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센터장님과 첫 월간 현황 미팅을 했다. 현재까지 직장동료들에 대한 느낌이나 내 경험은 어떤지, 일하는 건 어떤지,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등에 대한 것을 이야기 나눴다. 공개 회의에서는 내가 못알아듣는 부분을 그때그때 물어보기 어려워서 회의가 끝난 후에 따로 이해가 안된 부분을 일대일로 팔로우업 해야하는 게 조금은 어려운 부분이 있고, 아직은 여러 분야별 오리엔테이션을 받고 있어서 큰 그림을 그리기까지는 조각퍼즐을 맞추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씀드렸다. 그리고 지금은 주어진 자료들을 닥치는 대로 읽고 있고, 아무래도 이 또한 남들보다느릴 수밖에 없다고. 그랬더니 그 큰 그림은 오래 있어도 다 알기에는 한계가 있는 게 제도가 살아움직여서 내가 지금 시점에 다 이해해도 또 시간이 지나면 내가 이해한 거에서 또 바뀌어있다고 하시며 걱정 말라고 해주셨다. 또 외부로 발간되는 자료나 장관 보고 자료를 아직은 혼자 쓸 일이 없으니 덴마크어에 대해서도 걱정하지 말고 내 프로젝트의 경제적 분석에만 집중하라고 해주셨다. 또한 아카데믹 트랙으로 뽑는 사람들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업무에 집중하라고 비서가 있는 거니까 서무업무는 다 비서에게 일을 맡기라고 하시더라. 다들 비서에게 필요한 업무를 주는 것에 약한데, 그 또한 우리가 해야할 일이라시면서.
동료들은 다들 적극적으로 업무를 도와준다. 문의사항이 있으면 상세히 설명해준다. 바쁜 걸 아니까 나도 물어보는 게 조금 조심스럽지만서도…
매주 월요일마다 현황판 앞에 모여서 단기 데드라인이 있는 프로젝트와 롱텀 프로젝트로 나눠서 진행 상황에 대해 공유한다. 각자 자기의 업무가 나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수자원 기업의 운영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예산의 틀을 정하는 게 근본적인 우리 핵심업무로서 그에 각기 다른 기여를 하며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뭘 하고 있는지를 알아두어야 그게 자기 업무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면서 진행할 수 있고 또 중간중간 내 업무의 인풋을 위해 팔로우업이 필요한 게 무엇인지 자기가 도와줘야 하는 일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나는 이번 주 처음 이게 뭐하는 미팅인지 소개가 없이 그냥 듣다보니 어벙벙하게 앉아서 듣기만 했는데, 해당 미팅을 총괄하는 선임컨설턴트 (직급체계가 간단하다. 나와 같은 섹션헤드 (음… 밑에 아무도 없는데 섹션헤드다. Fuldmægtig라고 직급이 되어있는데 나같이 석사를 졸업하고 아카데믹트랙으로 들어오는 모든 일반 직원은 이 직급으로 시작한다. 오늘 받은 명함을 뒤집이보니 Head of section이라고 써있다.) , 선임컨설턴트, 센터장, 부청장, 청장으로 되어있다.) 가 오늘 오리엔테이션을 해주었다.
그러면서 오늘 오전 회의에 이야기나왔던 새로운 이코노미스트 포지션엔 몇명이 지원했냐고 물었더니 지난번 나 지원했을 때보다 한자리 더 늘려서 두자리에 채용하는데 그때랑 달리 지원자 규모가 확 줄어서 아홉 명이 지원했다고 한다. (아마 연말에 이코노미스트 채용이 많았어서 그런게 아닐까 하는 근거없는 추측…) 두 명 채용을 계획하는데 아홉 명이 지원했다고 하니 많지는 않다. 물론 좋은 지원자들이 있어서 괜찮을 것 같단다. 나 지원했을 때는 몇명이 지원했냐 물으니 40여명이 지원했다고 한다. 그래서 나와 다른 두 명을 채용했단다. 어라? 같이 지원했는데 어째서 그 둘은 나보다 한달이나 먼저 일을 시작했냐 물었더니, 업무가 다른데다가 내 업무는 올해 시작되는 업무라 그랬다고 한다. 그러면서 나는 담당 수자원기업이 따로 없을 거 같다고, 내가 이러저러한 좋은 경력이 많아서 중요 연구 프로젝트 두 개를 맡을 예정이라 그런 걸로 알고 있다고 하더라. 두둥… 은행에서 전행예산 담당했던 이력이 크게 작용하고 기타 코트라 이력도 반영이 되었던 걸로 아는데, 아무튼 덕분에 다소 루틴한 부분이 있는 업무에서 배제된 건 감사한 일이지만 덜컥 부담도 되었다.
이제 서서히 이메일이 오고가고 하면서 조금씩 일이 돌아가고 있는 거 같다. 경영진에게 프로젝트를 킥오프를 보고하는 미팅도 준비하기 시작하고 내외부 미팅도 조금씩 돌아가기 시작한다. 하루하루가 내가 이걸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과 이렇게 부딪히며 해나가다보면 다 할 수 있는 거야 하는 생각 사이에서 넘어가고 있다. 이렇게 고민하면서 하루하루 생존하다보면 어느새 2020년이 와서 프로젝트 마감을 향해 달리고 있는 날이 갑자기 눈앞에 와 있겠지?
와 내가 너의 입장이라고 생각하며 상상을 해보니 너무 겁이난다. 씩씩하게 싱글싱글 웃으면서 해 나가고 있으니 너무 멋지고 대단하고 자랑스럽다!
겁은 나도 항상 나는 걸. 다잡아 가면서 하는 거 뿐이지. 다 닥치면 하는 거 아닌가 싶다. 고마워 윤하야. 동네에서 너랑 잠깐이나마 만날 수 있는 곳에 직장이 잡힌 게 너무 좋은 거 있지? 네 존재만으로 든든하다~ 고마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