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와 함꼐 집에만 있으니까 불과 한달전 대학원 생활도 생경하게만 느껴진다. 마치 시간이 여기에서 멈춰있었던 것처럼. 별로 하는 건 없는데 시간이 빨리 흐르는 것 같고 애의 미세한 성장이 매일 느껴지면서 애가 어느새 많이 큰 것 같다가도 밖에 나가서 보면 아직도 정말 핏덩이 같이 작은 존재라는 걸 느끼게 되며 아직 시간이 많이 흐르지 않은 것을 알게도 된다. 주중이면 신문 배달부의 스쿠터 소리와 동네 대형 수퍼에 대형 트럭이 물건을 내리는 소리가 이른 새벽녘의 조용함을 깨고, 사람들은 분주히 출근한다. 그냥 이 시간의 흐름속에 나만 멈춰있는 기분이다. 살짝 불안하면서도 이렇게 아이와 온전히 보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게 감사하기도 하고 상반된 기분이 교차된다.
애는 정말 잘 먹어서 쑥쑥 큰다. 처음엔 하위 20%에 드는 작은 아기었는데 이제는 평균사이즈의 아기가 되었다. 사실 아이가 빨리 커야 한다거나 그런 스트레스는 없다. 그냥 애가 특별한 문제 없이 잘 먹고 잘 자고 하면 된다 싶으니까. 살아있는 생명체를 낳아서 먹이고 그 생명체가 큰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애 젖을 먹여야지 하는 생각만으로 가슴에서 젖이 방울방울 떨어진다는 것을 친구들로부터 듣기는 했지만 실제 경험하며 내 눈으로 직접 보니 진정 신기하다.
몸이 조금씩 회복되고 있는게 느껴진다. 첫 산책에서는 10분만에 밑이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골반저 근육 운동을 하면서 조금씩 좋아져서 이제는 오래 걸어도 괜찮아졌고, 자고 나면 온 몸이 꺼질 것 같았던 느낌도 시간이 지나면서 없어졌다. 우리 침대가 단단한 편이라고 느꼈었는데, 출산 후 2주간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몸소 느꼈다. 관절이 유연해진다는 게 좋은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강아지를 키운 경험이 아이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되더라. 대화가 되지 않는, 나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대를 똥오줌 가리기 전부터 키우는 경험이라는 건 공통되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더라. 우선 똥오줌 치우는 게 힘들지 않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이미 손에 똥오줌 묻혀가며 치우던 경험이 있으니 아이 기저귀 가는게 힘들지 않다. 옌스도 이제는 좀 더 익숙해졌지만, 처음엔 손에 묻을까 조심조심하며 애써 더럽지 않다고 최면을 거는 듯 숨을 다소 참아가며 기저귀를 가는 모습이 재미있었다.
집으로 돌아온 이튿날이었다. 아직 애가 우는 원인 파악도 느리던 때, 밤에 애가 자지는 않고 계속 먹겠다고 몇시간씩 젖을 빨고 울고 짜증내고, 나는 젖몸살에 몸은 힘들고 스트레스가 순간 너무 쌓였다. 말도 안통하는 애한테 뭐가 필요한 거냐고 보채다가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었다. 애를 내 속도에 맞추는 게 아니라 내가 애의 속도에 맞춰야 한다는 생각. 병원에서 간호사가 애가 우는 건 그게 유일한 의사 표시 방법이라서 그런거라는 게 기억나며, 정말 이 작은 생명이 유일한 의사표시를 하는 것을 내가 이해하지 못하며 보채선 안된다 싶었다. 또 내가 자야겠다는 생각을 하니 힘든 거라는 데 생각이 미쳤다. 못자는 게 당연하고 잠을 잘 수 있으면 좋은 거다라고 마음을 먹고 나면 조금 낫지 않을까 싶었고, 그러니 갑자기 마음이 확 가벼워졌다. 엄마가 이해 못해줘서 미안하고, 초보 엄마 잘 부탁한다는 혼잣말을 아이에게 하고 나니 너털웃음이 나왔다.
이 경험 이후 여유가 생겨서 그런지 잠이 부족한 건 여전하지만 낮잠으로 부족한 건 틈틈히 벌충하며 잘 지내고 있다. 젖 몸살도 정말 출산 후 2주안에 사라져서 적당한 패턴으로 수유할 수 있게 되었고, 모유수유를 하니 젖병 관리하고 분유타고 할 일이 없으니 그 또한 편하고 말이다. 수유도 금방 익숙해져서 수유 시간은 책을 읽거나 블로그에 글을 쓰거나 인터넷을 한다든지 여러가지 딴짓을 할 수 있다. 외출도 몇번 하고나니 다소 챌린징 하긴 하지만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붙었다. 해도 조금씩 길어지고 있고, 날씨도 3월부터 서서히 좋아질테니 하나와 야외활동도 늘릴 수 있을 것이고 기대가 된다.
공부를 안하니 머리가 쉬어서 좋은 점과 이래도 되나 하는 두려움이 교차하지만 조금은 아무 생각없이 쉰다는 생각으로 육아에만 집중하련다. 대신 덴마크 라디오 방송국 중 하나가 진행하는 덴마크 포드캐스트를 들으며 덴마크어 공부나 설렁설렁 하면서. (요즘 리스닝이 확실히 늘어서 듣고 이해하는 것과 내가 말하는 것 사이에 격차가 부쩍 늘었다. 어느 날엔가 내 말하는 것이 리스닝만큼 늘어주기만을 바랄 뿐이다.)
옌스는 동네 학교에 저글링 연습하러 나갔는데 어두워지도록 집중하고 있는지 아직 돌아오지를 않는다. 저녁도 해 먹어야 하는데. 곧 들어올테니 애 깨워서 수유나 해야겠다. 직전 수유를 마치고 아직도 배 위에서 자고 있는 하나 덕에 약간 갈비뼈가 힘들어지려 한다. 이 사랑스러운 녀석 같으니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