물을 한껏 흘리고 나서는 사람들과 기분 좋게 이야기도 나누고 간혹 농담도 주고 받았다고 한다. 여기서는 참 사람들이 우는 모습을 보기가 힘들다. 장례식에서조차. 상주가 안우는데 손님이 우는 건 오버같아서일까.
그에 비하면 결혼식 때 신부 스피치를 하며 엄마 아빠에게 감사를 표하며 울컥해서 눈물을 흘릴 뻔 한 나는 여기 기준으로는 감정을 잘 못 숨기는 사람일 지도 모른다. 아니면 여기는 눈물을 흘리는 학습된 기준점이 더 높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눈물을 흘리기 위한 감정의 역치가 높다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시부모님이 오시고 나니 이런 저런 생각이 많이 든다. 우리 엄마와 아빠도 가까이에 계셨으면 이렇게 자주 왕래를 할 수 있을텐데 싶어서 아쉽고. 인생이란 게 모든 것을 가질 수 없다는 게 이런 건가 보다. 사랑하는 사람이 이국땅 출신이다보니 부모님과의 거리가 멀어질 수 밖에 없구나. 어차피 코트라 다녔으면 해외생활이 길었을테니 그것과 엄청 다르지는 않을 거다 하면서 위로하는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