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렇게 봄이 오는구나…

봄이 오고 있다. 내가 이런 이야기하면 옌스는 겨울은 공식적으로는 2월까지이고, 개인적으로는 3월까지라 생각한다고 반박한다. 그런 숫자를 떠나서 내가 봄이 오고 있다고 하는 것은 모든 생명이 꽁꽁 얼어붙은 겨울을 나고 꽃을 틔우는 식물들이 눈에 띄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12월 21일 동지가 지나면 얼마 지나지 않아 하루 2~3분씩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이 때는 오전, 오후 각 1~2분씩 길어지는 거라 별로 티가 나지 않지만, 동지라는 반환점을 확실히 지나고 나면 하루 5분씩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그러면 어느날 갑자기 해지는 시간이 뒤로 밀렸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날이 오게되는데, 요즘이 바로 그런 때이다.

4시 반이면 새카맣게 변해있던 하늘이, 오늘은 같은 시간임에도 푸른 조각을 품고 있었다. 무엇보다 이른 봄을 알리는 노란 꽃이 몸을 둥글게 말고 있었다. 아직 꽃잎을 활짝 벌리고 있지는 않았지만, 봄 내내 여기저기 피며 함께할 긴 시간을 생각하면 벌써 얼굴을 활짝 내어 보여주기에는 아직 이르다. 관목들도 서서히 가지에 물을 채우기 시작했고 그 끝은 초록빛이 감돈다. 어떤 잎몽우리는 이미 껍질을 터뜨리고 나왔고, 아직은 아니지만 곧 그리할 채비를 하는 몽우리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한낮엔 해가 쨍하니 코트 앞섶을 여미지 않아도 춥지 않았다. 영상 4~5도의 날씨에 해가 쨍한 겨울이라니, 뭔가 앞뒤가 맞지 않다. 100년만에 가장 추운 겨울이 될 거라고 하더니만 몇번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진 거 외엔 크게 추운 날씨도 없었고, 비나 눈도 별로 오지 않았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기후가 정말 변하고 있다. 이젠 뭐가 정상적인 건지 잘 모르겠다. 온난한 겨울은 덴마크에도 좋지 않은게 해수면 상승과 태풍 등이 결합하면 폭풍해일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실제 이로 인해 얼마전 덴마크엔 작고 큰 해일 피해가 잇따랐다.

임신을 한 엄마의 두뇌는 아이에 초점을 맞추도록 회백질이 일시적으로 1~2년간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나도 그래서 그런가, 삶의 관심이 임신, 출산, 육아에 맞춰지고 있다. 날이 따뜻해지고 나니 예전에는 생각해본 적도 없는 아이에 생각이 또 미친다. 이제 벌써 봄이 시작되면 애를 유모차에 데리고 산책하기 좋겠네, 기기 시작할 때가 여름이라 잔디에서 놀게 하기 좋겠네, 등 소소한 생각 조각이 아이에게 가 있는 나를 발견하며 생소함을 느낀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