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으로서 새롭게 시작하는 인생 2막

나만은 잊어버리지 않을 것 같았던 어린 시절 나의 기억은 여느 누구와 다를 바 없이 단편의 조각으로 토막나 그 중 아주 일부만이 남아있다. 그 일부 중 하나는 학교 가는 첫날이다. 부모님이 사주신 책가방을 몇번이고 만져보고 필통에서 연필과 지우개를 꺼냈다 넣었다 반복하며 등교할 첫날만을 얼마나 기다렸던지. 막상 내 등교 첫날의 기억은 혼돈이다. 입학 전 수시로 들락날락 거라며 놀았던 운동장에서 있을 입학식인지라 엄마는 혼자 가서도 잘 할거라고 생각해서 학교에 날 보내셨고, 어려서부터 독립심이 넘쳤던 나는 그런 상황에 더 신나 등교를 했었다. 하지만 대규모 인파가 몰린 곳에 혼자 가는 것은 처음이었던지라 맞는 반에 찾아가고 다른 학생과 줄을 맞춰 교실로 가는 것이 의외로 정신없었고 내가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 조차도 확신이 들지 않았다. 다른 학생들이 엄마와 함께 있어서 더욱 위축되어 자신이 없어졌던 것도 같다. 다행히도 큰 문제는 없었고, 하교 길엔 항상 다니던 길로 잘 돌아왔던 것 같다. 사실 하교 길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초등학교 – 그 당시는 국민학교였다. – 입학 이후엔 입학이라는 일이 그렇게 설레는 일이 아니고 졸업이 큰 일이었다. 대학교 입학도 자유로운 세상이라는 생각에 설레긴 했지만, 계속 하던 공부를 더 하는 거라 그랬는지 크게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이처럼 새로운 학교에서의 공부라는 것이 쭈욱 아무런 감흥이라고는 찾아보기 어려운 일상적 일이었기에 대학원 입학이라고 해서 크게 다를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다.

어제는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첫날이었다. 전날 저녁부터 가방을 싸고 아침 일찍 일어나 자전거 페달을 열심히 밟아 캠퍼스에 도착하고, 새로운 사람들과 인사를 나눌 때까지는 그냥 즐거운 하루의 시작이었을 뿐이었다. 그간 집에서 혼자 공부하며 지냈던 탓에 사람 냄새를 별로 못맡아 그런지 뭔가 어색한 듯 했지만, 금방 사람들과 인사를 나누고 이야기를 시작하며 어색함의 벽은 허물어졌다.

10시가 되어 사람들이 서서히 대강의실로 이동했고, 나도 그 무리의 꼬리를 밟고 거의 마지막이 되어서야 강의실에 들어섰다. 연대 강의실은 별로 가파르지 않았기에 가파르게 설계된 강의실의 큰 규모에 압도되는 느낌을 받았다. 거의 마지막줄에 앉고 나니 큰 화면과 칠판, 앞을 메운 학생들이 한눈에 들어왔다. 그 순간 ‘아… 내가 정말 풀타임 학생이 되는구나…’라는 생각과 함께, 앞으로 덴마크에서 새롭게 꾸려갈 인생 2막이 시작된다는 생각이 들며 가슴이 벅차올랐다. 오랜 기간 직장생활을 하지 않았다면 느끼기 어려운 감정이 아니었을까 생각이 든다.

이제 시작이다. 미래에 대한 고민은 꾸준히 해야겠지만, 지금은 그냥 이 순간에 집중하며 즐기고 열심히 공부하련다. 어린 학생들과 친구가 되고 경쟁도 하며 즐거운 2년의 시간을 꾸려갈 마음에 설렘과 걱정이 교차하지만 이 모든 것에 감사하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