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3 시험 후기 및 덴마크어 공부 팁

오랫동안 미뤄왔던 덴마크어 시험 PD3를 마쳤다. 한달 전 읽기와 쓰기 시험을 보고 오늘 구술 시험을 봤다. 모듈 6를 듣기 위해 각 부문에서 최소 10점을 받아야 했는데 (학원마다 기준이 다르더라.) 기쁘게도 세 부문 모두 12점을 받을 수 있었다. 하필이면 생일날 시험이 겹쳤는데 잘 마무리한 덕에 선물받은 셈 치기로 했다.

오랜 시간 수업을 들었다 말았다 하긴 했지만, 다 합쳐보면, 주 2회 나가는 걸 1년 반 이상 한 것 같다. 모듈 5에서는 따로 공부할 시간은 없었지만 주어진 숙제는 꾸역꾸역 해갖는데, 쓰기는 그것만으로 충분한 것 같다. 읽기와 말하기는 그걸로는 부족하다. 내 개인적인 견해기도 하지만 선생님도 모듈 5에 올라왔으면 매일 신문도 읽고 뉴스도 봐야한다고 했다. 또 가급적이면 일상생활에 덴마크어를 쓰고 다큐멘터리나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드라마 등 텔레비전 시청도 다양하게 하라고 추천하더라.

요즘은 좀 덜 읽고 있지만, 남편이 신문을 매일매일 읽는 터라 나도 매일 신문을 꼬박꼬박 읽었다. 한국 신문은 이제 거의 끊었다. 오랫동안 한국 기사를 읽어왔는데, 이젠 그냥 그 시간을 덴마크어 텍스트를 읽는데 할애하고 있다. 읽기는 그게 다이긴 하다.

티비시리즈도 간간히 빈지워칭을 하는데, 정치드라마, 범죄드라마, 부동산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사 고발 르포, 각종 영화 등 다양하게 방송을 시청한다. 특정 프로그램을 꾸준히 보면 그 분야 어휘가 쌓인다. (시사고발 르포를 보다가 거기서 본 사기를 나한테 치려고 하는 경험도 했다. 얼마나 황당하던지. 하이마트 같은 전자제품 리테일 체인에서 전기 공급자 약정을 특정업체 걸로 갈아타라면서 하는 마케팅과 관련된 거였는데, 토시하나 안틀리고 똑같이 말하는데 깜짝 놀랐다.) 그러다 보면 그걸 사용할 상황도 자주 직면하게 되고 또 쓰다보면 머리에 콕 박힌다. 그런데서 습득한 어휘를 쓰기 숙제에 다양하게 써보다 보면 잘못된 용법은 고치게 되고 잘 된 건 잘 기억할 수 있다.  물론 말하기도 마찬가지이고.

듣기를 늘리는 데는 라디오시청이 정말 대단한 것 같다. 시각적 자극이나 자막 없이 주구장창 말만하는데, 다양한 사람들, 방언, 주제 덕분에 리스닝과 어휘가 많이 는다. 물론 티비를 많이 보고 옌스나 시댁 가족 및 친척과 덴마크어로만 (아니 한국어도 간혹…) 이야기 하니 그 또한 듣기 연습이다.

말하기는 죽이되든 밥이되든 덴마크어로 얘기하는 것을 강하게 추천한다. 어눌한 말로 이야기하다보면 나를 바보로 볼까 하는 마음이 들기도 하는데, 영 신경쓰일 땐, “덴마크어로 이야기하면 어휘가 딸려서 바보같아 보일까 싶어 영어로 말하고 싶은 마음도 들지만 자꾸 쓰지 않으면 안되니 어쩔 수 없다.”는 식의 언급을 하곤 했다. 또 내 어설픈 말에 영어로 바꾸는 상대에겐 “내가 도저히 못알아들으면 그때 영어로 하겠으니 덴마크어로 말해주면 안되겠느냐?”라고 부탁을 했다. 간혹은 귀찮은 표정을 짓는 사람도 있었지만, 거의 대부분은 기꺼이 덴마크어로 바꿔주었다. 모듈 3부터는 의사를 만나든 어디에 전화를 하든 거의 다 덴마크어로 하고 중간에 모르는 문장 몇개만 영어로 했다. 어디 콜센터에 연락하거나 관공서 일을 처리할 때도 옌스의 도움은 받은 적이 없는데, 물론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지만 (자가발전인 셈) 그 덕에 는 건 분명하다. 하나를 임신했을 때쯤 부터는 덴마크사람을 대상으론 영어를 쓴 적이 없는 것 같다. 그 때문인지, 지금도 영어가 월등히 낫지만, 덴마크어로 똑같이 말할 수 있는 내용이라면 덴마크어 문형이 내 입에 더 붙어있다. 논문 쓰는 것이나 한국인과 대화하는 제한적 상황 외에는 덴마크어로 듣고 읽고 말하는 게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쓰기 수업에선 마지막 한달을 제외하고는, 최대한 길게 써서 많은 문장을 써보고 여기저기서 듣고 읽은 단어를 실험적으로 써보는 데 주력했다. 써보고 틀려보지 않고서는 새 단어의 정확한 용법을 머리에 새겨넣기 힘들다는 게 내 지론이다. 길고 복잡하게 쓴 내용 첨삭하느라 고생스러웠을텐데 불평없이 첨삭해주신 선생님께 감사한 마음이다. 마지막 한달에는 실수했던 것들 반복하지 않는 것, 문법 전체 리뷰, 정확한 단어 사용에 집중했다. 그전에 못했던 읽고나서 리뷰를 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되었다. 그렇게 하니 모의 시험으로도 점수가 10점, 12점으로 차근히 오르더라.

쓰기를 하면서 문법을 다졌더니 말하기에도 실수가 줄어들었다. 옌스가 올해 5개월동안 모듈 5를 들으며 자잘한 실수들이 엄청 줄었다고 하더라. 물론 간간히 내가 반복적으로 하는 실수에 대해서는 모듈 5부터 옌스가 적극적으로 지적해 준 것도 도움이 되었다.

물론 내 덴마크어는 이제 중상급을 넘은 정도일 뿐이다. 영어와 같은 레벨이 되기위해선 아직 공부를 많이 해야하고 세월도 필요하다. 그건 시간이 해결해줄 부분도 있고 모듈 6를 들으면서 늘릴 부분도 있다.

아래에는 올해 시험을 본 내용 및 PD3 시험 유형을 공유하려고 한다. 쓰기는 문제를 갖고 나와도 된다해서 올 기출문제를 사진으로 찍어서 공유하고, 기타 기출문제라던가 시험정보 링크는 가장 하단에 공유한다.


읽기

  • 주어진 정보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스캔해 정확한 답을 최대한 간결하게 적기
  • 공통의 주제를 가진 두 개의 긴 텍스트를 읽고 3지 선다형 문제 7개에 답하기
  • 한페이지의 짧은 텍스트를 읽고 8개의 빈칸에 채워넣을 알맞은 단어를 4개 선다에서 고르기

쓰기

  • 주어진 이메일에 답잡을 쓰기. 주로 이메일에 감사인사를 하고 이메일 상 질문에 모두 답을 한 후 상대방과 만날 약속 (집으로 초대하거나 밖에서 만날 약속) 잡는 내용을 쓰도록 되어있음.
  • 두가지 주제 옵션 중 하나를 골라서 최소 200 단어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쓰기. 하나는 통계 그래프가 주어지고 다른 하나는 논쟁 거리가 될만한 주제에 서로 상반되는 논거들이 6개 정도 주어진다.
    • 통계그래프의 경우, 이 그래프를 간단히 묘사하고 그 그래프가 묘사하는 상황의 원인을 문제가 제시하는 맥락속에서 분석해야 한다. 논거의 사실 여부는 판단하지 않고 어떻게 논리를 전개하는 지만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그래프와 관련된 가상의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한 대안을 선택했을 때의 장점과 단점을 논해야 한다.
    • 논쟁거리가 주어지는 경우, 해당 주제와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간단히 묘사하고 리스트에 주어진 논점에서 한두개 정도에 대해 논평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상황을 주고 그 상황에 대해 논거를 갖고 평가를 해야 한다.
  • 이메일과 주제에 대해 논쟁하는 작문 두가지를 모두 2시간 반 안에서 알아서 시간을 분배해 쓰면 된다. 이메일과 논쟁 작문은 평가 비중이 다른데, 논쟁이 더 중요하다. 선생님이 이메일에 30분 정도만 투자하되 40분을 넘기지 말라고 권하더라.
  • 대부분은 논쟁거리가 주어지는 텍스트를 선택한다고 한다. 통계그래프의 경우 이용 가능한 예시적 논거가 없어서 그런 것 같다. 또 그래프 묘사는 짧게 하라고 되어있는데도 불구하고 통계그래프 묘사에서 문법적 실수를 하는 게 불편해하는 것일 수도 있다. 우리 반에서도 나를 포함해 세명이 통계그래프를 선택했는데, 선생님이 우리 반이 특별한 케이스라며 아무도 없는 반도 많단다.
  • 개인적으로는 어느 쪽이든 내가 익숙하고 쓸 게 많은 주제를 선택하는 게 좋은 것 같다. 난 그래프를 선택했는데, 부모의 초산연령 증가 현상에 대한 주제가 나에게 개인적으로 와닿는 주제라 쓰기 편해서 그랬다. 초산연령 증가 현상의 원인, 커리어에 대한 야심을 위해 초산을 30대 후반으로 미루는 현상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평가하는 문제였다.
  • 일반적으로 학원에서는 너무 길게는 쓰지 말고 문법을 틀리지 않도록 쓰라는 것, 고득점을 위해서는 복문이 복잡하게 섥힌 문장들과 고급 어휘를 잘 섞어 쓰라는 것 등을 권고한다. 아무리 문법을 틀리지 않아도 쉬운 문장만 쓰거나 앞뒤 연결이 매끄럽지 않으면 고득점은 안된다고 하면서. 개인적으로는 3가지 논거 정도를 들면서 쓰고 싶은 말을 다 쓰다보면 길어지는 편이라 통상 500-600 단어정도를 쓰곤 한다. 많은 문장을 쓰다보면 다양한 어휘를 쓰게 되고 쉽고 어려운 문장을 고루 섞어 쓸 수 있으며 문장 앞뒤 coherence를 잘 맞출 수 있는 걸 보여줄 수 있다.

말하기

  • 시험은 대충 10일정도의 기간에 걸쳐 치뤄지는데, 자기가 시험을 칠 날짜와 시간은 시험을 치기 최소 1주일부터 약 20일 정도 전에 주제와 함께 알려준다. 6월 4일 쓰기와 읽기 시험의 성적과 함께 말하기 주제와 시험 일정을 통보받았다. 나의 경우 6월 15일인 오늘 오후에 봤다. 보아하니 9시부터 3시 사이에 타임슬롯을 배정받는데, 15분씩 주어진다.
  • 시험은 사실 10분이면 끝난다. 미리 주어진 주제에 대해 2분정도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3분 질의응답을 한다. 세개의 주제 중에 하나를 뽑고 그 주제와 함께 주어지는 두가지 그림을 주제에 연결시켜 1분동안 묘사한다. 그리고 4분동안 질의응답이 이뤄진다.
  • 나는 덴마크의 성인병(여기서는 라이프스타일 질병(livsstilssygdomme)이라고 한다.)과 그 원인과 예방법을 주제로 받았다.
  • 주제 발표에 대한 질문으로는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누구의 책임이냐는 것을 물어봐서 그건 개인의 책임이지만 덴마크의 공공의료 시스템을 고려할 때 개개인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공공보건 지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내용으로 답을 했다. 또 다른 질문은 암도 라이프스타일질병의 하나로 뽑았는데, 왜 그렇냐는 것이었다. 이에 암은 유전적인 이유도 크지만, 나라에 따라 흔히 발견되는 암의 유형이 다르게 분포하며 이는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기인한다고 답했다. 한국의 위암과 나트륨 섭취, 매운 음식 소비에 대한 예시를 들었다. 아주 짠 음식은 싫어하나 국과 짭짜름한 반찬을 통해 나트륩을 많이 섭취하고 매운 음식을 너무 많이 먹는다는 것 등을 이야기했다.
  • 주제 뽑기에서는 미디어를 뽑았는데, 전통적인 미디어를 소비하는 사람과 소셜미디어를 소비하는 사람으로 나뉘어 있는 그림과 집에서 부부가 식사를 하며 태블릿으로 기사를 읽는 그림이 있었다. 그에 대해 묘사를 한 후 받은 질문은 이런 세태의 장점과 단점을 논하라는 것, 그리고 이런 새로운 미디어 활용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라는 것이었다. 소셜미디어가 토론의 장이 되어 민주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냐는 질문이 연계되었다.
  • 장점과 단점에서 논한 내용을 뒤 질문에서 연결해서 답했는데 난이도가 좀 있었다. 말하기 시험은 묘사에서 출발해 추상적 내용으로 답변의 난이도가 올라가게 되어있기 때문에 이 추상적 질문에 대한 답이 좋아야만 12점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 나는 질문에 대해 대충 다음과 같은 답을 했다.
    • 소셜미디어 플랫폼으로 언론을 소비하는 현대의 사람들은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로 언론을 평가하고 상황을 인지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알고리즘에 의해 매우 편향된 정보를 받고 있으며 객관적인 상황 인식이라는 게 매우 어렵다. 사람들이 스낵과 같이 편집된 형태로 뉴스를 소비하고자 하는 행태가 페이크뉴스의 횡행을 도와주고 있어 더욱 객관적 상황 인지가 어렵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피할 수 없다. 미국의 대선 전 선거결과 예측과 대선 결과에 대한 내용을 예시로 들었다.
    • 소셜미디어가 공론의 장이 될 수는 있지만 모두 흩어져있기 때문에 이를 하나로 묶어주는 형태가 없다면 민주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는 제한적이다. 민주주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선거에 사람들이 열심히 참여하는 등 실질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다.
  • 총평은 논거를 댐에 있어서 풍부한 예시를 들고 논리적 구성이 좋았으며, 문법적으로도 복잡한 복문을 구성는 것부터 소소한 문법적 요소까지 실수 없이 잘 이야기했다고 했다. 또한 최근의 뉴스 등 시의성 있는 정보를 끌어다 쓰는 거나 풍부한 어휘도 좋았다 했다. 발음은 흠잡을 데 없이 너무 좋았고, 사소한 표현부터 매우 덴마크스러운 표현을 구사해 평소 덴마크 사용이 일상화 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고 했다. Du er simpelthen så dansk!라며… 대화를 내내 내가 주도 했음도 좋은 요소였다. 12점을 주지 않을 수 없는 시험이었다고 하며 덴마크 사회에 기여하러 와줘서 고맙다는 농담으로 마무리를 했다. 나를 시험장으로 불러들일 때 그 전 응시자와 달리 이름 발음에 망설이길래, 혹시 발음 못해서 이름을 얼버무리는 거냐고 발음 해보라고 놀리면서 시작을 했는데 시작부터 끝까지 분위기가 좋았다. 역시나 하인(여기 사람들이 주로 내 이름(HAEIN)을 하인(HA-EIN)이라고 오해하더라.) 이라고 발음해서 그 의미를 설명해주면서 해인(HÆIN)으로 발음해 달라고 정정해줬다.

PD3에 대한 안내문과 과거 기출문제, 구술시험 답안의 점수별 예시 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찾을 수 있다. 덴마크어로 되어 있으나, PD3를 볼 사람이라면 이해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시험 안내문

http://uim.dk/arbejdsomrader/danskundervisning-og-prover-for-udlaendinge/danskuddannelse/danskprover-1/vejledninger-om-danskprover

과거 시험 예시

http://uim.dk/arbejdsomrader/danskundervisning-og-prover-for-udlaendinge/danskuddannelse/danskprover-1/eksempler-pa-tidligere-afholdte-prover

구술 시험 답안 예시 파일

http://uim.dk/arbejdsomrader/danskundervisning-og-prover-for-udlaendinge/danskuddannelse/danskprover-1/lydeksempler-pa-mundtlige-karakterer

2018년 5월 쓰기 기출문제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