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에 돌아온 가을

가을이 돌아왔다. 흐린 하늘과 함께.

덴마크의 가을날씨 흐린 하늘, 비가 오지 않아도 항상 젖어있는 땅 (특히 42번째 주 이후), 잦은 비, 간혹 오는 폭풍 등으로 요약된다. 기온은 10~15도 사이를 오가는 것으로 여름대비 평균 5도~10도 가량 낮아진다. 한국에 비해 선명하지 않은 단풍. 딱히 매력적인 계절은 아니다. 그래도 여름내내 줄어들었던 바람이 다시금 세차게 불기 시작해 바람의 나라라는 것을 새삼 다시 느끼게 해줘 싫지만은 않다.

덴마크에서는 여닫이 창문이 보통이라 이런 계절 창문을 잘 고정해두지 않으면 꽝하고 귀를 때리는 소리를 듣기 마련이다.  아파트엔 우리집 창문처럼 이렇게 열리는 창문이 흔한데 (거의 360도 가량 회전이 가능해서 집 안에서 창을 안밖으로 닦기 편하다. 사실 애 있는 집에선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창문은 중간에 고정할 수 있는 걸쇠가 아주 조금 열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것밖에 없어서 이렇게 확 180도 열어놓지 않으면 바람 많은 시기엔 열어둘 수가 없다. 가을엔 바람이 잘 안부는 날이 별로 없기에 거의 항상 이렇게 열어둬야 한다. 덕분에 창문을 활짝 열고 싶은 날은 제대로 열어둘 수 있지만, 또 활짝 열고 싶지 않은 날도 열어두고 싶으면 어쩔 수 없이 활짝 열어놔야 한다는 면에서 장단점이 있다. (그래도 개인적으로는 이런 창이 찔끔 열 수 있는 창보다는 낫다고 생각한다.)

20160919_081551.jpg

이 사진에 보이는 하늘이 전형적인 가을 하늘이다. 아이 심심해.

그런데 날이 이렇니까 실내가 좋아진다. 이곳의 실내 조명은 노랗고 우리보다 훨씬 조도가 낮아, 어렸을 때 좋아하던 스탠드만 켜놓던 분위기가 연출된다. 그래서 덴마크 사람들이 hygge를 중시하고, 불 밝게 켜는 것을 싫어하는 모양이다. 내가 뭘 찾는 것도 아니면서 천장등이라도 켜놓고 있으면, 옌스는 아직도 덴마크의 hygge를 못배웠냐며 스탠드를 켜주고 천장등을 끈다.

집에서 마시는 커피가 맛있어지는 것도 이맘때쯤. 밖이 조금 쌀쌀해지니까 창문 열어두고 따뜻한 커피를 마시면 얼마나 맛있게 느껴지는 지. 야외커피 느낌이랄까?

주말, 한인회에서 여는 추석모임에 다녀왔다. 서울 뿐 아니라 유럽의 다른 주요 도시에 가도 도회지에 나온 느낌이 든다며 기분이 전환된다고 하는데, 이리 심심한 덴마크 삶이 좋은 나는 촌이 좋은 모양이다. 매일 빠르게 바뀌는 일출, 일몰시간, 시기별로 차이나게 꽃을 피우는 다른 종류의 식물, 헐벗음에서 연한 초록과 또 짙은 녹음으로, 녹음에서 스리슬쩍 노란색으로 조금씩 옷을 갈아입는 나무, 새끼 오리와 백조가 성장하는 모습, 계절별 구름과 하늘 색깔의 변화, 시기별로 바뀌는 새소리 등 그런 변화를 느끼고 살 수 있게 된 것이 나는 마냥 신기하고 좋아서 그렇다. 그럼에도 내가 좋아하는 문화생활은 충분히 즐기면서 말이다.

한국에 비해서는 다소 실망스럽지만, 그래도 나무들이 노랗게 옷을 갈아입는 것을 관찰하는 건 좋다. 변화는 사람을 자극하니까. 이렇게 올 한해도 후반기로 들어서는구나.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