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로 임신 7개월차로 접어든다. 거의 2/3선에 다가서는구나.
이제 배가 가슴보다 앞으로 나와 헐렁한 옷을 입어도 살짝 눈에 띈다. 이 시기의 자궁은 축구공만한 크기라고 하니, 배가 눈에 띄는 게 이상할 게 전혀 없다.
태반이 복벽쪽으로 자리를 잡아 태동을 남들보다 약하게 느낄거라고 들었는데, 확실히 남보다 늦게 느끼기도 했고, 남들 이야기하듯 불편할 정도의 태동은 느끼지 않고 있다. 그래도 그 빈도나 강도는 확실히 처음과 달리 잦고 강해졌다.
간간히 자세에 따라 왼쪽 아랫허리나 치골뼈가 아프기도 하고 (살짝 비뚤어진 골반이 이유인 모양이다. 그나마 발레해서 척추측만과 골반의 전반측만이 일부 교정된 덕에 이정도라 생각하고 감사하고 있다.) 그로 인해 수면 자세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한번 편한 자세를 찾았나 싶으면 곧 또 그게 아니고, 돌아눕다 보면 앗!하고 싶은 찰나의 통증에 깰 때도 있다.
쉬는 시간 없이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있으면 배가 뭉쳐서 중간중간 꼭 한번씩 일어나 줘야 하는 것도 새로이 생긴 변화다.
또 배에 자주 가스가 차서 의도치 않게 갑작스레 방귀를 뀔 때가 있는데 (ㅠㅠ), ‘아, 이게 내가 원래 이렇게 예의없지 않은데, 하나 때문에 생긴 일이야. 아, 민망해.’ 라며 변명을 하니 옌스가 너무 웃기다며 웃는다. 방귀가 웃긴게 아니라 너무 민망해하며 설명을 하는게 웃기단다. 물론 옌스 앞에서 이런 일이 있었던게 처음은 아닌데, 그냥 아직도 이는 민망하다.
내일이면 담당 GP를 임신 초기 검사 이후로 처음 만나는데, 뭘 할 지 궁금하다. 피검사와 자궁 크기와 위치 보고 뭐 대충 그런거 할 거 같긴 한데. 처음부터 좀 부실하게 챙기긴 했지만, 영양제 열심히 안먹고 있는데, 그런 거 답할 때가 제일 부담이다. 먹는 건 열심히 골고루 먹으려 하고 있고, 채소, 과일 이런건 열심히 먹고 있는데.
지금쯤이면 하나는 30센치미터 정도의 크기에 600그램 정도의 무게를 갖고 있을 것이라 한다. 여태까지는 거의 교과서적인 사이즈로 성장하고 있었기에 대충 실제로도 그정도 크기와 무게가 아닐까 싶다.
친구가 선물로 준 루이보스티를 오늘 처음으로 마셨다. 집에 티백으로 몇 개 있을 땐 마셨지만 일부러 사서는 먹게 안되던 루이보스티. 양수를 맑게 또는 풍부하게 해준다고 들었는데, 양수가 충분하다는 검사 결과에 따라 별 신경 안쓰고 있었다. 그냥 물을 벌컥벌컥 들이키고 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냐며. 커피와 달리 차는 수퍼마켓가서 챙겨 사지는 않게 되는 품목인데, 선물로 받은 덕에 끝을 볼 때까지 열심히 챙겨마시려고 한다. 감사한 마음으로 마셔야지. 마침 조카가 나의 임신을 축하한다고 만들어준 잔이 생겼으니, 여기에 챙겨 먹어야겠다. 문구는 ‘Tillykke Haein’ (축하해요, 해인숙모: 조카들은 나를 Tante Haein (해인 숙모) 이라고 부른다.)
얼마전 ‘브리짓존스의 아기’ 영화를 보았는데, 배꼽을 잡고 웃었다. 간만에 정말 신나고 유쾌한 영화였다. 2편과 달리 억지스러운 장면도 그렇게 많지 않고 브리짓 존스의 다소 성장한 모습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또한 내가 출산을 3~4개월 앞두고 있어서 그런지 정말 남 일 같지 않은 장면을 볼 수 있어서 더 그랬던 지 모른다. 출산이 살짝 무서워지기도 했지만, 다시금 엄마라면 누구나 겪는 일인데 싶다는 생각에 두려움이 사그라들었다.
시간이 잘만 가는구나. 이제 아침 저녁으로 5~10도 정도의 기온 변화가 일어나고 하루종일 세찬 동풍이 부는 계절이 왔다. 이상하게 가을엔 동풍이 자주 분다. (옌스가 카약을 하는 이유로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대해 매일 듣고 보게 되어 이런 이상한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달 말이면 썸머 타임도 끝나고, 12월에 들어 겨울이 오고 나면 하나와 만날 날도 후딱 다가와있겠지. 그렇게 싫어하는 겨울도 올 해엔 참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