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내 생일이다. 옌스가 지난 6개월동안 들어온 MMPI 과정의 마지막 주 첫날이기도 하다. 그래서 오늘부터 3일 동안 다른 도시에 있는 연수원에 가서 수업을 듣고, 과제도 발표하고, 최종 시험도 본다. 덴마크에선 Rounded birthday(Afrundet fødselsdag)라고 0으로 끝나는 생일에나 파티와 함께 크게 기념하고, 나머지 생일은 아주 가까운 사람들끼리나 작은 선물을 주거나 말거나 한다. 오늘은 만 35세가 되는 날. 사실 생일은 쇠털같이 많은 날 중 하루일 뿐이고, 매년 한번씩 돌아오는 날이다. 꼭 특별한 게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소하게 기념해서 나쁠 것도 없는 그런 날.
아침식사으로 왠지 미역국이라도 끓여 먹어야 할 것 같아 냄비를 꺼내려 했지만, 혼자 먹을 미역국을 끓이기도 귀찮거니와 이상하게 여기 쇠고기로 끓이는 미역국은 그냥 그렇기에 애꿎은 찬장문만 열었다 닫았다. 매일 먹는 오트밀을 생일날에도 먹기엔 좀 심심하지 않나 싶어, 어느 날 점심메뉴로 먹어볼까 싶어 샀던 훈제숭어를 꺼내들었다. 아침 식사론 비린 메뉴였지만, 왠지 단백질 식사는 특별하고 화려한 느낌. 크래커와 함께 곁들여먹은 숭어는 예상대로 비렸다. 그래도 좋아하는 크래커가 매진되어 할수없이 새로 시도해본 크래커가 더 맛있어서 그 맛에 먹었다.
입가심하려고 새로 사온 리들(Lidl)판 염가 룽고커피캡슐로 커피를 내려보니, 맛이 꽤나 괜찮다. 개당 250원 꼴이니, 한잔 마시면 500원이다. 실업자가 비싼 캡슐을 소비해야 쓰겠나 해서 정품 네스프레소를 버리고 짝퉁 캡슐을 사본 건데, 크게 불평할 일은 없겠다.
크래커를 우물거리며, 커피로 입가심을 하면서 어제 쓰다만 블로그 포스트를 마무리했다. 집에 혼자 있는 날의 장점은 머리가 헝클어져 있어도, 혹은 떡져있어도 괜찮다는 것이다. 애벌레가 허물 벗듯이 침대에서 내가 나온 흔적을 그대로 발견할 수 있게 일어나 방은 어수선하고, 나도 지저분하지만, 그래도 좋다.
페이스북에 많인 친구와 지인의 축하 메세지가 온다. 행복한 하루되라거나, 옌스와 즐거운 저녁시간 보내라는 인사들이 많이 보인다. 아쉽게도 옌스와 즐거운 저녁시간을 보낼 수는 없지만, 행복한 하루는 보낼 수 있다. 뭘 할까? 내가 좋아하는 갤러리를 가보려고 하니, 아뿔싸. 오늘은 월요일, 휴관일이다. 아침에 쨍하던 해도 어디론가 들어가 사라져서 날씨도 꾸물꾸물하니 밖으로 나갈 의지는 쉽사리 꺾여버렸다.
오늘은 계량경제 공부하는 날인데, 그걸 해야되나 생각하다가, 나에게 주는 선물로 좋은 게 생각났다. 죄책감 없이 게으름을 온전히 즐기는 것이다. 그리고 점심 한끼 맛있는 것을 요리해 나에게 대접하는 것으로 선물을 정했다. 저녁마다 얼굴을 보면서든, 떨어져 있는 날엔 전화로든 그날 무엇을 했는지 서로 자세히 이야기하는데, 게으름을 피운 날엔 그가 뭐라 하는 것도 아닌데, 스스로 죄책감이 들기도 하고, 떄로는 열심히 해야한다는 채찍질을 당하기도 하기 때문에 게으름은 최대한 지양하고 있다. 그래서 내가 그렇게 보내기로 결정해서 아무것도 안하는 것은, 게으름을 게으름이 아닌 것으로 만들어주는 훌륭한 선물인 것이다.
더위를 많이 타는 옌스는 여름엔 꼭 창문을 열고 자야 한다. 그래서 요즘은 창문을 열고 자고 있는데, 그리하여 최근에 알게된 사실은 새들은 생물학적 시계가 아닌 일조량의 시계에 따라 생활을 시작한다는 것이다. 요즘 세시 반이면 동이 트기 시작해 네시 반에 일출이 있는데, 부지런한 새들은 세시반부터 지저귀기 시작한다. 고용한 새벽에 들리는 울려퍼지는 새소리는 아름답다. 까마귀면 그닥 아름답게 들리지 않겠지만, 다행히 이름 모를 새소리가 귀에 즐거운 소리라 감사할 따름이다. 오늘 새벽에는 꿈에서 새가 지저귀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꿈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깨고 보니 새벽 세시 반. 부지런도 하다.
그 다음부터는 깊게 잠이 오지 않아 깜빡깜빡 졸고 있었는데, 그러다가 뒤척거리면서 잠시 눈을 뜬 옌스와 눈이 마주쳤다. Tillykke med din fødselsdag, skat. 생일 축하해 내 사랑. 아침 잠결에 나도 기억못한 생일을 잊지 않고 축하해준다. 그 아침을 여는 한마디와 배경음악처럼 깔린 새소리. 오붓한 저녁식사도 좋지만, 가장 행복한 것은 이런 소소한 기쁨이다.
저녁 9시. 게으름의 하루가 저물고 있다. 하루를 이렇게 보내면 원래 마음이 불편하기 짝이 없는데, 오늘은 그런게 전혀 없어서 특별하다. 이제 내일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야겠지.
엄마, 아빠. 낳아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