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혼 그리고 결혼계획

올 해 연초, 올 해 안에 결혼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대충 했지만, 프로포즈라기보다는 그냥 상의와 결론에 가까웠다. 비자라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런저런 인생 계획을 세워야 하는 탓이었다. 따라서 듣기에 형식상의 로맨틱함은 별로 없는 첫 결혼에 대한 이야기였다.

한국에서는 커플들이 사귀고 나서 오래 지나지 않아도 적령기면 대충 결혼에 대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게 되고, 때로는 소개팅이나 선 단계부터 인생 계획상의 결혼 시기를 대충 밝히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서양에선 그런 법은 없다. 현재에 집중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우리가 얼마나 어울리는 사람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소소한 순간들이 켜켜이 쌓여 중요한 인생의 결정을 내리게 된다. 그래서 여자들이 영화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순간에 프로포즈 받으면 그리 우는 모양이다.

덴마크는 그런 절차들이 갖고 있는 로맨틱함을 이용하는 면이 적은 나라다. 감정의 과잉이 별로 없다고 해야 하려나. 사귀다보면 진지해지고, 진지해지면 같이 살다가, 결혼을 하고 애를 갖거나, 애를 갖고 결혼을 한다. 살아보지 않고 결혼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타인의 시선 때문이 아니라 인생의 중대한 결정을 확신도 없이 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 둘이 만나서 관계를 이루는 가장 큰 목표는 평생 함께 사는 것이다. 결혼을 결정할 마음가짐은 물론 매우 큰 일이지만, 결혼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그게 종착지가 아니라 그 이후에 계속 사는 더 중대한 일이 남아있으니. 둘이 같이 산다는 것은 결혼을 중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다만 둘이 살아보고 예상하지 못했던 요소로 너무 불행하다면 결혼하지 않는 것이 둘을 위해 바람직하니 그걸 확인하기 위해서 같이 사는 것이다.” 이 이야기를 듣고 논리로는 매우 설득이 되었다. 마음까지 받아들이는 것은 또 다른 문제였다.

다른 나라에서 온 두 사람이 만난다는 것은 다름을 어떻게 조율하냐는 것인데, 내가 온 문화에서는 결혼전에 같이 산다는 것은, 존재함에도 숨기곤 하는 일이며, 또는 그리해서는 안되는 일에 가까운 것이라 이 점을 조율해야 했다. 이전에는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그렇지만 막상 생각을 해보니 안될 일은 없었다. 나는 동거라는 관점에 크게 반대해 본 적도 없었고, 실제로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척 하는 많은 일들에 대해 위선적이라고 생각해왔으니, 그냥 남들이 그렇게 느껴한다는 이유로 내가 해서는 안될 일이 아니었다. 난 괜찮고, 내 연인이 꼭 원하는 일인데 못할 일도 아니고.

처음엔 약간 걱정도 했다. 한국에서 하는 방식과 다른데, 이렇게 해도 되나하는 생각. 여태껏 살면서 남들이 가는 길에 얽메인 적 없는 내가 왜 갑자기 그런 시선에 신경을 쓰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선택하는 길에 대해 나의 확신만 있으면 되겠다는 마음으로 결정했다. 그간 한번도 가진 적 없는 내 사랑에 대한 확신을 갖게 한 유일한 사람이었고, 처음으로 내 인생을 함께할 수 있다는 신뢰를 갖게 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이번 4월초, 둘이 처음으로 한국에 여행을 갔다. 저녁에 호텔방에 앉아 오빠네가 선물한 와인을 마시며 두런두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가족을 만나고 온 터라 결혼에 대한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나왔고, 우리 둘 모두 조촐한 결혼식을 하기 원하는 것을 확인했다. 둘다 형식에 매우 얽메이지 않는 사람이지만 프로포즈라는 것 없이 결혼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좀 너무한가 싶었는가보다. 호텔방 책상 앞 의자에 앉아 침대에 다리를 걸친 채로 약간은 쑥스럽게, “올해 안에 결혼해주겠어?”라고 물어보았다.

영화에서 남자가 무릎을 꿇고 “나와 결혼해주겠어?” 라며 갑작스레 청혼하면 여자가 울며 웃으며(엉덩이에 털났으려나?) “물론이고말고!”를 외치는 장면을 보면, 나도 저런 순간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나랑 맞지 않는 장면이다.

그의 머쓱하지만, 진심이 담긴 청혼에, “물론이지.”라고 답을 하면서 둘이 손을 꼭 잡았다. 우리 둘의 로맨틱함은 그런 거다. 서로의 따뜻한 마음을 확인하는 것, 평소에 그런 느낌을 항상 또는 순간순간 느끼게 해주는 것. 몰론 그러고 나서는 다른 이야기로 화제를 전환했다.

주말에는 내가 한두번 정도 요리를 한다. 어제는 아시안 퓨전(내 마음대로 한국풍 음식)을 해먹으면 어떻냐길래, 좋다고 해서 요리를 시작했다. 그는 내가 요리를 하는 동안 아무것도 안하는 것에 여전히 매우 어색해한다. 뭘 돕겠다고 해도, 난 그냥 내가 하는게 편해서 내가 한다고 한다. 이제 그런 날이면 의자를 갖고 와서 좁은 부엌에 앉아 내 옆에서 뉴스를 시청하거나 책을 읽는다. 그러다가 결혼 관련 준비를 시작해야 하지 않겠냐고 물어본다. 우리 결혼이야기일 것이라고 추정은 했지만, 혹시 몰라서, “다음달에 갈 결혼식 드레스코드에 맞춘 준비?”라고 물어보니, “아니 우리 결혼식.”이라는 답이 돌아온다. 속으론 ‘꺄악~!’하고 아직 조금은 남은 나의 소녀감성이 소리를 치지만, 겉으론 침착하게, “응, 이젠 천천히 준비는 해야겠지. 당신 연수 끝나면 준비하자며?” 하고 답을 했다. 올해 계속 바쁠 것 같아서 그냥 지금 조금씩 준비를 시작해야겠다니, 그러기로 했다.

우린 시청 결혼식 이후 직계가족과 극히 소수의 친구만 초대하거나, 아니면 그것보다는 아주 조금 더 큰 결혼을 할 것 같다. 대충은 우울한 날씨의 11월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래도 한국 생각하면 정말 코딱지만한 결혼식이 될 듯하다. 이번 여름, 10박 11일의 여행은 우리의 미리하는 허니문이 되겠으니, 이 여행이 더욱 기대된다.

보리가 이 결혼식에 함께 못할 것 같아서 그게 가장 안타깝다. 잠깐이라도 데리고 오시라고 할까? 고민이 된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